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PRNewswire] 트레포일 테라퓨틱스, AGC바이오로직스와 제조 계약 체결 2020-02-04 10:07:04
Therapeutics): 트레포일 테라퓨틱스는 공학적 섬유 아세포 성장 인자-1 단백질(eFGF-1) 기술 플랫폼을 활용해 심각한 각막 내피 질환 및 상피 질환에 대한 동급 최강의 약리학적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는 민간 생명 공학 기업이다. 테라포일의 주요 제품인 TTHX1114는 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자극해 각막 장애를...
美보건원, 디앤디파마텍 자회사에 췌장염 치료 연구비 47억원 지원 2020-02-03 18:17:59
근섬유아세포에 발현되는 물질인 DR5와 결합해 섬유화 기전을 차단한다. 세랄리파이브로시스는 췌장, 피부, 간, 호흡기 등 여러 장기를 대상으로 한 전임상에서 이 물질의 효능을 확인했다. 지난해 9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희귀의약품에 지정됐다. 세랄리파이브로시스는 만성 췌장염, 전신성 경화증, 비알코올성...
LED 마스크 고를 때, 꼭 확인해야할 사항은? 2019-12-27 15:42:32
콜라겐이나 엘라스틴을 만들어내는 섬유아세포를 증식시킨다. 이때, 출력되는 빛의 양이 많을수록 피부 세포에 도달하는 광 에너지도 많아져 피부 탄력, 재생 효능이 강해진다. LED 마스크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LG 프라엘은 세포 활성화를 극대화하면서 피부 안전성을 최대화하는 LED 광량 ‘코어라이트’를...
"피곤하면 다시 날뛰는 헤르페스, 영원히 동면 상태로 묶는다" 2019-12-13 15:42:48
연구진은, HSV에 감염된 인간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바이러스가 집단으로 잠복해 있는 일종의 '저수지(reservoirs)'를 유전자 가위로 직접 타격한 것이다. HSV의 이런 집단 은신처는 항바이러스제의 침투가 어렵기로 유명하고, 유전자 편집도 지금까진 안...
"상처 치료의 뿌리는 근막, 기존 패러다임 수정 필요" 2019-11-28 15:35:14
핵심은, 지금까지 알려진 섬유모세포가 아니라 근막(筋膜·fascia)이 상처를 치유하고 흉터를 만드는 뿌리라는 것이다. 근막은 근육의 표면을 싸는 막으로 피부와 근육 사이에서 근육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근막의 위쪽에는 피하지방·진피·표피 순으로 층을 이루고 있다. '섬유아세포'라고도 하는...
"홍삼, 노화 방지·피부 개선 효과 확인" 2019-10-23 14:45:12
김경숙 경희대병원 교수팀은 피부섬유아세포와 인공피부를 가지고 한 실험에서 홍삼이 피부 탄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배양액에 홍삼을 녹인 뒤 여기서 배양한 사람 피부섬유아세포의 탄성을 원자현미경으로 측정하고 콜라겐 같은 피부탄력인자의 발현량을 평가했다. 피부섬유아세포의 탄성은 최대 27%...
㈜에이치앤비나인, ‘마이코플라즈마’ 세포간 증식 기작 밝히고 토탈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 2019-10-04 17:08:37
8월 국제학술지인 ‘BMB Reports’에 피부섬유아세포와 암세포에서 ‘마이코플라즈마 (Mycoplasma)’의 면역세포 회피를 위한 세포 간 이동 및 증식 기작 규명 내용을 게제해 학계 주목을 받았다. 연구에 따르면 마이코플라즈마는 인체의 면역세포 공격을 피해 섬유아세포의 안으로 침입하여 생존할 수...
"젊음 유지의 필수 조건은 세포의 뉴클레오타이드 생성" 2019-07-26 15:13:48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이뤄졌지만, 이번에 그레이엄 교수팀은 여러 기관의 표면을 구성하는 상피세포를 썼다. 대부분의 암이 상피세포에서 발생한다는 걸 고려했다. 이번 발견을 환자에게 실제로 적용하려면 많은 연구가 더 필요하다. 하지만 생쥐 실험에선 효과가 입증됐다. 노화 세포를 제거한 생쥐는 새끼를 낳는 생식...
"뇌 조직 이식한 미세 장치로 '대장 유전자' 온·오프 제어" 2019-07-18 15:38:14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1'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섬유아세포는 결합조직에 나타나는 세포를 아울러 지칭하는 것이다. 미국의 과학자들이, 인간의 뇌 조직에 미세 장치(device)를 이식해 FGFR1 유전자를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이 실험엔 첨단 광 유전체학(optogenomics)의 광자(photon) 이론과 나노기술이...
동구바이오 관계사 디앤디파마텍, NLY01 파킨슨병 적응증 임상2상 2019-07-17 10:32:06
세랄리는 근육섬유아세포를 타깃해 섬유화를 차단하는 섬유화 억제 기전 `TLY012`의 임상1상 진입을 앞두고 있다. 디앤디파마텍은 또, 간, 폐 섬유화 억제뿐 만 아니라 조직의 회복까지 가능한 `TLY012`를 개발하고 있으며,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개발 가능성을 보고 600만 달러 규모의 펀드를 지원 중이다. 관계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