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전력대란 누가 키웠나] "年 77일 공장 멈춰라"…절전外 대책없는 정부 2013-06-18 17:29:25
문제는 시간이다. 통상 원자력발전소 건설 기간은 10년, 화력발전소는 7년이다. 그런데도 산업부는 정치권 등의 눈치를 살피느라 원전 추가 건설에 대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밀양 송전탑 건설과 같은 첨예한 현안은 선·후임 장관들의 무책임한 떠넘기기 끝에 정치권의 개입을 불렀다. 윤원철 한양대 경제학과...
[전력대란 누가 키웠나] 주민 반대에 막힌 밀양 송전탑…7년간 장관 6명 '허송세월' 2013-06-18 17:08:38
송전탑 건설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를 건설하는 문제만큼이나 중요한 전력공급 정책의 핵심축이다. 하지만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3호기에서 생산될 전기를 전달할 밀양 송전탑 건설은 현지 주민의 반대와 정부의 설득 실패로 공사 재개와 중단을 반복하고 있다. 이 사업은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 정세균 산업자원부...
[전력대란 누가 키웠나] 전력난 풀려면 당장 원전 7기 필요 2013-06-18 17:06:50
전력수급 기본계획 엉망발전소 건설 타이밍 놓쳐…지금 계획 세워도 15년 걸려 “예상을 뛰어넘는 수요 증가로 예비율이 급락했다.” 지난 2월 산업통상자원부는 제6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내놓으면서 최근 전력난을 이렇게 진단했다. 전력수급 기본계획은 향후 15년간 국내 전력수급 정책의 기본이 되는 중장기 설계도로...
올 여름 혹독한 더위 예고에 에너지 절감형 아파트 ‘각광’ 2013-06-12 10:52:58
“건설사의 다양한 아이디어만큼이나 분양 문의 시 관리비에 대해 묻는 수요자들이 많아졌다”며 “장기화된 부동산 시장 침체와 전력대란에 대한 경고가 맞물려 에너지 절감 시설이나 금융 혜택의 제공 여부가 아파트를 고르는 중요한 조건으로 떠올랐다”고 말했다. . 단지 설계 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스템을...
UAE 원전 착공하는 날 '불량부품' 쓴 2곳 가동 중단…원전 대망신…또다른 '국가 위기' 2013-05-28 17:28:43
바라카 원전 건설 현장.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바라카 원전이 준공되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공급해 uae의 경제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명박정부 때 한국이 수출한 원전 2호기의 안전 착공을 기념하는 행사에서였다. # 같은 날 서울 종로구에 있는 원자력안전위원회 대회의실. 이은철...
[원전 총체적 부실] UAE·베트남 원전 수출 차질 우려 2013-05-28 17:16:02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200억달러 규모 베트남 원전 건설 사업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베트남 사업은 현재 후보지 검토 등 예비타당성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 외에도 핀란드 남아프리카공화국 폴란드 헝가리 등에 추진 중인 원전 수출에 걸림돌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 [원전...
아파트, 소형으로 사서 프리미엄 크게 키워라 2013-05-15 11:00:01
규모로 건설되며 전용면적 38㎡ 208세대, 56㎡ 72세대, 84㎡ 24세대 등 총 304세대로 구성된 소형아파트 자양 휴엔자임은 배후 수요와 교통의 편리함 등으로 프리미엄의 기대치가 매우 높은 아파트다. 특히 전월세 대란으로 주거비용이 폭등한 상황에서 주변 시세보다 낮은 1,500만 원대의 분양가로 강남지역에 직장을 둔...
발전소만 지으면 뭐하나…'송전대란' 비상 2013-04-21 16:47:04
산 경남 밀양의 초고압(765㎸) 송전탑 건설을 둘러싼 갈등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전국적으로 송전대란이 들이닥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부가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맞춰 발전소 건설을 확대할 계획이지만 송전시설 설치에 대한 해당 지역의 반발로 송전망 건설이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제2의 건설대란 오나] 유동성 위기 현실화되나 2013-04-17 15:35:55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국내 건설사들은 내우외환에 처해 있는데요. 최근에는 유동성 위기까지 겪으면서 `제2의 건설대란`이 현실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어서 박현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유동성 위기에 처한 건설사들이 자금확보에 분주합니다. 올해 만기를 앞둔 건설사들의...
[제2의 건설대란 오나] 건설사, `내우외환` 시달리다 2013-04-17 15:35:51
공사 수주해도 적정이익이 보장 안되고 적자를 감내하고 수주하는 구조. 영업이익이 적자가 나는 구조이다" 사실상 금융위기를 벗어난 올해에도 건설사들이 경영악화를 겪고 있는 이유입니다. 지난해 상장건설사들의 수익성은 0.2%. 간신히 적자를 면했습니다. 하지만 해외 저마진 공사와 국내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