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냉난방공조 진출 13년 만에…LG전자, 세계 톱5 올라섰다 2024-11-19 17:41:08
등 모든 부문에서 대용량 제품이 더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LG전자는 앞으로 칠러 수요 확대에 맞춰 글로벌 냉각 시스템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ibis월드에 따르면 2023년 584억달러였던 글로벌 HVAC 시장 규모는 2028년 610억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보인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초-장조장 지중 전력망…대한전선, 국내 첫 수주 2024-11-15 18:32:08
수 있다. 대한전선이 수주한 건 싱가포르에서 수행한 초-장조장 전력망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한 덕분이다. 대한전선은 2016년부터 3년간 싱가포르의 최고 전압인 400kV급 초고압 전력망 프로젝트에 참여해 케이블 길이가 약 1.9km에 달하는 초-장조장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삼성전자·LG전자, 'CES 혁신상' 싹쓸이 2024-11-15 17:37:15
버즈3 프로’가 최고 혁신상을 받았다. 생활가전 부문에선 2025년형 가전 신제품과 서비스로 4개의 혁신상을 수상했다. LG전자는 최고 혁신상 3개를 포함해 총 24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LG 올레드 TV는 영상디스플레이와 화질 부문에서 최고 혁신상을 포함해 총 6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LG전자 올 구독 매출 1조 돌파 2024-11-14 17:37:20
사업을 시작했다. 추가로 인도 등지로의 진출을 검토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구독을 통해 초기 가전 구매 부담을 낮추고 원하는 기간만큼 필터 세척, 분해 세척, 소모품 정기 교체 등 전문가의 관리를 받으며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점이 소비자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LG전자, 美 반도체설계사와 AI칩 개발 2024-11-12 17:46:21
개발한 기업이다. 텐식스 NPU를 통해 고성능 컴퓨팅(HPC) 반도체를 설계할 수 있는 기술 역량을 갖췄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구광모 LG 회장이 지난 6월 북미 출장 당시 켈러 CEO와 회동하기도 했다. 조 CEO는 “텐스토렌트와의 협력을 통해 공감지능을 구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삼성 R&D단지 美에 지었다면 5조 감면…'반도체 전쟁' 뒷짐진 韓 2024-11-10 17:45:14
관계자는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 및 신성장 사업화 세액공제에 적용되는 시설 범위에 R&D 설비와 장비를 포함해 공제율을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인협회 대한상공회의소 등 경제단체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정부와 국회에 이런 방안을 다시 건의하기로 했다. 황정수/김채연 기자 hjs@hankyung.com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 "사이버 폭력 예방 힘쓸 것" 2024-11-07 18:09:28
게시물에 대한 책임 강화, 가해자 SNS 계정 정지, 피해자 치유 및 가해자 재범 방지법 등 법적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사이버폭력 피해학생 홍모군(고2)은 “피해로 힘들어하는 학생을 진심으로 살펴보고 마음을 다해 피해자 이야기를 들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흑백요리사'도 쓰는 삼성 비스포크 AI 가전 2024-11-06 17:38:19
쿠킹쇼를 열었다. 요리사가 해물 토마토 김치 요리를 준비하자 비스포크AI 패밀리허브 냉장고는 식재료와 최적 레시피를 추천해줬고, 비스포크 큐커 오븐과 비스포크 AI 인덕션은 조리시간, 적정 온도 등을 알아서 설정했다. 삼성은 AI비전 등을 통해 편의 기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1시간이면 5종 요리 뚝딱'…흑백요리사도 놀란 삼성 AI 가전 2024-11-06 16:59:54
평상시보다 훨씬 용이했다"며 "AI 가전을 활용하면 요리 초보들도 다양한 요리를 손쉽게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주 삼성전자 DA사업부 상무는 "앞으로도 AI 비전, AI 보이스, 데이터 인텔리전스를 통해 한층 더 세심하게 맞춰주는 솔루션을 선보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한종희 "삼성, 지속가능한 AI 생태계 구축" 2024-11-05 17:42:44
적용한 개인화 AI 서비스 기술’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지식 그래프는 관련 있는 정보를 서로 연결된 그래프 형태로 표현해 주는 기술이다. 데이터를 통합하고 연결해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빠른 정보 검색과 추론을 지원해 개인화된 AI를 구현하는 핵심 기술 중 하나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