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본사 지방인데 R&D센터는 수도권…기업, 고급인력 유치 '고육책' 2025-01-08 17:48:42
생산거점이 창원 등 남동 해안 공업지대인 두산그룹도 경기 용인에 첨단기술 R&D센터를 건립하고 있다. 이 R&D센터엔 두산에너빌리티, 두산퓨얼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등 수소 관련 연구 인력을 모을 계획이다. 그룹 이름에 ‘포항’이 포함된 포스코(포항스틸컴퍼니)도 경기 성남 위례지구에 미래기술연구원 분원을...
2030 고급 인재들 지방근무 꺼리더니…'고육책' 내놓는 기업들 2025-01-08 17:00:49
거점이 창원 등 남동 해안 공업지대인 두산 그룹도 경기 용인에 첨단기술 R&D 센터를 건립하고 있다. 내년 완공될 예정이다. 해당 R&D 센터엔 두산에너빌리티, 두산퓨얼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등 수소 관련 연구 인력을 모을 계획이다. 그룹 이름에 ‘포항’이 포함된 포스코(포항스틸컴퍼니)도 경기 성남 위례지구에...
중기부, 1.3만 소공인 DX 돕고 1700여개 중기에 로봇 도입한다 2025-01-08 16:00:01
추진하는 등 수출국가를 다변화할 예정이다. 해외법인 설립·운영 기업에 대한 저리 자금 신규 공급과 함께 해외진출 거점인 글로벌비즈니스센터를 확대하고, 17개국·25개 재외공관이 협력하는 '글로벌 원팀 협의체' 연계를 강화해 현지 중소기업의 애로를 해소해나갈 계획이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2025년...
현대제철, 이르면 내년 미국에 제철소 착공 2025-01-08 14:50:16
- 현대제철은 그동안 현대차 해외 공장 인근에 차량용 강판 공장 운영해왔음을 고려하면 미국 내 새 제철소도 유사한 위치에 설립될 가능성 있음. - 미국은 현재 자국 수요 대비 철강 생산이 부족해 수입중이나 동시에 철강 산업을 보호중임. 이에 따라 미국 내 새 제철소 건설은 일자리 창출 및 세수 확보로 각 주에서...
우리은행, 런던트레이딩센터 6월 오픈…FX·파생상품 운용 2025-01-08 13:39:07
수행 가능한 해외 거점점포로 확대 개편할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지난 3일 센터 설립을 위한 전담조직을 출범하고, 올해 6월 업무 개시를 목표로 설립 작업에 착수했다. ‘런던트레이딩센터’가 설립되면 런던 금융시장의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운용자산 다변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국내 정책당국의 외환시장 구조...
현대대철, 미 제철소 건설 검토…'트럼프 무역장벽' 대응 고심(종합) 2025-01-08 09:57:32
전해진다. 현대제철은 그간 해외 신규 건설 투자 검토를 해왔지만 아직 구체적인 투자 계획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현대제철은 이날 공시에서 "지속가능한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은 작년...
현대차그룹, 미 제철소 건설 검토…'트럼프 무역장벽' 대응 고심 2025-01-08 07:24:50
그간 해외 신규 건설 투자 검토를 해왔지만 아직 구체적인 투자 계획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앞서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은 작년 3월 주총에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생산 거점도 검토하고 있다"며 "어떤 지역에 투자해 무역장벽을 극복할 수 있을지 세밀한 검토를 해나가겠다"고...
미시시피강·멕시코만, 만나는 물류 중심지 2025-01-07 18:08:12
첫 해외 쇳물 생산 기지로 미국 내 여러 지역 중 루이지애나주를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첫 번째 이유는 물류상 이점이 크다는 것이다. 미국 중남부 루이지애나주는 현대차그룹의 생산기지가 몰려 있는 조지아주와 앨라배마주에 동쪽으로 연접해 있다. 특히 향후 현대차 미국 공장의 거점 기지가 되는 조지아주 서배너...
'성장성 높은 해외로'…내수침체에 밖으로 눈 돌리는 유통사들 2025-01-05 07:15:00
이마트[139480]와 노브랜드[145170]의 해외 시장 확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롯데와 마찬가지로 잠재력이 풍부하고 젊은 층 인구 비중과 한국 상품 선호도가 높은 동남아시아나 몽골 등 아시아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몽골의 경우 지난해 12월 현재 수도 울란바토르에만 프랜차이즈 형태의 이마트 매장 5개 점을 운영...
한국 반도체 수출지형도 대변화…중 의존 낮아지고 미·대만 비중 커져 2025-01-05 07:01:01
높아졌다. 이는 삼성전자의 IT 제품 생산 거점 이동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한때 자사의 전체 휴대전화의 17%를 생산하던 중국 후이저우 공장 문을 2019년 닫았고 해외 생산 거점을 베트남으로 옮겼다. 이에 따라 기존에 중국으로 가던 메모리 등 스마트폰 중간재가 베트남으로 수출됐다.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