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 증시, 제조업에 울고 웃고..엔저-대북 리스크 변수" 2013-04-03 09:43:24
수출 관련주, 업황 등에 약간의 상승효과가 될 수는 있겠다. 오는 금요일 미 정부 고용보고서와 실업률 발표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거래량이 다소 한산했다. 미 증시의 3대 거래소는 어제만큼은 아니지만 일평균 64억 5000만 주에서 약 10% 정도 미진한 59억 주의 거래량이 나타났다. 하루 만에 뒤바뀐 제조업 지표가...
"중국 제조업경기 점진적 개선..긍정적" 2013-04-03 08:10:13
견조한 추이와는 달리 제조업 관련 실물지표가 이런 흐름을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상당히 우려스러운 대목일 수 있다. 중국의 제조업 생산은 명목 기준으로 보면 작년 9.1%를 기록하면서 지난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하는 등 제조업 심리 대비 상대적으로 부진한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의 제조업 생산...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주요국 제조업 중점 정책 추진 2013-04-03 08:01:31
간 나오토 총리도 일본이 엔저와 전통적인 수출 제조업을 통해 경기를 부양할 것이라는 내용을 상당히 강조했다. 또 이웃 국가의 반발, 특히 한국의 반발에 대해 아주 유연하게 대처하는 모습이었다. 일본이 엔저를 통해 전통적인 제조업 수출업체를 육성하는 것이 지금의 모습이다. 중국도 여러 비용요건 악화와 자국 기업...
[12월 결산 상장사 2012년 실적] 매출 7.6% 늘었지만 수익은 악화…4곳 중 1곳 적자 2013-04-02 17:24:15
중 1곳은 적자를 봤으며 수익성 지표도 2년 연속 악화됐다.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으로 전기·전자를 제외한 화학, 철강 등 주력 업종의 영업이익이 감소한 때문으로 풀이된다.○영업이익 증가 추정 ‘무색’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는 연결재무제표를 제출한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562개사 중 전년과 비교...
<3월 금통위 경기진단 낙관…"느리지만 경제 회복중"> 2013-04-02 17:09:21
나아지고 있고 1월 중 부진했던 국내주요 실물지표가 호전될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 경제가 미약하나마 개선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거들었다. 금리 인하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 금통위원은 "금리정책 등 거시정책수단은 가계부채·양극화 등 제약요인에경기진작 효과는 제한적이지...
“G2 경제지표 부진.. 코스피, 관망세” 2013-04-02 14:37:07
국가의 흐름을 보려면 우리나라 수출에 크게 영향을 주는 신규주문을 봐야 한다. 미국의 신규주문은 우리나라 수출에 6개월 선행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수치다. 다만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흐름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우리나라 수출 감소가 나올 것이기 때문에 지금 당장은 이런 추세를 보이지 않고 있기...
“주요국 통화정책회의.. 환율 변수는?” 2013-04-02 13:40:38
수출은 늘었는데 우리나라 수출은 늘지 않았다. 여기서도 시사하는 바가 있듯 중국이 고정투자 부문보다 소비재 위주로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구도인 반면 고정투자 부분은 아직 회복이 가시화되지 않고 있는 것에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결국 고정투자 부분의 회복이 가시화되지 않는다면 당분간 위안화와 아시아 통화 간...
"글로벌 불확실성에 코스피 디커플링 지속" 2013-04-02 09:39:25
우리가 반등한다고 언급한 것이다. 그런데 억울한 것은 수출과 아무 관련 없는 내수주, 철도업종 같은 것이 괜히 롱숏전략이다. 그래서 일본증시와 일본의 경제지표, 일본중앙은행의 이번 주 통화정책 회의에 대해 자세히 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MSCI 한국지수를 보자. -1.04%로 58.81을 기록 중이다. 잠시 반등하는...
<증권업계 "中 PMI 반등…시장 기대에는 못 미쳐"> 2013-04-02 08:16:29
지닌 지표가 후행성 지표보다 빠르게 반등하는 방향성을 보인만큼 추가적인 제조업 경기 회복은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따라 박 연구원은 이번 달 추가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대외적수출 증가율 반등 여부, 부동산 신규개발 면적 확대 여부, 물가지수(CPI) 등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美 '제조업 르네상스'?…숫자만 보면 아직 싸늘 2013-04-01 16:53:33
더 빨리 감소 공산품 생산비중도 기대 이하 최근 각종 지표 호전으로 미국 제조업이 제2의 부흥기를 맞을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지만 정작 업계에서는 갈 길이 멀다는 시각이 많다. 미국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한 지난달 ism 제조업지수는 54.2로 2011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제조업계 근로자 수도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