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포스코ICT, 동화기업에 스마트팩토리 구축한다 2017-09-26 19:32:16
최대 목질자재 전문기업 동화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사업을 맡았다고 26일 발표했다.동화기업의 인천 소재 파티클보드 공장을 스마트팩토리 시범공장으로 선정해 내년 7월까지 사업을 추진하는 내용이다. 포스코ict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이 포스코 외 회사에 적용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동화기업은 이번 사업을 통해...
포스코ICT, 동화기업에 스마트팩토리 구축한다 2017-09-26 14:28:16
국내 최대 목질 자재 전문기업 동화기업[025900]에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한다고 26일 밝혔다. 동화기업과 포스코ICT는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공장을 스마트팩토리 시범공장으로 선정하고, 내년 7월까지 관련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포스코ICT는 "동화기업의 스마트팩토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고침] 정치(인사혁신처, 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장에 민간 전문가 영입) 2017-09-25 17:52:26
구축하고 목질 자원의 친환경 소재 및 기술 개발, 임산자원의 바이오 연료 고도화 연구, 산림 미생물의 자원화 연구 등을 관장하는 자리다. 권 신임 임산공학부장은 강원대 임산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임산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목재공학회 상임이사, 한국가구학회장, 전국국공립대교수연합회 공동회장...
인사혁신처, 권진헌 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장 헤드헌팅으로 영입 2017-09-25 12:00:22
구축하고 목질 자원의 친환경 소재 및 기술 개발, 임산자원의 바이오 연료 고도화 연구, 산림 미생물의 자원화 연구 등을 관장하는 자리다. 권 신임 임산공학부장은 강원대 임산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임산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목재공학회 상임이사, 한국가구학회장, 전국국공립대교수연합회 공동회장...
"신재생에너지"vs"공기 오염"…목재 화력발전소 놓고 곳곳 마찰 2017-09-24 08:23:34
하루 목질계 연료 500t을 소각해 29.9㎿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를 건립하기로 했다. 목재를 가공한 뒤 남은 자투리 우드칩과 나무 찌꺼기를 압축 성형한 우드펠릿을 태워 전기를 만든다고 한다. 그동안 구미시의회, 시민·환경단체,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 등은 잇따라 화력발전소 건립에 반대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거나...
신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 거래량, 지난해 사상 최대 2017-07-06 07:27:00
113배 증가했다. 그다음으로는 우드펠릿을 사용한 목질계 바이오매스로 1.8배 증가하며 88만2천786㎿h가 거래된 것으로 집계됐다. 우드펠릿을 사용한 목질계 바이오매스 발전이 증가하는 이유는 발전사들이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를 쉽게 이행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2012년부터 시행된 RPS(신재생에너지 공급...
맞수기업리포트 유니드VS동화기업 2017-07-04 16:04:01
맞수기업 `유니드 VS 동화기업` MDF란? ▶ 가구 원자재 ㆍ 주택 내부 마감용 목질 건축자재 2012년 업계 1위가 바뀔만한 이유가 있었나요?? 유니드 VS 동화기업, 2012년 점유율 차이 0.3% 2012년 동화기업 ▶ 한솔홈데코 충남 아산 MDF 공장 인수 ▶ 인천 공장 폐쇄…생산량 일시적 감소 2012년 유니드 ▶ MDF 공...
광양시, 우드펠릿 원료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 반대 2017-06-13 16:06:30
열어 "반환경 목질계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계획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광양시도 발전소 건설에 반대하는 시민 의견을 그린에너지 측과 관계기관에 전달하고 환경단체와도 협조할 방침이다. 광양그린에너지 관계자는 "발전소에서 건축폐기물을 쓸 거라고 우려하는데 순수 목재인 우드 펠릿만을 활용한다"며 "환경단체의...
화력발전소 건립 갈등…"환경오염" vs "신재생에너지" 2017-06-02 14:12:36
측은 신재생에너지(목질계 바이오매스 발전소)라고 주장하는 반면 구미시는 대기를 오염하는 화력발전소라고 반박한다. 구미그린에너지는 지난달 26일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에서 발전 허가를 받고 개발실시계획변경, 설계작업 등 절차를 거쳐 2020년까지 발전소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 1천290억원짜리 화력발전소...
구미시 "화력발전소 사업 허가 즉각 철회하라" 2017-05-28 13:36:57
산자부에 요청했다. 지난 4월 17일 구미1산단 열병합발전소 부지 안에 있는 ㈜구미그린에너지는 산자부에 바이오매스 전기사업을 신청했으며, 산자부 산하 전기위원회는 지난 26일 심의·가결했다. 바이오매스 발전소는 목질계 원료(우드펠릿·우드칩)를 태워 전기를 생산하는 화력발전소이다. suho@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