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 월북 미군 '전쟁포로'로 분류 안 해…"자발적으로 넘어가" 2023-08-05 06:13:24
분계선을 넘은 상황이 참작돼 전쟁 포로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린 것이라고 익명의 당국자는 설명했다. 미국 정부는 이 같은 입장을 북한에 개별 소통선을 통해 전달한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킹 이병의 상태에 대해 추가적 정보가 확보될 경우 필요에 따라 그를 전쟁 포로로 분류할 여지는 여전히 남아있다. 앞서...
[사설] 강제북송 사건 또 각하한 인권위, 간판이 아깝다 2023-08-02 18:01:18
분계선으로 끌고 가 저항하는 이들을 북한으로 넘겼다. 자유의사에 반해 이뤄진 것으로, 반인권적 작태다. 인권위는 각하 이유에 대해 ‘수사와 재판이 이뤄지고 있거나 종결된 경우라면 (진정을) 각하한다’는 인권위법을 근거로 들었다. 하지만 유무죄를 가리는 법원과 달리 인권 침해 여부 판단은 인권위의 고유 업무다....
"월북 미군 병사, 작년 9월에도 주둔지 무단 이탈" 2023-07-23 11:03:08
분계선에선 남쪽으로 2400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육군과 주한미군이 함께 군무한다. 캠프 보니파스에는 판문점 지역 경비를 맡는 한미 공동 경비 중대도 포함돼 있다. 이 지역 사정을 잘 알고 있었던 만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견학을 탈출 경로로 삼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ABC는 "킹 이병이 배치받은 기지의...
"월북미군, 지난해 9월에도 주둔지 이탈…의정부서 발견" 2023-07-23 00:28:26
군사분계선에서는 남쪽으로 2천400m인 파주 문산읍에 위치한 기지로, 육군과 주한미군이 함께 근무한다. 2006년까지 미군이 관할하다 한국에 반환됐다. 캠프 보니파스에는 판문점 지역 경비를 맡는 한미 공동 경비 중대도 포함돼 있다. ABC는 "킹 이병이 배치받은 기지의 특성과 수색병으로서 역할을 감안하면, 그가 DMZ를...
미 월북사태 자성론…"관심병사 관리·보안에 구멍 뚫렸다" 2023-07-22 12:09:18
따라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킹이 JSA에서 군사분계선을 순식간에 넘어간 점도 주목된다. JSA에서 남한과 북한을 나누는 것은 쉽게 뛰어넘을 수 있는 경계석에 불과하다고 WSJ이 지적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도 2019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날 때 판문점의 낮은 경계석을 넘어 북한 땅을 밟은 적 있다....
월북 미군은 어디에...북한 '묵묵부답' 2023-07-21 17:16:58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견학하다 군사분계선을 넘어 월북한 지 사흘이 지났지만 미국 정부는 아직까지 그의 행방에 관한 정보를 알아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주한미군 공보실장인 아이작 테일러 대령은 남측 비무장지대(DMZ)를 관할하는 유엔군사령부가 킹의 월북과 관련해 핫라인으로...
월북 미군 사흘 지나도 오리무중…美 수소문에도 北 '무반응' 2023-07-21 16:53:51
분계선을 넘어 월북한 지 사흘이 지났지만 그의 행방은 여전히 깜깜무소식이다. 미국 정부가 킹에 관해 별다른 정보를 얻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태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1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주한미군 공보실장인 아이작 테일러 대령은 남측 비무장지대(DMZ)를 관할하는 유엔군사령부가 킹의...
[고침] 국제(공항서 달아나 갑자기 JSA 견학…23세 주한미…) 2023-07-20 16:26:01
군사분계선을 넘은 미군 병사를 둘러싼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미 당국은 주한미군 장병임을 확인했지만 사안의 민감성을 감안해 그의 신상에 대해 매우 제한된 정보만 제공하고 있다. AP 통신 등 미 언론에 따르면 월북한 병사는 흑인인 트래비스 킹 이등병(23)이다. 그러나 그가 전날 미국행 비행기를 타려고 공항으로...
하루 10시간 세뇌교육…월북 미군들이 경험한 '생지옥' 2023-07-20 10:57:20
분계선을 넘어 월북한 사례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면서 "이전까지 5건, 어쩌면 6건의 미군 월북 사례가 있다"고 19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알려진 첫 사례는 1962년 5월 월북한 래리 앱셔 일병이다. 같은해 8월 역시 월북한 제임스 드레스녹 일병은 앱셔가 "한국에서 대마초 관련 문제가 있었고, 군법회의에 회부돼 군에서...
과거 월북 미군들 결말…"김일성 강제수업 뒤 사실상 감옥생활" 2023-07-20 10:24:21
미국 북한전문매체 NK뉴스는 미군 병사가 자의로 군사분계선을 넘어 월북한 사례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면서 "이전까지 5건, 어쩌면 6건의 미군 월북 사례가 있다"고 19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알려진 첫 사례는 1962년 5월 월북한 래리 앱셔 일병이다. 같은해 8월 역시 월북한 제임스 드레스녹 일병은 앱셔가 "한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