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MZ세대는 뷔페를 좋아해'…카드매출액 전년비 최고 30%↑ 2024-10-14 10:12:34
외식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가운데, MZ세대로 분류되는 20∼30대가 뷔페를 선호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BC카드는 2020∼2024년 국내 요식업종 가맹점에서 카드매출액은 연평균 1.1% 증가했지만, 매출건수는 1.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4일 밝혔다. 요식업종은 이같이 더딘 성장세를 기록했지만, 뷔페 업종은...
비빔밥 먹고 만원 낸 손님…뒤늦게 가격표 확인하고 '깜짝' 2024-10-13 11:56:11
나머지 5개 외식 품목은 전월 대비 가격 변동이 없었다. 지난달 자장면은 7308원, 칼국수는 9308원, 냉면은 1만1923원, 삼겹살 1인분(200g)은 2만83원, 김치찌개백반은 8192원으로 집계됐다. 8개 외식품목의 최근 1년 새 평균 상승률은 4.58%다. 참가격 공개 가격은 평균 가격이어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외식 물가 부담은...
"만원으로 못 사먹습니다"…금채소에 지갑 비상 2024-10-13 11:15:07
9천308원, 냉면은 1만1천923원, 삼겹살 1인분(200g)은 2만83원, 김치찌개백반은 8천192원으로 각각 전달과 같은 가격을 유지했다. 참가격 공개 가격은 평균 가격이어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외식 물가는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달 서울 지역 개인 서비스 요금을 보면 이발소 비용은 1만2천462원으로 전달과...
지난달 서울서 비빔밥 한 그릇 1만1천원 넘었다 2024-10-13 11:08:25
평균 가격이어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외식 물가는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유명 식당에서는 삼계탕 한 그릇 가격이 2만원, 냉면 한 그릇이 1만5천원을 각각 넘어섰다. 지난 달 서울 지역 개인 서비스 요금을 보면 이발소 비용은 1만2천462원으로 전달과 동일했고, 목욕비는 1만462원에서 1만538원으로 0.7%(76원) 올랐다....
"기준금리 인하로 숨통 트일 것"…중기·소상공인 소비회복 기대 2024-10-11 11:04:46
고물가와 고환율은 진정되는 모습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6%로 2021년 3월(1.9%) 이후 3년 6개월 만에 1%대로 떨어졌고 원/달러 환율도 중동 지역 불안 요인이 있지만 1천200원대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고금리가 마지막으로 남은 부담 요인이었는데 이번 기준금리 인하로 대출금리 등...
시장 긴장시킨 미 물가 반등…인하 불씨 살린 주거비 2024-10-10 22:56:46
주도했다. 달걀 가격은 지난 달에만 8.4% 뛰었다. 집에서 해먹는 음식 물가는 0.4%, 외식 물가는 0.3%로 물가에 압력을 더했다. 에너지 물가는 -1.9%로 지난 8월 -0.8%보다 둔화 폭을 키웠다. 휘발유 가격은 1년 사이 15.3% 감소했으나 천연가스는 전년대비 2% 가량 상승을 보였다. 주거비 항목은 지난 6월 0.2%에서 7월과...
농식품부, 배추 출하지역 확대…"이달 하순에 가격하락 체감" 2024-10-08 12:00:01
것으로 전망했다. 농축산물 소비자물가지수의 작년 같은 달 대비 상승률은 지난 3월 13.1%로 정점을 기록한 뒤 둔화세로 돌아서 지난달에 2.2%까지 낮아졌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소비자 지출 비중이 큰 축산물과 과실류의 가격 안정세가 지속돼 이달(10월) 이후에도 농축산물 소비자물가지수는 안정적인 둔화세를 보일...
"소줏값도 아껴야"…불황형 상품 인기 '주춤' 2024-10-06 07:46:06
"불황 장기화와 외식 물가 상승으로 소주와 라면 매출이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과거 불황기 때에 못 미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맥주와 와인, 하이볼 등 저도수 주류를 즐기는 문화가 확산하고 라면보다 도시락 등 다양한 간편식으로 수요가 분산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편의점에서는 유리병 소주보다...
'불황 대표상품은 옛말'…편의점 소주·라면 등 인기 주춤 2024-10-06 07:15:02
"불황 장기화와 외식 물가 상승으로 소주와 라면 매출이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과거 불황기 때에 못 미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맥주와 와인, 하이볼 등 저도수 주류를 즐기는 문화가 확산하고 라면보다 도시락 등 다양한 간편식으로 수요가 분산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편의점에서는 유리병 소주보다...
"한 줄에 8000원 vs 1000원"…인기 폭발한 '김밥집' 비밀 [현장+] 2024-10-04 19:50:01
가격만 1000원에 육박할 것"이라며 "워낙 물가가 올라서 그런지 요즘은 하루에 1000원 김밥 손님만 200명이 넘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밥을 사가면서 라면 등 다른 음식도 같이 사가는 경우가 많다 보니 마진이 거의 남지 않아도 앞으로 계속 1000원 김밥을 유지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김밥이 가지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