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지엔, 글로벌 해킹대회 폰투온서 차량 해킹 성공 달성 2025-02-03 16:22:30
네비게이션, 차량 상태 모니터링, 전화 통화 등의 기능을 통합한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뜻한다. IVI는 복수의 디바이스와 상시 연결되는 만큼, 자동차 보안의 핵심 및 취약 요소로 꼽히기도 한다. 지엔 조영민 대표는 “이번 폰투온 행사 참여가 지엔의 가능성과 기술력을 입증하는데 큰 이정표가 됐다”며,...
[단독] 한화비전, 아워홈 인수에서 빠진다…한화 인수구조 변경 2025-02-03 15:27:36
영상 보안, 카메라 광학, IT솔루션 사업으로 아워홈의 단체급식과는 직접적인 시너지가 적다. 한화 측은 급식사업에 카메라 광학기술과 로봇기술을 접목해 조리와 배식, 세척 등을 일부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방안의 청사진을 내놓았지만 주주를 설득하기엔 시한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화 측은 금융권 차입을...
한화오션·HD현대重, 한국형구축함 방산업체 지정 2025-02-03 15:22:23
국방기술품질원,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 등으로 합동 현장실사단을 최초로 운영했다는 설명이다. 관계기관 합동 현장실사단은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이 '구축함(KDDX), 완제품'의 '생산능력을 보유'했음을, 방사청은 두 업체가 '보안요건을 충족'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방사청과 최종...
산업부, 한화오션·HD현대 '차기구축함 방산업체' 지정 2025-02-03 15:00:02
기술로 건조하는 첫 국산 구축함 사업이다. 총 6척을 건조할 계획으로 사업비는 7조8천억원에 달한다. 산업부는 ▲ 신규 업체 지정 타당성 검토 ▲ 합동 현장 실사단 구성 및 생산 능력 판단 기준서 마련 ▲ 합동 현장 실사 등 절차를 거쳐 두 업체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현장 실사단의 실사와 방사청의 보안...
방송통신전파진흥원, 사이버보안·네트워크 기술 스타트업 지원 2025-02-03 14:26:21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10대 초격차 기술 분야는 ▲ 시스템 반도체 ▲ 바이오·헬스 ▲ 미래 모빌리티 ▲ 친환경·에너지 ▲ 로봇 ▲ 인공지능(AI)·빅데이터 ▲ 사이버 보안·네트워크 ▲ 우주·항공·해양 ▲ 차세대 원전 ▲ 양자 기술이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은 이 중 사이버 보안·네트워크 분야의 기술 사업화...
MS 이어 구글도 CSAP 인증 획득…불붙는 공공 클라우드 시장 2025-02-03 14:09:53
서울 리전의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 데이터베이스, 보안 등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구글 클라우드는 2020년 2월 서울 리전 운영을 시작한 이후 한국 정보보호관리체계(K-ISMS) 인증, 금융보안원(K-FSI) CSP 안정성 평가 등을 받았다.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사장은 “정부...
MS 이어 AWS도 딥시크 모델 도입…美 빅테크의 '흑묘백묘론' [이승우의 IT인사이드] 2025-02-03 11:16:30
잠재적 위험을 줄이기 위해 모델 동작 자동 평가와 보안 검토 등 안정성 평가를 거쳤다”고 설명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I PC에서 R1 모델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도 밝혔다. 소형화한 AI 모델을 PC에서 구동할 경우 외부로 데이터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우려도 해소할 수 있다. 사티아 나델...
딥시크 쇼크와 트럼프 관세...AI 소프트웨어 주목 2025-02-03 10:13:06
AI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의 시장 참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딥시크와 같은 주요 중국 기업들의 AI 기술이 저비용으로 만들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대기업 중심이 아닌 AI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는 기업들에 대한 시장 참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미국과 중국 간의 대립 속에서 AI와...
"개인정보 유출 위험"…美텍사스 등에서 中AI 딥시크 금지 확산 2025-02-03 03:34:44
위험이 있다며 저명한 사이버 보안 회사들이 이미 딥시크 이용 시 취약점을 지적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딥시크는 지난달 27일 대규모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중국 관영매체는 딥시크를 겨냥한 사이버공격이 미국에서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미국 전략·국제학센터의 전략기술 프로그램 책임자인...
日·대만 딥시크 차단…개인정보 유출 우려 2025-02-02 18:23:45
디지털부는 “딥시크는 중국의 정보통신기술 제품이자 서비스로,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해군도 “모델의 근원과 보안 및 윤리 측면에서 우려가 있다”며 딥시크 사용 금지령을 발표했다. 유럽 각국 또한 딥시크의 보안 문제를 들여다보고 있다. 이탈리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