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가장 가까운 지구형 행성 프록시마 b 생명체 서식 가능성 작아 2020-12-09 23:01:00
물리학과 교수 타라 머피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36개의 접시안테나로 구성된 전파망원경인 '호주 스퀘어 킬로미터 어레이 패스파인더'(ASKAP)와 광학망원경 등으로 프록시마 켄타우리를 관측해 얻은 것으로, 국제 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최신호를 통해 발표됐다. 연구...
외계와의 소통 시도했던 거대 전파망원경, 57년 만에 결국 붕괴 2020-12-02 03:44:46
일간 엘누에보디아 등에 따르면 이날 새벽 전파망원경 상단의 무게 900t 수신 플랫폼이 140m 아래 지름 305m 반사 접시 위로 떨어졌다. 아레시보 망원경은 이미 지난 8월부터 파손이 시작돼 해체가 예고된 상태였는데 결국 스스로 무너져내린 것이다. 아레시보 천체관측소는 카리브해의 미국령 푸에르토리코의 석회암...
은하 100만개 새로 추가된 남쪽하늘 새 지도 공개 2020-12-01 17:18:14
전파망원경 첫 전천탐사 결과…이전보다 두 배 더 상세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호주 천문학자들이 100만개 이상의 은하를 새로 찾아 추가한 남쪽 하늘(南天) 새 지도를 공개했다.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는 1일 '호주 스퀘어 킬로미터 어레이 패스파인더'(ASKAP) 전파망원경을 활용해 제작한...
외계인 찾아다닌 미 전파망원경 57년만에 해체한 이유는 2020-11-20 12:54:30
전파 망원경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19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미국령 카리브해 섬나라 푸에르토리코에 설치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을 해체하기로 결정했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지난 8월과 이달 6일 900톤(t) 무게의 전파 망원경을 지탱해온 철제 케이블이 잇따라 끊어졌다....
외계인 탐색해온 미 전파망원경 해체키로…57년 역사 종언 2020-11-20 11:37:42
미 전파망원경 해체키로…57년 역사 종언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복구 불가 판단…천문학계 "가슴 찢어져" 영화 '콘택트'·'골든 아이'에도 등장한 현대 천문학의 상징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정윤섭 특파원 = 인류와 외계인의 만남을 다룬 영화 '콘택트'(1997년)에 등장했던 거대 전파 망원경이...
중국 '우주굴기' 가속…심우주 안테나 배열 시스템 첫 구축 2020-11-19 10:51:31
심우주 안테나 배열 시스템은 직경 35m 크기의 전파망원경 4개를 포함하고 있다. 전파망원경 4개 가운데 3개는 새로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심우주 안테나 배열 시스템은 중국의 첫 화성탐사선 톈원(天問) 1호와 다음 주 발사 예정인 달 탐사선 창어(嫦娥) 5호를 비롯한 중국 우주선들의 움직임을 추적, 모니터링하는...
우리은하서 꼬리잡힌 '빠른 전파폭발' 범인은 마그네타 2020-11-05 16:48:36
독특한 모양의 캐나다 전파망원경인 '차임'(CHIME·Canadian Hydrogen Intensity Mapping Experiment)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후원해온 전파 순간 방출 탐사 프로젝트인 '스테어2'(STARE2)를 통해 같이 포착됐다.스테어2는 캘리포니아와 유타 등에 설치된 3대의 전파탐지기를 연결해 운영되고 있다....
별이 국수 가닥처럼 블랙홀에 먹히는 마지막 순간 포착 2020-10-13 11:19:26
관측되고, 자외선과 전파, X선 등 다양한 빛 파장의 망원경이 동원된 것도 이런 성과를 거두는 토대가 됐다고 한다. 논문 공동 저자인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CfA)의 천문학자 에도 버거 박사는 "조석파괴 사건 중의 물질 분출과 강착 과정의 직접 증거를 보는 첫 사례"라면서 "이전부터 관측돼온 가시광과...
블랙홀 첫 실제 이미지 M87* 수년간 추적했더니 변화무쌍 2020-09-24 17:03:16
M87*를 관측해 왔다. 처음에는 세 곳의 망원경을 연결해 시작했지만, 실제 이미지가 만들어진 2017년 4월 관측 때는 하와이에서 칠레, 유럽 등에 이르기까지 다섯 곳의 전파망원경이 연결됐다. 이때서야 비로소 블랙홀의 실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수준이 됐다. 그 이전 자료들은 이미지를 뽑아낼 정도로 충분하지...
별 1천만개 이상 들여다봤지만 외계문명 신호 못 찾아 2020-09-09 16:30:18
멀지만 MWA와 같은 망원경이 계속 한계에 도전해 나갈 것"이라면서 총 17억 유로를 투입해 호주 서부와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설치되고 있는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인 '스퀘어 킬로미터 어레이'(SKA)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SKA의 저주파 안테나는 MWA가 있는 자리에 설치되는데 감도가 50배 이상 높아져 훨씬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