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김상곤 "안정적이고 신중하게 교육개혁 추진" 2017-06-29 11:09:37
것”이라고도 했다.“과도한 학벌주의와 입시 중심 무한경쟁 교육, 양극화와 교육 기회불균등 속에서 학교 현장이 황폐화되고 있다”고 진단한 김 후보자는 “교육에서만큼은 경쟁 만능주의나 특권 의식이 만연하는 일이 없도록 불합리한 서열화 체제를 해소해나갈 것”이라고 단언했다.서열화...
교육단체 "출신학교 차별금지법,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해야" 2017-06-22 09:28:10
서열화나 학벌주의가 쉽게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국민은 사교육을 멈출 수가 없다"면서 "학력·학벌 중심 사회구조를 깨려면 혁신적이고 강도 높은 법·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 자문위에 속한 더불어민주당 관계자가 채용절차공정화법을 고쳐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을...
기준 따라 오락가락, 순위경쟁에 조작까지…대학평가의 그늘 2017-06-22 06:25:00
대학평가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대학사회는 학벌주의를 부추기고 서열화를 조장하는 대학평가의 근본적 문제점을 살펴야 한다고 주장한다. 평가가 얼마나 실효성 있는 잣대를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한다. 일례로 보통 대학의 '국제화' 수준을 따질 때 외국인 교수 수와 영어강의 개설 수를 지표로...
인권위 권고 나몰라라…광주 고교·학원 합격 홍보물 게시 여전 2017-06-13 10:33:19
학벌 없는 사회는 관할 관청인 광주시교육청에 해당 학교와 학원을 지도 감독해 달라고 요청했다. 학벌 없는 사회는 "이 같은 행태는 소위 명문학교 진학 결과를 학교 교육의 성과인 양 자랑해 온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악습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광주시교육청의 강력한 지도 감독과 함께 각급...
고졸 9급서 차관까지…이기우 회장 "고졸 신화라는 말 없어지길" 2017-05-24 08:31:00
성공하지 못합니까? 학력이나 학벌이 아니라 능력과 열정, 성실함이 중요한 것이죠. 더 많은 신화보다는 능력 위주 사회로 환경 자체를 바꿔야 합니다.”스스로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소신이다. 명문대, 행정고시 출신이 즐비한 곳에서 능력 하나로 인정받았다. 이해찬 당시 교육부 장관은 그를 두고 “100년에 한...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경제 2017-05-23 15:00:02
주의보'…해수부 조기대응체제 구축 170523-0460 경제-0403 11:00 삼성전자 SSD, 업계 최초 '환경성적표지' 인증 170523-0461 경제-0405 11:00 바닷속 홍합을 의료접착제로…상처치료·흉터예방 기능 170523-0462 경제-0406 11:00 국토·교통 첨단기술을 한눈에…기술대전 개막 170523-0463 경제-0407 11:00...
대학구조조정 어떻게? 문 "지표 보완" 안 "질적 전환" 심 "재검토" 2017-04-19 14:27:09
통합과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학벌주의 극복 종합대책’을 모델로 삼겠다고 했다. 안 후보 측은 학부교육, 직업기술교육, 평생교육 체제의 역할분담에 방점을 찍고 자율적 대학 인프라 재배치, 특성화 및 연합 등을 주문했다. 심 후보 측은 교육과정 클러스터 구축-공동학위 수여-통합 입학전형 실시의...
왜 우리 반만 지방대지?…"SKY대 교생쌤과 상담할래요" 2017-04-13 18:57:05
뚜렷 교단마저 학벌주의 '씁쓸' [ 구은서 기자 ] “왜 우리 반 교생(교육 실습생)만 지방대 출신이야? 진학 상담은 다른 교생 선생님한테 받아야겠네.”이번달부터 서울 양천구의 한 고등학교에서 교육 실습을 시작한 대학 4학년 정모씨(24)는 우연히 학생들이 나누는 대화를 듣고 충격을 받았다. 정씨는...
서울대 폐지론 '이번엔 분위기가…' 위기감 확산 2017-03-30 18:26:41
학벌주의를 타파해야 한다며 등장한 서울대 폐지론은 이후 대통령선거 때마다 단골 공약이었다. 하지만 취업난이 심화되면서 서울대를 졸업하고도 전문대에 다시 입학하는 ‘유턴입학생’이 나오는 등 학벌주의가 다소 누그러지면서 서울대 폐지론은 물밑으로 가라앉았다.하지만 서울대 관계자들이 “이번엔...
[김봉구의 소수의견] 유기풍 前서강대 총장 "정부가 손 떼야 대학이 산다" 2017-03-30 16:07:20
학벌이 좋으면 잘 사는 게 당연하다는 인식이 있다. 서울대 출신의 독식이 이뤄지는 배경이다. 입신양명 같은 유교적 전통의 영향도 있고. 소위 ‘개천 용’이 부·권력·명예를 다 갖는 것은 문제라는 인식부터 생겨야 한다. 분점·분배·분권이 중요하다.”- 독일이 그게 잘 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