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참사 키운 '콘크리트 둔덕'…3개 업체가 설계·시공 맡았다 2025-01-07 18:02:25
‘콘크리트 둔덕’을 최소 세 개 설계·건설업체가 설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세 업체는 공항 개항 직전인 2000년대 초 문제의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 등 계기착륙시설을 설계하고 건설했지만, 현시점에선 ‘사실 확인이 어렵다’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2007년 11월 개항한 무안국제공항 내...
국토장관 "국토부 관계자 항철위 조사서 배제…로컬라이저 등 개선" 2025-01-07 17:30:01
로컬라이저 관련 논란에 대해서는 "로컬라이저와 콘크리트 둔덕과 같은 공항 시설에 대한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며 "로컬라이저 구조물은 규정 준수 여부를 떠나 안전을 보다 고려하는 방향으로 신속히 개선하겠다"고 했다. 이어 "국제 규범인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규정이 방대하고, 공항시설 관련 법령 체계가 복잡해 해...
국토부 "제주항공 사고기, 조류 충돌 확인…엔진서 깃털 발견" 2025-01-07 17:30:00
발견" 콘크리트 둔덕 논란에 "규정 준수" 입장 고수 (세종=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국토교통부는 7일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참사기가 사고 당시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을 겪었다고 밝혔다. 그간 관제사의 경고와 생존 승무원의 증언 등을 토대로 조류 충돌이 사고의 최초 원인으로 지목돼왔는데, 조류 충돌 발생...
'싱크홀 원인' 노후 하수관, 신축성 보강재로 보수한다 2025-01-06 11:34:09
초반까지만 해도 노후 하수관로의 대부분이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진 강성관이었으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염화비닐(PVC)로 만든 연성관 사용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다. 문제는 연성관은 강성관과 달리 외압으로 관로 변형이 생길 확률이 높으면서도 보수는 어렵다는 점이다. 기존의 보수 공법인...
항공기 참사 애도기간 종료…시신 179구 모두 가족품으로 2025-01-05 17:41:14
키운 요인은 로컬라이저(항행계기시설·LLZ)의 콘크리트 둔덕이라는 지적이 힘을 받고 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제주항공 참사 유족을 향한 2차 가해를 저지른 악성 댓글러를 특정해 검거하는 등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찰은 4일 오후 5시 기준으로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을 조롱하는 악성 게시글 99건의 수사에 ...
논란의 무안공항...‘제주항공 참사’ 키웠다 2025-01-05 15:10:39
스트라이크)로 추정되고, 참사로 번진 요인으로는 콘크리트 둔덕이 지목되고 있다. 제주항공 참사는 지난달 29일 오전 9시 3분쯤 사고기가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콘크리트 둔덕과 충돌하며 발생했다. 이 사고로 179명의 희생자와 2명의 부상자가 나왔다. 사고 경위를 살펴보면 당일 오전 8시 57분 무안공항 관제사가 사고기...
제주항공 참사...무너진 20년 ‘LCC 안전 신화’ 2025-01-04 09:15:22
위해 지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만들어진 콘크리트 구조물(둔덕)이다. 무안공항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여객기의 착륙을 돕는 역할을 하는 안테나인 로컬라이저와 콘크리트 둔덕은 공항 활주로 끝에서 250m가량 떨어진 비활주로에 설치됐다. 사고 당시 영상을 보면 제주항공 여객기는 동체 착륙 후 활주로 1600m 정도를...
[취재수첩] 재난 앞에 '오락가락' 국토부, 철저한 조사로 불안 없애야 2025-01-03 18:22:29
안테나다. 문제는 안테나가 2m 높이의 콘크리트 둔덕에 설치돼 활주로 끝을 가로막고 있었다는 점이다. 여객기가 둔덕과 충돌하며 폭발이 일어나 사고가 커진 원인으로 지목된다. 애초 국토부는 콘크리트 둔덕이 관련 규정에 맞게 설치돼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둔덕이 활주로 종단 안전구역 밖에 있어 항공 장애물...
둔덕에 파묻혔던 사고기 엔진 인양 완료…꼬리 부분 '혈흔' 발견 2025-01-03 18:06:26
무안공항 콘크리트 둔덕에 파묻혀 있던 제주항공 사고기 엔진과 꼬리 부분 인양이 마무리되면서 사고 원인 조사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3일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대형 크레인을 동원해 로컬라이저(방위각시설) 둔덕에 파묻혀 있던 엔진과 꼬리 부분을 인양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수거된 엔진은 이번...
제주항공 '엔진' 수거…조류충돌·기체결함 여부 조사 2025-01-03 17:45:34
절차를 밟고 있다. 조사단은 이날 콘크리트 둔덕 로컬라이저(방위각 표시시설)에 파묻혀 있던 엔진을 인양·수거했다.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 흔적 등을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또 유류품 수습 등을 위해 기체(꼬리 부분) 인양도 했다. 기체를 들어 올린 후 수색작업까지 마치면 사고 현장 수습은 99% 완료된다는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