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안중근 의사 순국 107주기 추모식 26일 거행 2017-03-24 07:22:59
1909년 동지들과 함께 손가락을 자르고 일사보국(一死報國)을 맹세한 안 의사는 같은 해 10월 26일 만주 하얼빈(哈爾濱)역에서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했다. 중국 뤼순 감옥에 투옥돼 일제의 심문과 재판을 받는 중에도 의연한 태도를 조금도 굽히지 않던 안 의사는 사형을 선고받고 1910년 3월 26일...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외신 2017-03-23 15:00:06
뤼순 안중근 의사 추모식 축소…'간소화' 요구 170323-0690 외신-0145 11:43 中 일대일로 펀드, 유럽투자 본격 추진…EIB와 공동투자 논의 170323-0708 외신-0146 11:52 美초강력제재안에 '고심'하는 中, 석탄 이어 원유 끊을까 170323-0711 외신-0147 11:52 "함께 맞서겠다"…세계 정상들, 런던 테러에...
[주요 기사 2차 메모](23일ㆍ목) 2017-03-23 14:00:00
- '치졸한' 中, 뤼순 안중근 의사 추모식 축소…'간소화' 요구(송고) - 美초강력제재안에 '고심'하는 中, 석탄 이어 원유 끊을까(송고) [스포츠] - 프로농구 MVP는 인삼공사 집안 잔치…이정현이냐, 오세근이냐(송고) - 마스터스 우승자 제압한 김경태, 세계진출 교두보 마련하나(송고) - 황재균...
'치졸한' 中, 뤼순 안중근 의사 추모식 축소…'간소화' 요구 2017-03-23 11:43:08
中, 뤼순 안중근 의사 추모식 축소…'간소화' 요구 행사주체, 韓보훈처서 민단단체로 변경…"사드보복 일환인듯" 한국측 손님 맞는 中 인사도 다롄 시서기→시부비서장 '하향' (선양=연합뉴스) 홍창진 특파원 = 일제 침략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 의사의 추모식이 오는 26일 순국장소인 중국...
묘한 시기에…中, 안중근기념관 임시 이전 2017-03-22 14:39:25
뤼순감옥박물관은 작년 10월 내부 수리를 이유로 문을 닫은 이후 여전히 휴관 중이다. 이곳엔 '안중근 의사가 의로운 죽음을 한 곳(安重根義士就義地)'이라는 간판을 단 공간이 있었다.하지만 문을 닫았다는 사실을 모르고 하얼빈역사의 안 의사 기념관을 찾거나 뤼순감옥박물관을 찾았던 한국 관광객들은 헛걸음을...
'우연 또는 의도?' 中, 돌연 안중근의사 기념관 임시이전 2017-03-22 14:25:27
하얼빈역사의 안 의사 기념관을 찾거나 뤼순감옥박물관을 찾았던 한국 관광객들은 헛걸음을 하고 있다. 박물관은 과거 일제에 반항하는 수감자를 가뒀던 감옥 암방(暗房), 지하감방, 식당, 천장 등의 시설이 낡아 보수작업을 위해 휴관에 들어갔으며 오는 26일 안 의사 추모제를 위해 중국을 찾는 한·중친선협회 등에만...
안중근 의사 107주기…순국 직전 쓴 손도장 글씨 첫 공개 2017-03-22 14:01:49
맞아 마련됐다. 이 유묵은 안중근 의사가 1910년 3월 중국 뤼순(旅順) 감옥에서 쓴 것으로, 글씨 옆에 약지가 잘린 안 의사의 왼손 손도장이 찍혀 있다. '황금백만냥 불여일교자'는 명심보감에 나오는 문구로, '황금 백만 냥도 자식 하나 가르침만 못하다'는 뜻이다. 안 의사는 같은 달 26일 순국했다....
[숨은 역사 2cm] '칭타오맥주 효과' 러·일 균형 깨지고 일제 조선 침략 2017-03-19 13:00:02
독일 침공에 자극받아 1897년 12월 11일, 청 뤼순항과 다롄 항을 강점했다. 한국이 아닌 만주로 무력 진출할 목적에서다. 이곳은 블라디보스토크보다 더 좋은 부동항이어서 오랫동안 군침을 흘린 곳이다. 이번에는 영국과 청, 일본이 반러시아 연대를 구축했다. 고립무원이 된 러시아는 '로젠-니시 협약' 카드를...
만주벌 신학문 요람 '서전서숙' 110년 만에 진천서 부활 2017-03-02 12:01:20
일대를 중심으로 독립활동을 펼쳤다. 안중근 의사가 뤼순 감옥에서 "이범윤 같은 의병장 만인을 모아도 이상설 한 분에 못 미칠 것이다"고 존경심을 나타냈던 이상설 선생은 투병 끝에 1917년 3월 2일 연해주에서 생을 마감했다. 김병우 교육감은 2일 서전중학교에서 '등교 맞이'를 하는 것으로 개교를 축하했다....
"역사 잃은 민족 미래가 없다" 단재 신채호선생 추모식 2017-02-21 13:59:12
1880년 대전시 중구 어남동에서 태어나 아버지 고향인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그는 일제 강점기 상하이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는 등 독립운동을 하다가 체포돼 1936년 중국 랴오닝성 뤼순 감옥에서 옥사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logos@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