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KISTI, 서울-대전 캐리어급 SDN 구축 시범서비스 2015-11-17 12:00:19
등의 첨단협업연구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ISTI는 시범서비스 대상으로 가상네트워크 활용도가 높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선정했다. 박형우 KISTI 첨단연구망센터장은 "SDN 네트워크 구축 및 서비스를 시작으로 향후 국가 연구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며...
10조원 규모 첨단 농업기술 수출 '카타르 식물공장', 사실상 백지화 위기 2015-11-11 17:26:07
중동지역에 10조원 규모의 첨단 농업기술을 수출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카타르 식물공장이 사실상 백지화 위기에 처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오완석(새정치.수원9) 의원은 11일 농업기술원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가 야심차게 추진한 카타르 식물공장 시설 구축사업'이 전형적인...
김승수 전주시장 "전주는 한국의 전통문화 수도" 2015-11-05 07:00:10
전라북도와 전주시는 2006년 전주 팔복동에 기계탄소기술원(현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을 세우고 탄소산업 전문인력 양성과 신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2008년 시와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한 화학섬유기업 효성은 2013년 일본과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고강도 탄소섬유 ‘탠섬’ 개발에 성공하기도 했다....
영덕 경제 살릴 원전 온배수열, 어떻게 활용될까 2015-11-02 10:08:00
재배하고 있으며, 제주화력발전소, 농업기술원, 지역영농법인과 함께 협력체를 구성하여 감귤 등을 재배하는 농가에도 온배수를 제공하고 있다. 제주 지역 발전소에서의 온배수 활용으로 시설농가의 난방비가 기존에 비해 87%정도까지 절약이 가능하고 460톤의 탄소배출량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농어업 외에도...
"KAIST의 생생한 연구현장, 직접 보고 체험하세요" 2015-11-02 09:30:09
KAIST, 5∼6일 오픈 KAIST 개최…연구실 개방·특별강연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강성모)이 5∼6일17개 학과·학부·대학원과 3개 연구센터를 일반인에게 공개하는 '오픈 KAIST 2015'를 개최한다. KAIST는 2일 올해 8회째를 맞이하는 '오픈 KAIST'는 일반인이 학과와 연구실을둘러보고 체험할...
중동의 국영기업 간부들, 한국에 매료되다 2015-10-30 16:10:44
기술원,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 주성엔지니어링 등을 방문해 혁신의 현장을 둘러봤다.이 행사에는 쿠웨이트 국영정유회사의 하템 알 아와디 부사장과 오만정보기술청의 오마르 알 ▒캡?부사장을 비롯해 카타르개발은행, 사우디국영수도회사, 아랍에미리트 무바달라국부펀드 등의 간부들이 참가했다. 이들은 “중동...
경기도, 24개 미래선도 첨단중소기업 선정 2015-10-29 11:07:28
경기도는 미래를 선도할 첨단 중소기업에 (주)아이티에스뱅크, 신한세라믹 등 24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 24개 선정 기업에는 '2015 2차 경기도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총 27억원이 지원된다. 도와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은 수원 광교테크노밸리 차세대융합기술원에서 24개 선정 기업들과 기술개발사업 협약을...
DGIST, 자동차 CPS 기술 글로벌 사업화에 나선다 2015-10-25 16:25:44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총장 신성철) cps글로벌센터(센터장 손상혁)는 ‘차세대 adas 및 자율주행자동차 기술’의 글로벌 사업화를 위해 주라곤 테크놀로지(zuragon technologies), (주)이에스지와 3자 mou를 체결했다고 16일(금) 밝혔다. cps글로벌센터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 미시간대학,...
[한경데스크] 'Good Job!'이 낳은 자신감 2015-10-21 18:23:30
종합기술원을 3년 전부터 축소하더니, 핵심 연구 기능을 미국 실리콘밸리로 옮겼다. 10년 뒤를 내다보고 한다는 선행연구 과제 상당수는 폐기했다고도 한다. 한국에 남긴 연구기능은 당장 1~2년 내 상용화가 가능한 제품 개발이다. 첨단소재와 차세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 기존 틀을 무너뜨리는 파괴적 기술,...
울산시·경북도, 동해안 R&D특구 추진 2015-10-20 18:44:28
12.4㎢)로 에너지 부품소재와 첨단 바이오메디컬·바이오헬스, 에너지 자원개발 등 세 개 분야를 집중 연구개발하는 곳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이다.울산의 특구 예정 구역은 unist(울산과학기술원), 울산대, 울산tp(테크노파크) 일원, 우정혁신도시, 산업단지(울산테크노, 매곡 1·2·3, 중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