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산은·정금공 통합시 자금공급여력 29조원 감소우려" 2013-07-31 06:06:10
실어주는 개편을 정부가 밀어붙이기 힘들게 됐다. TF 관계자는 "수은으로 무역보험 일원화하면 득보다 실이 크다는 견해가 많다"면서 "수은과 무역보험공사는 그대로 두자는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고 말했다. president21@yna.co.kr ksw08@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고집' 꺾은 금감원…STX조선 부도 위기 넘겨 2013-07-31 04:08:01
그쳤다. 농협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무역보험공사 등 나머지 채권단은 충당금 부담 등이 지나치게 커 동의서를 제출하기 어렵다며 8월이 돼야 여신위원회를 열어 동의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금감원이 여신건전성 분류와 관련해 기존 입장을 철회하기로 하자 상황이 급반전했다. 한 채권단 관계자는...
한덕수 무협회장 "中企가 살 길은 수출 늘리는 것" 2013-07-31 03:35:01
무역협회장(사진)은 30일 서울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무협 창립 67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중소기업은 단선적인 국내 납품에서 벗어나 해외 수출선을 확보해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한 회장은 “경제민주화는 한국의 시장경제가 아직 성숙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온 것”이라며 “정부 개입이 일부 필요한...
동아제약 회장 차남 집 공매 위기 2013-07-30 17:22:36
지분을 모두 처분한 후 제약업계를 떠났다. 이후 주류업체인 수석무역과 디지털오션 경영에 몰두했다. 그러나 디지털오션의 자금을 빼 수석무역에 지원하거나 우리들제약 인수 자금으로 사용한 혐의(배임)로 작년 12월 실형을 선고받았다.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값 더 싼 도요타·폭스바겐…현대차 "안방이 흔들린다" 2013-07-30 17:21:37
미국·유럽 등 주요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브랜드 간 경쟁 심화 등으로 수입차 가격 하락세가 이어져 가격 역전 현상이 가속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런 현상이 중·대형급에 이어 아반떼, 엑센트 등 준중형·소형 차종까지 확산될 것으로 보고 있다.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 이왕이면 싼 국산차...
김의기 "한미FTA 원산지 규정 너무 복잡…관세 혜택 포기하는 中企 나올 것" 2013-07-30 17:21:06
전문가 양성…中企 도와야 김의기 법무법인 율촌 고문(60)은 ‘세계무역기구(wto)의 산증인’이다.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체제가 wto로 바뀐 1995년부터 올해 6월 율촌 고문으로 자리를 옮기기 전까지 18년가량 wto에서 일했다. 1977년 관세청 사무관으로 시작한 것부터 따지면 36년동안 관세와 통상, f...
"밑져도 팔고보자" 수입차 공세…현대차 점유율 7.2%P 뺏겼다 2013-07-30 17:13:17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관세가 낮아진 것도 영향을 줬다. 현대차 고위 관계자는 “현대차와 직접 경쟁하는 도요타, 폭스바겐이 차값을 내린 것은 물론 fta 발효 후 bmw, 메르세데스 벤츠, 아우디 등 독일 브랜드도 가격 인하 공세를 펼쳤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현대차 판매량은 2009년 70만대에서 지난해 66만대로...
한덕수 무협회장 "경제민주화, 시장경제 미숙의 산물"(종합) 2013-07-30 17:10:31
무역협회 회장은 30일 "'경제민주화'는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 시장경제가 아직 성숙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온 것"이라며이를 보완하기 위해 정부 규제 등이 일부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한 회장은 이날 서울 코엑스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가진 무역협회 창립 67주년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시장 메커니즘이...
6개월째 일손 놓은 공기업 2013-07-30 17:10:19
산하의 공기업인 한국전력과 가스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지역난방공사, 광업진흥공사(광물자원공사) 등도 늦어도 6월 중순 전에 CEO 인선이 마무리됐습니다. 새정부가 출범이후 100일을 전후해 공기업 수장들의 교체가 마무리되면서 정부 정책에 대한 `운신의 폭`은 넓어졌습니다.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