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人사이드 人터뷰] 고산 에이팀벤처스 대표 "한국인 1호 우주인 탈락이 '창업 신세계' 발 들일 기회로" 2015-10-16 18:00:38
뒤 삼성종합기술원에서 인공지능연구원으로 근무하던 중이었다. 고 대표는 “‘나도 할 수 있을까’라는 막연한 꿈이 현실이 된 순간이었다”고 회상했다.그는 2007년 초부터 1년 이상 러시아 가가린우주인훈련센터(gctc)에서 실전 훈련을 받았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사건이 일어났다. 우주선(소유스...
경기도, 내년 2000억원 지원하는 '일자리 창출 25개 사업' 최종 선정 2015-10-15 17:27:22
총 2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하고 15일 차세대융합기술원에서 열린 '넥스트 경기 일자리 창출 대토론회'에는 이 같은 기발한 아이디어들이 대거 접수됐다.올해 처음 열린 대토론회에서는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가 제안한 '가상증강현실 전문가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 25개 사업을 지원 대상으로...
[대한민국 대표기업] 코오롱, 바이오 신약·웨어러블 등 하이테크 산업으로 영역 확대 2015-10-12 07:06:14
첨단소재 국산화로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소재 및 부품 기술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코오롱은 신수종사업 발굴과 인재 육성을 위해 2011 ?8월 대전 kaist 내에 ‘코오롱-kaist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센터’를 열었다. 이곳에서는 향후 10년 이내에 시장진입이 가능한 미래성장...
마곡지구 역세권 복합 상가 ‘리더스퀘어 마곡 더 테라스’ 투자자 주목 2015-10-02 17:46:52
연구 인력이 유입될 예정이다. 여기에 코오롱 미래기술원, 이랜드, 에쓰오일, 롯데컨소시엄, 넥센타이어, 대우조선해양 등 대기업 50여 곳과 26개 중소기업, 바이오기업, 신세계 쇼핑몰, 컨벤션센터 등을 더하면 상주인구만 17만여 명, 유동인구는 4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첨단산업단지와 국제 업무지구, 주거단...
[도약하는 경기도] 200여 벤처 몰린 안산사이언스밸리…전통·미래산업 품은 '용광로' 2015-09-30 07:00:23
기술원·한국전기연구원·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기업연구소로 lg이노텍이 클러스터에 참여했다. 이곳 밸리에 입주한 200여 벤처기업과 2000여명의 연구원들이 로봇·전자정보통신·메커트로닉스·의료기기·자동차부품·의약·정밀화학·바이오·신재생에너지...
부동산 시장 핫플레이스 마곡지구의 복합 상가 ‘리더스퀘어 마곡 더 테라스’ 인기 2015-09-24 14:26:32
연구 인력이 유입될 예정이다. 여기에 코오롱 미래기술원, 이랜드, 에쓰오일, 롯데컨소시엄, 넥센타이어, 대우조선해양 등 대기업 50여 곳과 26개 중소기업, 바이오기업, 신세계 쇼핑몰, 컨벤션센터 등을 더하면 상주인구만 17만여 명, 유동인구는 4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첨단산업단지와 국제 업무지구, 주거단...
세계혁신포럼·하이테크페어 대전서 개막 2015-09-23 16:45:00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계혁신포럼 기조강연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강성모 총장이 '혁신 가치공유 활성화를 위한 대학의 역할'을 주제로 강연하면서, 혁신 주체간 긴밀한 협력과신뢰 회복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정글의 법칙 : 혁신의 열대우림, 실리콘밸리의 7가지 성공 비밀'의 저자인 ...
LG디스플레이 '미래 R&D 인재들' 파주로 초청 2015-09-22 10:00:07
고려대,서울대, 연세대, 한양대, KAIST 등 11개 대학생 및 과학기술원 이공계 학생과 교수등 520명이 함께 한 '테크니컬 톡(Technical Talk)'을 개최했다. 학생들은 그룹별 채용상담 후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을 체험했다. 각 그룹에 현직 연구원이 배치돼 미래 엔지니어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조언을 아끼지...
삼성전자, 미국 실리콘밸리 혁신기지 완공…"미래 성장동력 발굴" 2015-09-21 19:10:04
등을 포함한다. 2013년 축소된 국내 삼성종합기술원 일부 기능도 이곳으로 옮겨갔다.이곳에선 삼성전자 세트(im ce)부문 제품·서비스뿐 아니라 미래 디스플레이와 사물인터넷(iot), 모바일프로세서, 모바일플랫폼, 디지털미디어솔루션, 첨단 소재 등도 연구하고 있다. 6층 높이의 쌍둥이 빌딩으로 건물면적이...
"기계공학과도 연구비 잘 타내는 바이오·나노 전공 교수만 뽑아" 2015-09-21 18:59:56
괜찮았다. 그러나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와 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무슨 이유로 잇달아 생겼는지 모르겠다. 그러지 않아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산대 경북대 등 국립대는 방치하겠다는 얘기인지….▷손 학장=이미 인프라가 구축된 지방 국립대를 놔두고 별도로 과기원을 신설하는 건 혈세 낭비다. 한번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