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마을] 불확실한 미래, 케인스를 다시 불러오다 2014-10-09 23:59:25
흔들리는 자본주의 대안은 있는가 로버트 스키델스키 지음ㅣ곽수종 옮김ㅣ한국경제신문사ㅣ383쪽│1만6000원 [ 송태형 기자 ] ‘우리는 지금 모두 케인스주의자다(we are all keynesians now).’ 1965년 발행된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의 커버스토리 제목이다. 이 말은 1971년 닉슨 미국 대통령에...
[여론 광장] '세계 석학 모임' 몽 펠르랭 소사이어티, 하이에크·프리드먼·베커…노벨경제학 수상자만 8명 2014-10-03 23:46:52
주의적 지적 오류’를 펴냈다. 그리고 그 예언대로 1년 후 베를린장벽이 무너졌다.프리드먼(1912~2006)은 1947년 mps 창립총회에 참석하면서 첫 해외여행을 했다. 이후 케인스와 함께 21세기를 대표하는 경제학자로 활동했다. 시카고학파의 리더로 통화주의적 경제정책을 이끌어 ‘프리드먼 혁명’을 전개한...
다수가 원하니 法을 만들어야 한다? 이 단순한 논리가 각종 '특혜법' 불렀다 2014-10-03 21:40:21
정치에 대한 현실적 이해야말로 통화주의자들보다도 더 확실하게 케인스주의를 분쇄할 수 있다고 믿었다.그런 믿음에서 공공선택학파를 만든 뷰캐넌과 그 추종자들은 정부 사람들은 소득, 권력, 명예 등 이기심에서 행동한다는 점에서 시장참여자와 결코 다를 바가 없다는 아주 현실적 인식을 바탕으로 해 민주주의, 관료,...
[세계경제사] 후버가 대공황 부른 자유주의자?…루스벨트 뺨친 개입주의자 2014-09-22 17:55:00
자유시장주의자가 아니었음은 명백해졌을 것이다. 그는 앞에서 말한 정책을 통해 루스벨트의 뉴딜과 마찬가지로 실업과 같은 불황의 골을 만들어 불황을 대공황으로 만들어갔다. 물론 후버는 금본위제를 유지하고자 애썼고, 경제에서 민간 주도가 필수적임을 인정했으며, 옛 사회주의 소련이나 파시스트 체제를 본보기로...
[책마을] 세상만사 경제학으로 해석? 신고전학파의 자만심 2014-07-17 21:38:35
학파, 개발주의 전통, 제도학파, 케인스 학파, 마르크스 학파, 신고전주의 학파, 슘페터 학파 등 9개 학파를 정리하고 있다.신고전주의의 장점도 외면하지 않는다. 어떤 현상을 개인 단위까지 내려가서 분석하기 때문에 고도의 정확성과 명확한 논리, 융통성을 갖고 있다는 것. ‘우파’ 마르크스주의자나...
[Cover Story] '이기심의 원리' 설파한 스미스…'창조적 파괴' 주창한 슘페터 2014-07-11 19:06:38
뉴딜정책을 추진했다. 뉴딜정책은 케인스 수정자본주의 이론이 배경이다. 뉴딜정책이 대공황을 종식시켰는지는 불분명하다. 어쨌든 제2차 세계대전으로 소비가 늘어나면서 대공황은 끝이 났다.대공황 원인을 두고는 여러 견해가 혼재한다. 케인스는 대공황의 원인을 유효 수요 부족으로 보고, 정부가 직접 개입해 수요를...
[Cover Story] 인센티브 설명에 교사와 스모선수가 왜 나오지? 2014-07-11 19:02:47
밀, 카를 마르크스, 알프레드 마셜, 케인스가 나온다. 유명한 경제학자들이 내건 핵심 이론을 쉽게 설명한다. 학생들은 늘 시대별, 경제사상별, 학자별 이론 체계를 알고 싶은 지식욕구가 있다. 이 책은 거기에 딱 맞는 책이다. 줄을 쳐가면서 읽는다면, 웬만한 경제학에 관한 대화에서 밀리지 않게 된다.맬서스 인구론이...
[세계 경제사] 공기업 철밥통 깬 대처리즘 혁명…다시 자유주의를 외치다 2014-06-09 16:51:56
부흥완전고용이 최고 목표였던 1970년대 케인스경제학 시대 세금 늘어나고 물가 치솟아 자동차·청소 노조 연쇄파업…1978년 '불만의 겨울' 발생자유주의 성향이던 대처 민영화·정부지출 삭감으로 방만했던 공공부문 개혁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의 경제정책을 지칭하는 대처리즘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여러...
[다산 칼럼] 자유주의 법사상으로 무장하라 2014-04-06 20:37:27
사회주의의 처절한 실패, 2008년 금융위기 등 역사적 사건들이 입증한다. 법 개념을 왜곡해 규제를 만들어낸 세 번째 장본인은 법학계를 지배한 공법사상이다. 정부조직처럼 집단목적에 좌우되게 마련인 공법적 사유에 젖은 나머지 공법과 사법의 구분이 흐려진 채 사법이 유린당하고 있다. 이런 사고를 적극 지원한 게...
[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 2014-04-03 21:19:05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 실업률은 하락한다. (2) 케인스주의 경제학자들은 양자 사이에 상충관계가 있다고 믿었다. (3) 유가 상승과 같은 공급 충격은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동시에 증가시킨다. (4) 물가상승률과 실업률 간의 관계는 이를 발견한 경제학자의 이름을 따서 필립스곡선이라고 부른다. (5) 물가상승률을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