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4년 연속 흑자 낸 건강보험…준비금 '역대 최대' 2025-01-07 12:14:45
지난해 의료대란에 따른 재정 투입, 건강보험료율 동결 등에도 건강보험 재정이 4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누적 준비금은 역대 최대인 30조원가량으로 늘었다. 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4년도 건강보험 수입이 99조870억원, 지출은 97조3천626억원으로, 현금 흐름 기준 1조7천244억원의 당기 수지 흑자를 기록했다고...
美경제학자들 "트럼프 정책, 인플레 보다 연준 통제시도 더 위험" 2025-01-06 22:36:29
관세를 부르짖고 있다. 이는 수입 상품의 가격 인상을 유발한다. 또 만료되는 세금 감면을 다시 연장함으로써 연준이 수요 냉각을 유도하려는 노력과 달리 수요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민 단속 강화는 미국내 노동력 증가의 주요 원천을 침체시킴으로써 일부에서는 이것이 임금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인니, 아동·임산부 무상급식 시작…연내 2천만명까지 확대 2025-01-06 16:46:13
전문가들은 인도네시아 재정 건전성이 악화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인도네시아 경제법연구센터의 나이룰 후다 연구원은 인도네시아가 쌀과 밀, 콩, 쇠고기, 유제품을 수입하는 상황에서 무리한 무상 급식의 시행은 재정 건전성과 대외 수지 균형을 악화시킬 수 있다며 "국가 재정 부담이 너무 커져 경제 성장에도 악영향을...
라자드운용 "트럼프 2기…규제완화·관세·이민·세제·연준에 주목" 2025-01-06 14:48:29
보복 조치와 상당한 규모의 재정 및 통화 부양책을 시행할 것으로, 유로존은 미국의 무역 정책과 안보 압박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유로화 약세와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은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유리한 위치에 있어 미국 무역 정책의 영향은 비교적 적을 것이지만 물가 및...
[마켓칼럼] "美 쌍둥이 수지 적자에…올해 환율 안정될 것" 2025-01-06 10:54:39
통상적으로 미국의 경제 성장은 소비 증가와 수입 증가가 동반되기 때문에, 미국 경기의 호황 국면에서는 무역 수지 적자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트럼프 정책이 추진하는 감세 정책으로 미국의 재정 적자 확대도 매우 유력해 보인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미국의 쌍둥이 수지(재정 수지+경상 수지) 적자가 확대되...
엔화로 美 국채투자, '제2 키코 사태'로 번지나?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5-01-06 08:05:56
수 있기 때문이다. 재정수입은 소득세 폐지, 법인세 감면 등 감세로 일관돼 있다. 재정지출은 자신의 구상인 뉴딜 정책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빚내서 더 쓰자'는 현대통화론자의 주장을 따를 수밖에 없다는 시각이 나올 정도다. 중국을 비롯한 주요 수입국에 대한 고관세로 보전할 방안이 있지만 글로벌...
[한경 오늘의 운세] 2025년 1월 5일 오늘의 띠별 운세 2025-01-05 06:00:01
못합니다. 재정운은 좋은데, 끝이 나빠보이므로 투자보다는 저축을 하시는 편이 좋겠네요. 83년생 당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쉽게 파악되고 있네요. 직장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다시 한번 확인하기 바랍니다. 체면을 지키기보다는 하고 싶은 일을 찾아 나서기 바랍니다. 숫자 2가 행운의 수입니다. 95년생 사람을...
트럼프 관세 우려한 美 경제학계 "기업 생산성 악화와 노동시장 충격으로 이어질 것" [미국경제학회 2025] 2025-01-04 18:52:18
지금 거대한 재정 적자를 보고 있고, 그 적자는 더 커질 것”이라며 “그래서 적자를 그냥 늘려 놓을 것인지, 아니면 사회 복지 프로그램을 줄이거나 다른 방법을 시도할 것인지 등 (정치적) 협상이 아주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미국 정부의 총지출은 6조7500억 달러, 총수입은...
[마켓칼럼] 트럼프 2.0 시대에 달러환율은 어디로 향할까 2025-01-03 09:29:10
정책을 시행하는 데 걸림돌도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재정 지출 확대와 감세 정책은 이자율 상승으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달러 강세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3) 금리 인하 트럼프는 수출의 우위 및 성장 우선 경제 정책을 지지하기 위해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 금리 인하 기조를 압박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FRB...
정부, 올해 성장률 1.8% 전망…최상목 "필요시 추가 경기보강 강구" 2025-01-02 13:42:37
따른 농산물 상승, 고환율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 등의 가능성은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정책금융 12조원과 재정·공공 추가투자 6조원 등 총 18조원 규모의 공공부문 가용 재원을 총 동원해 내수 등 경기 회복을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신속집행은 역대 최고 수준인 67%까지 높이고 민생·경기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