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명왕성 얼음행성 "뉴호라이즌스 대박이야"..우주 비밀 속속 전해! 2016-03-19 00:00:00
연구팀은 “명왕성의 궤도는 심한 타원을 그리는 만큼 근일점이나 원일점(행성의 공전 궤도상 태양과 가장 먼 지점)을 지나면서 온도가 달라질 때 어떤 변화를 겪으며 지금의 대기가 형성됐는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팀은 앞으로 뉴호라이즌스에서 계속 데이터를 전송받을 예정이며, 이를 통해...
[북 장거리 미사일 도발] 군 "광명성호 사거리 미 본토 도달…ICBM 전환 기술은 확보 못해" 2016-02-09 17:50:27
추진체와 탑재체가 함께 위성궤도를 돌고 있다고 본다. 470~509㎞의 고도로 원형에 가까운 형태의 타원궤도에서 97분마다 지구를 한 바퀴씩 돌고 있다는 것이다. 궤도 진입까지 걸린 시간은 발사 후 9분29초로 추정했다. add 관계자는 “(은하 3호에 이어) 이번까지 두 번 연속으로 탑재체를 위성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달탐사> 2018년 달궤도선 발사…내년 사업추진 본격화 ① 2015-12-24 06:00:16
도는 궤도에 1년 이상 머물며 달 지형관측, 착륙선 착륙지점 정보 수집, 우주인터넷 기술 검증 실험 등을 하게 된다. 달궤도선 운영을 위해 국내에 처음으로 심우주지상국이 구축되고 달이 우리나라반대쪽에 있을 때 궤도선 추적과 통신을 위해 NASA 심우주지상국을 활용한다. ◇ 달궤도선, 위상전이궤도 타고...
[천자칼럼] 비너스를 찾아 2015-12-09 17:32:10
궤도 진입에 성공함으로써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 일본 기술진은 금성 상공 약 500㎞에 도달한 아카쓰키의 속도를 떨어뜨리기 위해 소형 엔진 4기를 20여분간 분사하는 방식으로 성공했다고 한다. 5년 전 엔진 고장으로 실패한 뒤 시기를 저울질해 오다 마지막 남은 연료를 소진하며 재진입한 것이다.무게 500㎏에 상자...
[영·수야! 놀자] 서울과학고 김국인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2015-10-02 17:15:30
장축 위의 꼭짓점까지 거리의 비로 구한다. 타원의 이심률은 0과 1 사이의 값을 갖고, 0일 경우는 원이 되며 0에 가까울수록 원과 비슷한 모양이 된다.지구 역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데, 지구의 공전궤도는 이심률이 0.017인 타원이다. 케플러는 태양계 내의 행성의 궤도는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이라는...
추석 슈퍼문, 올해 보름달 중 가장 크다…우리동네 달뜨는 시간 언제? 2015-09-26 21:38:36
있다. 달의 크기가 변화하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궤도로 공전하면서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기 때문인데, 이번 한가위 보름달이 남중했을 때 시반경(눈으로 보이는 달의 반지름)은 16′44.16″이며, 이날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35만6,882km이다. 이는 달과 지구 사이의 평균거리인 약 38만km 보다 약...
"한가위 보름달 개기월식, 인터넷으로 보세요" 2015-09-26 06:01:08
달의 크기가 변하는 것은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궤도로 공전하면서 달-지구 거리가 변하기 때문이다. 한가위 보름달이 남중했을 때 눈에 보이는 달의 반지름(시반경)은 16ཨ.16"이며, 이날 달-지구 거리는 35만6천882km로 달-지구 평균거리(약 38만km)보다 약 2만3천km 가깝다. scitech@yna.co.kr(끝)<저 작 권...
한가위 보름달 볼 수 있는 시간은 2015-09-16 16:15:56
똑같지만 우리 눈에 크기가 다르게 보인다. 이는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 돌기 때문이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달이 커 보이고 멀면 작게 보인다. 이번 추석 보름달이 가장 높이 뜨는 27일 새벽 0시 지구와 거리는 35만6882㎞로, 평균 거리인 38만4400km보다 약 2만7500㎞가량 가깝다. 천문연은 “...
올해 가장 큰 보름달 한가위 오후 5시50분에 뜬다 2015-09-16 09:55:12
달의 크기가 변하는 것은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궤도로 공전하면서 달-지구 거리가 변하기 때문이다. 한가위 보름달이 남중했을 때 눈에 보이는 달의 반지름(시반경)은 16ཨ.16"이며, 이날 달-지구 거리는 35만6천882km로 달-지구 평균거리(약 38만km)보다 약 2만3천km 가깝다. scitech@yna.co.kr(끝)<저 작 권...
또 하나의 지구, 또 하나의 인간? 2015-07-25 01:32:33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 크기와 궤도 등 특성이 지구와 가장 비슷해 `또 하나의 지구`로 손꼽힌다. 한편, 영국 왕립천문학회도 최근 "우리 은하가 속한 국부 은하군에서 새로운 은하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러시아과학원 특별천체물리학관측소 이고르 카라체셰프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해 8월 허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