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강남역에서 커피를 달러로 결제하는 날이 온다면 [한경 코알라] 2023-12-20 09:36:53
등 국가에서는 비트코인과 함께 테더라는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금융 인프라 접근성이 낙후된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도 테더, 유에스디코인(USDC)이 지급결제에 사용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지난 8월에 유명 지급결제 업체인 페이팔(PayPal)이 자체 스테이블코인인 PYUSD를...
"기울어진 운동장" 공매도에 분노…개미들이 요구한 대책은 [이슈리포트] 2023-12-18 11:08:12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금융위는 2018년 5월 '주식매매제도 개선방안'을 통해 모든 매도 시 매도자의 잔고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무차입 공매도 등 이상거래 적발을 위한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목적으로 해당 계획을 추진했다. 그러나 매도자의 모든 거래정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사실...
"G7, 러시아 해외자산 391조 중 일부 압류해 우크라 지원 추진" 2023-12-16 21:29:58
지난 12일 역내 금융기관의 러시아 동결 자산 수익금을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해 사용하는 방안에 합의한 바 있다. 벨기에 브뤼셀에 소재한 국제 예탁결제기관 유로클리어 등 금융기관에 묶여있는 러시아 자산의 이자 등 수익금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그러나 뱌체슬라프 볼로딘 러시아 하원(국가두마) 의장은 지난달 G7...
조각투자시장 개화 초읽기, 유통까지 원활하려면 [이슈리포트] 2023-12-14 10:25:35
걸린다. 장내 거래 시장이 열리더라도 금융감독원의 증권신고서 승인이 난 투자계약증권을 곧바로 사고팔 수 있는 건 아니다. 일반 상장 종목이 거래소의 예비심사청구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것처럼 투자계약증권도 상장에 앞서 거래소의 심사를 추가로 받아야 한다. 신종증권의 상장 시장은 기존 전자증권 방식으로 운영하는...
중국의 탈달러·위안화 국제화 앞에 놓인 '5가지 장애물' 2023-12-07 15:22:45
달러화는 48%에 달했다. 재작년 중국의 국경 간 거래 결제액의 47%는 달러로 이뤄졌다. 전문가들은 국제 금융시장에서 달러화의 지배력이 줄어들기는 어렵다고 보고 있다. 또한 중국의 취약한 경제와 자본 통제가 위안화의 사용에 제약이 될 수 있다. 기업과 기관들이 중국의 불안정한 경제 상황을 감안해 위안화 보유를...
공매도 개선안 놓고 온도 차…"공정경쟁 기여"vs"전산화가 시급" 2023-12-04 19:11:46
통해 중계된 한국거래소·한국예탁결제원·한국증권금융·금융투자협회 공동 주최 '공매도 제도개선 토론회'에서 유관기관·학계·업계·개인투자자 측 관계자들이 모여 이 같은 설전을 주고받았다. 앞서 지난달 정부와 여당 국민의힘이 관련 협의회서 발표한 공매도 제도 개선안에는 ▲ 중도 상환 요구가 있는...
이창용 총재 'BIS 싱크탱크' 수장 맡았다 2023-11-15 18:42:39
한국은행 총재(사진)가 지난 13일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국제결제은행(BIS) 총재회의에서 BIS 글로벌금융시스템위원회(CGFS) 의장에 선임됐다. CGFS는 BIS 총재회의의 최고위급 핵심 협의체로, 금융시스템 이슈에 대한 모니터링과 분석을 통해 적절한 정책 방안을 권고하는 위원회다. BIS의 싱크탱크 역할을 한다. 2008년...
亞외환위기때 만든 세계 금융불안 대응위원회 수장 된 한은 총재 [강진규의 BOK워치] 2023-11-15 10:00:02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국제결제은행(BIS) 글로벌금융시스템위원회(CGFS) 의장으로 선임됐다. BIS가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글로벌 금융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구성한 위원회를 외환위기 당사국 총재가 이끌게 된 것이다. 15일 한국은행은 이 총재가 지난 13일(현지시간)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BIS 총재회의에서 CGFS...
전세계 개도국, 중국에 최소 1천462조원 빚져…연체 급증 2023-11-14 15:44:13
58%는 외환보유고와 신용등급을 보강하거나 다른 국제 금융기관에 대한 채무 상환을 지원하기 위한 긴급 구조 대출이었다. 이 같은 추세는 중국이 점점 더 '국제 위기관리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satw@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야당의 은행 횡재세는 금융산업 모르는 소리" 2023-11-09 17:56:39
금융지주의 외국인 주주 지분율은 60~70%에 달한다. 한 시중은행 부행장은 “‘자금 중개’와 ‘지급결제’라는 은행 역할을 다하려면 충분한 자금과 자본을 안정적으로 확보, 유지해야 한다”며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로 주식가치가 떨어지면 은행권의 유상증자 등 자금 조달이 막힐 것”이라고 했다. 금융당국도 횡재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