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오소리가 3∼4배 큰 송아지 통째로 파묻는 장면 포착 2017-04-01 14:24:36
잡혔다. 1일 과학 매체 사이언스 데일리 등에 따르면, 미국 유타주립대학 생물학자들은 그레이트 베이슨 사막에서 생태계 관찰 연구 중 이 같은 장면을 목격한 결과를 최근 학술지 '서북미지역 자연주의자'(Western North American Naturalist)에 보고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1월 이 지역에서 어떤 동물들이 생물...
"'멸종위기' 사막여우·비단원숭이 보러 오세요" 2017-03-30 06:00:21
희귀생물 모습을 담은 생태사진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 사진전은 국내에 밀반입된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의 보전 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기획됐다. 사막여우·비단원숭이·노랑만병초 등 희귀 동식물을 포함한 60점(동물 31점·식물 21점·전경 사진 8점)의 사진을 전시한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목록(Red List)...
소백산 죽령습지서 '북방산 개구리' 올해 첫 산란 확인 2017-03-27 14:02:05
북부사무소는 "올해 첫 개구리 산란은 지난해와 비슷한 시기에 이뤄졌다"며 "양서류는 기후 변화에 민감하고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중요도가 높기 때문에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개구리를 무단 채취하다 적발되면 자연공원법과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벌받는다. kong@yna.co.kr (끝)...
생식줄기세포 이식으로 멸종위기종 '미호종개' 인공 증식 2017-03-22 12:00:17
찾아냈다. 감돌고기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퉁사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열목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다. 어류 생식줄기세포 생존은 동결보호제의 종류·농도, 냉각속도, 해동온도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동결된 멸종위기 어류 4종 중 우선적으로 미호종개의 해동 생식줄기세포를 불임화시킨...
무등산 깃대종 수달 서식지 추가 확인 "생태계 건강 신호" 2017-03-20 10:04:42
무등산국립공원동부사무소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수달의 서식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천연기념물 330호로 지정된 수달은 무등산 생태를 상징하는 동물 깃대종이다. 무등산동부사무소가 추가로 확인한 수달 서식지는 전남 담양 무동제 일원이다. 기존에는 광주 4수원지 일원에서 수달 서식이 확인했다. 나경태...
'야생화 정원' 국립공원 덕유산…꽃 개화 시작 2017-03-20 08:54:06
개불알꽃, 구름병아리난초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또한 구상나무, 나제승마, 갈퀴현호색, 숲개별꽃, 노각나무, 자란초, 자주솜대 등 36종의 고유식물이 분포돼 있다. 특히 덕유산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아고산(亞高山) 초원지대로 탐방객의 눈을 즐겁게 한다. 탐방객 과밀지역인 향적봉 정상부근과...
"세상에 둘도 없는 자생식물 되살린다"…멸종위기종 등 파종 2017-03-19 12:00:12
기자 = 우리나라 국립공원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을 비롯, 기후변화지표 식물 파종이 시작됐다.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 3종을 포함해 기후변화지표 식물 등 총 117종의 파종을 시작했다고 19일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종복원기술원 식물복원센터 증식장에서 3월 초부터...
생물다양성 보고, 대부도·시흥 연안습지 아시나요 2017-03-18 07:00:05
지정 관리하겠다는 것은 희귀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의 서식·도래지일 뿐 아니라 지질학적 가치가 높아 생태적 가치를 인정했다는 의미다. 대부도 갯벌은 지난해 10월 생태계 조사에서 바닷새의 경우 멸종위기 야생동물 1∼2급인 노랑부리백로, 검은머리물떼새, 말똥가리, 알락꼬리마도요 등 보호종을 포함해 14종이 사는...
지리산 깃대종 '히어리' 꽃망울 활짝 2017-03-16 10:39:05
대표 야생생물인 히어리는 반달가슴곰과 함께 지난 2007년 지리산의 깃대종으로 선정됐다. 안시영 소장은 "지리산 깃대종이자 봄의 전령사인 히어리 서식지 보전을 위한 조사·모니터링 등을 해나갈 것"이라며 "국립공원 야생생물 보호를 위해 탐방객들의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areum@yna.co.kr (끝) <저작권자(c)...
소백산 여우 방사 하루만에 영주시내 나타났다가 구조(종합) 2017-03-15 17:15:20
=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소백산 여우가 방사한 지 하루 만에 도심에 나타났다가 구조됐다. 15일 오전 7시 55분께 경북 영주시 가흥동 한 아파트에 여우가 돌아다니는 것을 주민이 발견해 신고했다. 신고를 받은 119구조대는 여우를 붙잡아 영주 환경단체를 거쳐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인계했다. 마취총 등을 사용하지 않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