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하나금융 1분기 순익 1조340억원…ELS 충당부채 1천799억원(종합) 2024-04-26 14:57:06
자산건전성을 재분류하고 선제적 충당금을 적립하는 등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핵심 자회사인 하나은행의 1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1% 감소한 8천432억원을 기록했다. 홍콩H지수 ELS 충당부채 1천799억원 등 대규모 일회성 비용에도, 대출자산의 안정적인 성장, 수수료 이익 증가 등 견조한...
2월 은행 대출 연체율 0.51%…4년9개월만 최고 2024-04-24 06:18:58
큰 폭 하락하는 경향이 있어 3월 말 연체율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감원은 "취약차주에 대한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하고, 부실채권 상·매각 등을 통한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하겠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2월 은행 대출 연체율 0.51%로 올라…4년9개월만 최고 2024-04-24 06:00:14
말 연체율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감원은 "취약차주에 대한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하고, 부실채권 상·매각 등을 통한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하겠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srchae@yna.co.kr (끝) <저작권자(c)...
은행 대출 연체율 1년새 0.15%p 올라...소상공인 연체율 상승폭 커 2024-04-23 15:29:44
0.42%로 1년 전(0.32%)보다 0.10%p 올랐다. 금감원은 취약차주에 대한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하고, 부실채권 상각과 매각 등을 통한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하는 한편,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대손충당금 적립을 확대하도록 하는 등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PF 부실사업장 정리·재구조화 차질없이 이행" 2024-04-12 11:18:40
시장 환경 변화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자본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건전성 상황을 세밀하게 점검하고, 필요시 경영진 면담을 실시하는 등 사전 대응 노력을 경주해 달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어 "그동안 금융회사의 건전성 제고와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추진해 온 만큼 최근의 대내외 시장 불안요인들을 충분히 감내할...
금융지주사 순이익 3년 연속 '20조원대' 2024-04-09 06:15:53
기준 0.72%로, 1년 전보다 0.23%p 높아져 자산건전성이 악화했다. 손실흡수능력 지표인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50.6%로 1년 전 대비 19.9%p 하락했다. 금융지주의 별도기준 부채비율은 27.2%로 전년 말(29.0%) 대비 1.8%p 하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금융지주회사의 대출자산 등 자산 성장세는 둔화되고 당기순이익...
금융지주사 순이익 3년 연속 20조원대…보험권 순이익 44%↑ 2024-04-09 06:00:01
1년 전보다 0.23%p 높아져 자산건전성이 악화했다. 손실흡수능력 지표인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50.6%로 1년 전 대비 19.9%p 하락했다. 금융지주의 별도기준 부채비율은 27.2%로 전년 말(29.0%) 대비 1.8%p 하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금융지주회사의 대출자산 등 자산 성장세는 둔화되고 당기순이익은 2021년 이후...
[단독] 새마을금고 '깡통금고' 되나…연체율 10% 넘은 곳 44곳 → 80곳 2024-04-03 18:23:58
있다는 얘기다. 손실흡수능력 관련 지표인 순자본비율이 규제 수준(4%)에 못 미치는 금고도 23곳에 달했다. 올해 들어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한 것으로 전해진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올해 3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을 잠정 집계한 결과 7%대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5.07%) 대비...
김주현 금융위원장 “ELS 등 금융사고와 감동없는 수익창출로 신뢰 저하” 2024-04-01 10:41:34
△손실흡수능력 제고 △비이자이익 비중 확대 △성과급·퇴직금 등 보수체계 개선 및 주주환원정책 점검 △사회공헌 활성화 등 6개 과제를 선정하고 대출 갈아타기(대환대출) 플랫폼,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인터넷 은행 신규 인가 등의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금융권 내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홍콩 H지수...
1월 은행대출 연체율 전 달보다 0.07%p 올라...한 달 만에 상승 반전 2024-03-29 10:44:41
올랐고, 가계대출 연체율은 0.38%로 같은 기간 0.03%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은 "신규연체율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연체율 상승세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라며 "은행권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하고, 대내외 리스크를 반영해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해 나가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