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정부, 모태펀드 2차 정시 출자로 1조1천433억원 벤처펀드 조성 2023-07-26 12:00:24
42개 벤처펀드가 선정됐다. 이 중 중기부 소관 출자 펀드 규모가 8천298억원에 달했다. 딥테크(선행기술) 스타트업 투자를 위해 올해 처음 조성하는 초격차펀드가 2천442억원 규모로 조성되고, 중간 회수 시장 활성화 차원에서 6년 만에 출자하는 일반세컨더리펀드는 2천335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또 문체부와 과기부 등 7...
[2023 고려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모바일 포렌식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더스팟’ 2023-07-26 09:48:50
대학과 지역이 협력해 대학 인근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안암동 고려대 캠퍼스타운은 친정과도 같아요. 당장은 해결이 어렵더라도 같이 고민해주는 모습에서 가족의 느낌이 납니다. 스타트업은 같은 공간에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로 의논을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캠퍼스타운이...
[단독]NPX캐피탈, 성인웹툰 '투믹스' 인수자금 코스닥서 조달 2023-07-25 10:23:45
황 대표(사진)가 창업한 PEF운용사다.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기계공학 학사와 재료과학·공학 석사를 지낸 황 대표는 2009년 중국 상하이에서 애드테크 기업 ‘뉴 패스웨이 에듀케이션'을 설립했다. 창업 5년 만에 글로벌 사모펀드인 CVC캐피탈파트너스에 매각하며 엑시트에 성공했다. 매각 대금으로...
"미래산업 키우고, 창업 성공률 높은 '기회 도시' 만들겠다" 2023-07-23 16:23:45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있는데요. 기업과 대학·청년 모두가 생존을 넘어 경쟁력을 높이고 광주가 지속적인 발전을 이어갈 수 있는 큰 그림을 완성하겠습니다.” ▷창업 기반 마련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선 산업을 키우는 방법도 있지만 창업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창업 성공률이 높은 광주를 만...
광주 노후 산단 구조고도화…청년이 찾는 산단으로 탈바꿈 2023-07-23 16:17:47
광주지역 처음으로 노후산단 환경개선펀드 공모에 선정됐다. 펀드 150억원을 포함해 총 920억원을 투입해 연구·제조·기숙사 등을 갖춘 혁신공간으로 지어졌다. 지난 3월 본촌일반산단에선 사업비 5000억원을 투입하는 지식산업센터가 착공했다. 광주본부는 추가로 3건의 민간투자사업을 자산운용사와 협상하고 있다....
오세훈 "혁신 인재 1만명 키워…서울 '스타트업 도시'로 만들 것" 2023-07-20 18:41:34
규모 유니콘 창업허브(10만㎡)로 만들어 한국 테크산업의 중심지로 조성하겠다고 했다. 서울 시내 50여 개 대학이 스타트업을 길러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도 서울시가 맡겠다고 했다. 오 시장은 “지금까지는 대학이 공간 부족을 호소해도 용적률을 잘 높여주지 않았다”며 “최신 기술을 연구하기 위한 공간, 스타트업을...
오세훈 서울시장 "혁신인재 1만명 길러 스타트업 도시 만든다" 2023-07-20 17:48:15
했다. 오 시장은 “지금까지는 대학이 공간 부족을 호소해도 용적률을 잘 늘려주지 않았다”며 “최신 기술을 연구하기 위한 공간, 스타트업을 키우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면 캠퍼스 내 용적률을 상향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스타트업에서 바로 일할 수 있는 ‘즉시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청년취업사관학교를 현재...
"모태펀드 돈은 안 받습니다만"…이 VC가 사는 법 [긱스] 2023-07-18 09:14:56
세세한 부분까지 담당했던 박 대표의 조언은 창업자들에게 도움이 되고 있다. 디자인의 디테일까지 신경 쓰는 박 대표는 회사 로고도 직접 고안했다. 각종 보고서의 폰트도 MS 스타일로 정했을 정도다. 검정 네모 안의 MS를 넣은 로고는 박 대표가 좋아하는 투자사인 미국 유니온스퀘어벤처스와 중국계 힐하우스캐피털의 박...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창업 생태계 선순환 완성한 비결 [긱스] 2023-07-11 09:06:42
Q. 그래도 창업 생태계에 인력이나 인재가 부족한지 않나요. A. 스타트업에 필요한 우수한 개발 인력의 부족은 모든 지방의 문제죠. 제주도 마찬가지고요. 대학이 혁신으로 풀어내야 되고요. 워케이션 같은 최근 근무 트렌드 확산으로 그 문제를 풀어가야 다는 생각도 갖고 있죠. Q. 제주창경센터 설립 과정에서 협업한...
"휴덕은 있어도 탈덕은 없다"…MZ 심사역이 크리에이터에 반한 이유 [그래서 투자했다] 2023-07-10 09:38:56
영어영문학과 정치외교학을 이중전공했다. 대학 졸업 후 사람과 사회, 경제에 대한 관심을 기반으로 매일경제신문에 취재기자로 입사했다. 이후 서울대 MBA를 거쳐 현재 DSN인베스트먼트에서 벤처캐피털리스트로 근무하며 자신만의 투자 커리어를 넓혀가고 있다. 현재는 회사에서 운영 중인 탄소중립 블라인드펀드의 운용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