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맞짱 토론] 취득세 영구인하 해야 하나 2013-08-09 16:43:34
목적 등 부수적인 목적보다는 본래 기능인 재정 조달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지선 < 서울시립대 세무전문대학원 교수 > 읽을 만한 자료 ▷권주안·황은정(2013) “취득세 감면과 주택거래량 변화”(주택산업연구원) ▷허윤경(2013) “주택세제 개편 필요성과 방향” ▷한재명 외(2011) “거래세율 인하가...
<게시판> KDI-KAEA 재정지출·복지 콘퍼런스 개최 2013-07-30 08:42:36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한미경제학회(KAEA)는 다음달 5일 오전 9시 서울 동대문구 KDI 별관에서 '재정지출의 지속가능성과 창조적 복지 시스템'을 주제로 공동콘퍼런스를 연다고 30일 밝혔다. 콘퍼런스는 '통화정책과 재정의 지속가능성', '재정개혁의 영향' 등 2개의 전체 세션과 '무역정책'...
[마이스산업] 외국 관광객 1100만명시대…한국형 콘텐츠개발 시급 2013-07-28 14:00:11
위해서는 정부지원이 필수적이다. 재정이 없으면 문화산업이 이뤄질 수 없다. 육성 초기 안정적인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진흥기금을 설치해야 한다. 관광진흥기금, 방송통신발전기금은 있는데 콘텐츠 진흥기금은 전혀 없다. 플랫폼이나 네트워크를 채워 줄 풍성한 콘텐츠에 대한 지원이 절실하다.” ▷호텔외식경영학회...
[한경과 맛있는 만남] 김준경 KDI 원장 "KDI도 변해야…국가 아젠다 개발에 사활걸겠다" 2013-07-18 17:09:58
왕립지리학회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한국인을 ‘행정적 계기(국가적 리더십)’만 주어지면 무서운 자발성을 발휘하는 국민’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유능한 리더만 있으면 가난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란 의미였죠. 새마을운동은 한국인 특유의 근면함과 성실함이 국가적 리더십을 만나 성공한 사례입니다.” 1970년대 한국...
[월요인터뷰] 신현송 교수 "美 양적완화 축소 충격파 엄청날 것…위험요인 곳곳에 도사려" 2013-06-30 17:29:21
국채금리가 먼저 오르면 일본 정부의 재정 부담이 너무 커집니다. 정부의 재정건전성을 위해선 경제 성장이 어느 정도 진행된 뒤 국채금리가 올라야 합니다. 문제는 시장이 항상 먼저 움직인다는 겁니다.” ▷한국도 금리 정상화 단계를 준비해야 할까요. “장기금리가 올랐기 때문에 이미 시장에선 정상화가 이뤄지고...
루카스 "美 지나친 복지 확대가 생산성 저해…경제 회복 막아" 2013-06-26 17:17:08
주식 사야 낸시 스토키 교수, 주먹구구식 재정·통화 확장…기업 투자 막는 걸림돌 김중수 한은 총재, 美 출구 전략 제대로 못 짜면 신흥국 위험에 처할 가능성 “생산성 개혁 없이 돈풀기에만 의존하는 아베노믹스는 분명히 실패한다.”(에드워드 프레스콧 애리조나주립대 교수) “미국의 경기 회복이 더딘 것은 사회안전...
노벨상 수상자 프레스콧 "일본 주식 팔고 한국 사라" 2013-06-26 15:53:12
경제학회다. 27일부터 연세대학교서 열린다. 이날 주제발표자로 나선 프레스콧 교수는 "한국 경제가 상대적으로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가 예로 든 것은 성인 한 명당 국내총생산(GDP per Adult)지표다. 지난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2.0%로 낮아졌지만, 인구당 경제성장은 2009년 이후부터 장기평균 수준을...
이성헌 민화협 위원장 "10년 젊어졌다지만…방송 진행이 정치보다 어려워" 2013-06-20 18:00:54
학회에 따르면 국내에 알려진 환자만 500만명이고, 잠재환자까지 합치면 1000만명에 달한다. 정부 차원에서 예방과 치료를 지원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라고 그는 강조했다. “앞으로 당뇨 퇴치 캠페인을 펼치고 싶습니다. ‘저염식단’ 못지않게 중요한 ‘당뇨예방 식단’을 널리 알려 확산시킬 겁니다. 그것은 국민...
연세대, 27~29일 SED학술대회 개최 2013-06-20 17:35:33
세계적 경제학회인 sed(society for economic dynamics)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sed 학술대회가 아시아 지역에서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89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루카스, 토마스 사전트 교수 등을 주축으로 만들어진 sed는 거시경제 이론, 화폐금융, 경제 성장, 노동시장, 재정 및...
"의원발의 규제법안, 상당수가 필요·적절성 낙제점" 2013-06-12 17:15:53
재정위(2.87점), 환경노동위(2.88점) 등의 평점이 낮았다. 논문은 법안별 문제점도 조목조목 짚었다. 규제 품질이 낮은 법안으로는 ‘고등교육법 일부 개정안’(대표 발의:최재성 민주당 의원), ‘근로기준법 일부 개정안’(대표 발의:은수미 민주당 의원),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촉진법 일부 개정안’(대표 발의:이목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