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 새 안보리 대북결의 '석유제품 90% 차단'…"내일 표결 추진" 2017-12-22 01:39:37
정제품 공급을 더욱 줄이는 방안이 골자인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통신은 익명의 외교당국자를 인용, "신규 대북제재 결의안 초안은 대북 석유 정제품 공급을 거의 90% 차단하고, 해외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을 12개월 내 귀환시키는 내용"이라고 전했다. 산업기계 및 운송장비·산업용 금속의 대북 수출을 차단하고, 북한...
中리바오둥 부부장, 유엔 사무총장 만나…북핵 논의한듯 2017-12-21 09:22:42
대북 제재를 요구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초안을 전달, 안보리에서의 신속한 채택을 위한 작업에 착수한 상태다. 미국이 중국에 건넨 새 대북제재안의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미국은 현재 연간 200만 배럴로 제한한 석유 정제품 공급을 더 줄이려 하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president21@yna.co.kr...
미·중, 새 대북제재 결의안 논의중…"이르면 금주 회람" 2017-12-21 08:51:52
그중에서도 연간 200만 배럴로 제한한 석유 정제품 공급을 더 줄이는 방안이 포함된 것으로 관측된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이 통신에 따르면 미국은 이미 지난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안 초안을 중국에 전달했다. 그동안 미국은 대북제재 결의 채택에 앞서 북한의 우방인 중국의 동의를 얻기 위한 사전 조...
美, 유엔 대북결의 초안 中에 전달…北 제재명단 추가요청(종합2보) 2017-12-20 18:28:16
정제품 공급을 더 줄이려 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북한이 사용하는 석유의 주요 공급원인 중국은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안에 지지했지만, 원유 금수에는 반대하는 입장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 관료는 새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나 아직 어떤 합의가 이뤄지지는 않았다며 물밑 작업이 진행...
美, 더 강한 유엔 대북결의초안 中에 전달…北제재명단 추가요청(종합) 2017-12-20 15:58:11
정제품 공급을 더 줄이려 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북한이 사용하는 석유의 주요 공급원인 중국은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안에 지지했지만, 원유 금수에는 반대하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중국 외교부는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 관료는 새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나...
퍼시픽바이오, 49억원 발전용 바이오중유 공급 2017-12-13 16:43:41
공급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코스닥 상장 석유 정제품 제조업체 퍼시픽바이오[060900]는 발전용 바이오중유를 한국동서발전에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공시했다. 계약 금액은 49억원으로 작년 매출액의 14.75%에 해당하는 규모다. 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더힐 "美, 북한 해상봉쇄해야…서서히 질식시켜 백기 투항" 2017-11-19 11:42:10
정제품과 군사 보급품 등 기본적인 원자재나 장비를 도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석탄과 철광석 수출도 억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킬리는 "미국 해군의 군사력 부족과 업무 부하 과도라는 비판론이 제기될 수 있다"면서 "하지만 북한 해상봉쇄는 미국의 일방적 의무도 아니며 해군만 참여할 필요도 없다"고 지적했다....
총수2세 기업, 내부거래 비중 치솟아…70% 수준 육박 2017-09-21 12:00:04
등 서비스업에서 높았고 규모는 코크스·연탄·석유정제품 제조(21조8천억원) 등 제조·건설업에서 크게 나타났다. 특히 시스템통합관리업과 건축기술서비스업의 내부거래 비중은 2012∼2016년간 각각 7.5%p, 9.9%p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수일가 지분율이 높을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높았으며 특히 총수2세 지분율과...
유엔 대북제재 결의…유류공급 30% 차단·섬유수출 전면금지(종합) 2017-09-12 07:29:50
정제품 등을 포함한 전체 유류 제한은 기존보다 30% 정도 줄어들 것이라는 것이 유엔 외교가와 관련 전문가들의 추산이다. 기존 결의에서 수출이 전면 금지된 석탄과 함께 북한의 주요 외화수입원 가운데 하나로 꼽혀온 직물, 의류 중간제품 및 완제품 등 섬유수출을 전면 금지했다. 해외에 진출한 북한 노동자와 관련,...
'원유·김정은 제재' 초안보다 후퇴…北셈법 바꿀수 있을까 2017-09-12 07:19:19
석유 정제품 등을 포함한 전체 유류 제한은 기존보다 30% 정도 축소될 것이라는 추산이다. 유류의 전면적 차단이 아닌 공급 한도를 설정하는 타협을 미국과 중국이 함으로써 대북제재 결렬을 피하고 석탄의 경우와 같이 향후 전면 금지로 나아갈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이번 제재결의로 북한의 고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