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엠큐렉스 "mRNA 치료제 기반 기술 탄탄히 축적 중" 2022-07-12 16:06:50
치료제에 많이 사용되는 아데노부속바이러스(AAV)를 벡터(전달체)로 활용할 수 없다. 엠큐렉스는 지질나노입자(LNP)로 mRNA를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해, LCA10 표적의 MCX201을 개발했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LCA 치료제는 'LCA2'를 표적하는 '럭스터나'가 유일하다. 럭스터나의 연...
펨토바이오메드 “연말 코스닥 이전상장 위한 기술성평가 돌입” 2022-07-12 11:40:52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셀샷은 체외에서 전달체(벡터) 없이 목표 세포 내로 유전물질과 나노입자 단백질 등을 전달하는 플랫폼 기술이다. 바이러스나 지질 등의 생화학적 매개체를 사용하는 기존의 방식과 차별화된다. 셀샷 플랫폼은 두 종류다. ‘대량 처리가 가능한 세포질 직접 물질 전달 체계(CSCCD)’ 및 ‘3차원 ...
'원하는 세포에 딱' 약물전달 기술에 힘쓰는 제약업체 2022-06-26 06:00:00
안에 바이러스 유전체를 넣은 백신을 주입하면 유전체가 손상되지 않고 목표 조직에 도달한다. 박 책임연구원은 "아스트라제네카, 사노피, 페트로박스, 얀센 등 해외 제약사들이 벡터 캡시드의 일종인 AAV(아데노바이러스) 캡시드를 활용해 바이러스 벡터 백신 등을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hyun0@yna.co.kr (끝)...
산업부, 소부장 핵심전략기술에 백신·첨단바이오 4개 기술 추가 2022-06-23 11:00:06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시급성과 업계 수요 등을 고려해 백신·첨단바이오의약품 관련 4개 기술을 추가하기로 했다. 해당 4개 기술은 백신제조용 핵심소재(핵산·단백질·바이러스 벡터) 제조 기술, 백신 제형화 소재(지질나노입자·면역증강제 등) 제조 기술,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용 핵심...
종근당, 세포·유전자 신약 개발 뛰어든다 2022-05-20 17:12:13
키메릭항원수용체(CAR)-T세포 치료제, 아데노부속바이러스(AAV) 기반 유전자 치료제 등을 함께 개발할 계획이다. CAR-T세포 치료제는 면역계 소총부대로 불리는 T세포를 조작해 암세포만 유도탄처럼 공격하도록 한 치료제다. 정상 세포는 그대로 두고 암세포만 죽이기 때문에 일각에선 ‘기적의 항암제’로 부른다. AAV ...
프로지니어 "세포 없이 단백질 발현...바이오 신약 개발기간 획기적 단축 기대" 2022-05-16 14:46:12
바이러스 등을 인식해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킨다. 다만 이들은 mRNA가 아닌 재조합 단백질 백신 등에 쓰이는 정도다. TLR 자극에 의해 생기는 물질(type 1 interferon)이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탓이다. 이는 mRNA 백신과 TLR 타깃 면역증강제를 동시 투여하면 mRNA가 항원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면서 백신의 본래 기능 막는...
아피셀테라퓨틱스, 진스크립트프로바이오와 CDMO 확대 계약 체결 2022-05-16 10:35:30
바이러스 벡터(vector)를 이용한다.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는 유전자세포치료제의 고품질 원스톱 바이러스 벡터 공정개발 및 GMP 생산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양사는 지난해 12월 AFX 플랫폼의 첫 번째 프로젝트를 위한 바이러스 벡터 위탁개발생산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이번 계약을 통해 아피셀테라퓨틱스의 후속...
아피셀테라퓨틱스, 진스크립트프로바이오와 CDMO 확대 계약 2022-05-16 10:29:24
'AFX플랫폼'의 바이러스 벡터 CDMO 계약을 한 바 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아피셀테라퓨틱스의 후속 파이프라인에 필요한 바이러스 벡터개발 생산도 진스크립트프로바이오에 위탁된다. 양사는 라이선스아웃 등 사업 개발 분야에서도 전략적 투자 파트너로 협업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유종상 아피셀테라퓨틱스...
차바이오텍,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시장 참전 [영상뉴스] 2022-05-04 19:14:18
통해 세포·유전자치료제의 핵심 원료(렌티 바이러스 벡터,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 벡터 등)을 생산할 뿐 아니라, 세포·유전자치료제도 개발·생산할 예정이다. 차바이오텍은 미국 현지에서 세포·유전자치료제 과련 기술과 노하우를 쌓고, 2024년 완공 예정인 판교 제2테크노밸리 첨단 바이오시설(CGB)과 연계해 글로벌...
차바이오텍 美 자회사,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시설 완공 2022-05-04 09:17:43
핵심 원료인 ‘렌티 바이러스벡터’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 벡터’ 등 바이러스 전달체를 생산한다.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 및 생산 서비스도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싸토리우스와 실시간 공정분석기술과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의약품 개발·생산 일정을 단축하고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대량 생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