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폐암 치료 희망된 AZ 타그리소…유일하게 3년 이상 생존 입증 2024-10-15 16:06:46
분야에서도 글로벌 리더다. 세계 첫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표적 치료제인 ‘이레사’(성분명 게피티닙),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글로벌 표준 치료제인 ‘타그리소’(오시머티닙), 폐암 면역항암제 ‘임핀지’(더발루맙) 등이 모두 이 회사 제품이다. 타그리소는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
아이큐어 자회사 커서스바이오, 항비만 유전자치료제 KDDF 과제 선정 2024-10-14 16:10:07
포만감을 증가시켜 식욕이 떨어지는 GLP-1 수용체 기반이다. 허가 범위 내에 사용해도 위장관 부작용인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변비등과 함께 근육세포의 감소, 탈모, 담석증, 급성 췌장염 등의 부작용이 따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또한 투여 중단시 체중이 다시 급격하게 증가해 원상태로 돌아가는...
박셀바이오, 의약품 유통 기업 에스에이치팜 흡수합병 2024-10-14 10:55:08
확대와 안정적인 매출 확보를 통한 기업 가치 증대"로 명시했다. 이제중 박셀바이오 대표는 "현재 일정 궤도에 오른 자연살해(Natural killer·NK) 세포치료제와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치료제 연구·개발과 상용화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매출) 활용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hyunsu@yna.co.kr...
[이지 사이언스] 유방암부터 폐암까지…조기 진단 지표 '바이오마커' 2024-10-12 08:00:04
분야 내 대표적 바이오마커로는 표피성장인자 수용체2(HER2)가 지목된다. 유방암 진단에 활용되는 HER2는 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로 세포 성장과 분열을 촉진한다. 정상 세포에서도 발현되나 과발현되면 악성 종양인 HER2 양성 유방암이 생길 수 있다. 이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의 약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게니움 "KIAT 국제 공동 R&D 과제 선정…3년간 60억원 지원" 2024-10-10 09:21:51
60억원을 지원받으며 또 2년 연장이 가능해 연구비 지원액이 최대 100억원에 이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연구는 개발 중인 전달체 기술을 이용해 CAR(키메라 항원 수용체) 유전자를 생체 내에 직접 전달하고, 이를 통해 체내에서 CAR-NK 세포를 생산한 뒤 이 세포의 항암 효능 검증을 진행하게 된다고 인게니움은...
역대 노벨 화학상 수상자는…116회 걸쳐 195명 영예 2024-10-09 19:19:43
심혈관계 질환과 뇌 질환 등에 관여하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에 대한 연구. ▲ 2011년 : 다니엘 셰흐트만(이스라엘) = 준결정 발견 공로. ▲ 2010년 : 리처드 F. 헤크(미국), 네기시 에이이치, 스즈키 아키라(이상 일본) = 금속 촉매를 이용한 복잡한 유기화합물 합성 기술에 대한 연구 ▲ 2009년 : 아다...
"강력 부양책 없었다"…中 증시 랠리 끝났나 [장 안의 화제] 2024-10-08 17:33:10
GLP-1 수용체 계열 피하주사를 일주일에 한 번씩 맞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때 스스로 배나 허벅지, 팔 등에 바늘을 찔러 넣어야 하는 방식이라서 환자 입장에서는 자주 맞고 싶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당 약물을 한 달간 장기 지속형 주사제로 바꾼다면 연간 52번을 맞아야 되는 것이 연간 12번으로 줄어들어서...
일라이릴리의 펩트론 '픽'...제2 알테오젠 될까 2024-10-08 15:13:29
GLP-1 수용체 계열 피하주사를 1주일에 1번 맞는 경우가 있는데요. 스스로 배나 허벅지, 팔 등에 바늘을 찔러 넣어야 하는 방식이라 환자 입장에서는 자주 맞고 싶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당 약물을 1개월 장기지속형 주사제로 바꾼다면 연간 52회를 맞는 게 연간 12회로 줄어들어, 환자 입장에서는 편의성이...
역대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는…115회 걸쳐 229명 영광 2024-10-07 18:48:41
온도와 촉각 수용체를 발견 ▲ 2020년 : 하비 올터, 찰스 라이스(이상 미국)·마이클 호턴(영국) = C형 간염바이러스를 발견해 간암, 간경변 등 질노벨병 치료 관련 연구에 공헌 ▲ 2019년 : 윌리엄 케일린·그레그 서멘자(이상 미국)·피터 랫클리프(영국) = 산소 농도에 따른 세포의 적응 기전에 관한 연구 공로 인정 ▲...
올해 과학계 노벨상은…생성형AI·게놈지도·비만치료제 등 거론 2024-10-06 08:09:40
세마글루타이드는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수용체 작용제로, 체내에서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인 GLP-1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 당초 2형 당뇨 치료제로 개발됐지만 체중 감량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비만 치료제로 인기를 끌고 있다. 모이소프·하베너 교수는 GLP-1를 식별하고 합성하는 데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