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중국 굴기' 원조는…'화이질서' 명나라 영락제 전기 첫 발간 2017-01-19 16:18:17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영락제 때 세계 제국을 꿈꾸던 명나라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이끄는 오늘날의 중국이 미국에 맞서는 G-2로 부상하고,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를 추진하며 패권주의를 추구하는 모습과 겹친다. 경제 성장과 근대화 성공으로 자신감을 얻은 1990년대 이후의 중국에서 영락제...
[책마을] 왜 흥하고, 왜 망했는가…'경제의 눈'으로 본 세계사 2016-12-22 17:32:22
몽골은 태평양에서부터 아시아, 동유럽에 걸친 대제국을 건설했다. 100만~200만명에 불과한 소수민족이었지만 1억명이 넘는 정복지 주민을 다스렸다. 몽골은 정복한 땅의 사람들을 관용과 포용으로 대하며 제국 안으로 끌어들였다. 적의 장수와 병사를 자국 군대에 편입시키고 정복지역의 종교도 배척하지 않았다.몽골이...
[Global CEO & Issue focus] 손태장 일본 미슬토우 회장, 도쿄대 다닐때 다다미방서 창업…자산 10억불 넘는 억만장자로 2016-11-03 16:36:47
소수의 사람과 말밖에 갖지 못했던 몽골제국이 광대한 토지를 지배할 수 있었던 이유, 오다 노부나가가 천하통일을 이룩할 수 있었던 비결 등이었다. 당시 손정의는 이미 소프트뱅크의 사장이었다.도쿄대 입시에 두 번이나 떨어지기도학창시절 공부를 곧잘 했지만 손태장은 대학입시 첫해에 도쿄대에 지원해 낙방했다. 다음...
800년된 유골 칭기즈칸 가계 출신 첫 확인 2016-10-10 17:09:57
(박근태 it과학부 기자) 지난 2004년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동쪽으로 650㎞ 떨어진 타반 톨고이 지역에서 유골 7구가 발견됐다. 이들 유골 매장 시기는 12~13세기로 추정됐다. 이 중 남성 3구, 여성 2구는 유골이 발견된 무덤 양식과 부장품 양으로 보면 몽골제국을 이끌던 칭기즈칸(1162~1227)의 가계로 추정됐다....
터키라는 '타임캡슐'을 꺼내다 2016-10-09 16:23:54
풍미했던 제국이 번갈아 지배했다. 그 흔적이 터키 서남부 아나톨리아 반도 곳곳에 남아 있다. 터키에는 역사적이고 아름다운 고적이 즐비하다. 인류 역사의 보고인 색다른 터키를 만나고 싶다면 터키 역사 기행을 떠나보면 어떨까?7000년 전 문명 유적지 차탈회위크터키 중부 내륙 도시 콘야(konya)에서 남쪽으로 40㎞가량...
[취업에 강한 신문 한경 JOB] 현대차 '역사에세이' 출제경향과 대비법 2016-09-26 18:36:49
등재된 이유 등 한국사에 대한 질문이 주를 이뤘고 몽골과 로마 제국의 발전 이유,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에 대한 견해 등 세계사 문제도 출제됐다.최근 현대차 역사에세이 출제 경향은 과거 역사 속에서 21세기를 사는 우리가 배워야 할 점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많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경제발전에 가장 ...
[정책의 맥] 한·몽골 농업협력, 농식품산업 발전 디딤돌 2016-07-26 18:13:17
> 몽골은 13세기에 역사상 유례없는 대제국을 건설함으로써 동서양 교류를 촉진하고 각국의 다양한 문화를 융합시켰다. 비록 몽골제국은 14세기에 멸망하고, 현재 몽골은 인구 300만명에 불과한 나라이지만 지금도 중앙아시아, 동유럽, 아프가니스탄, 인도 등 여러 국가에서는 몽골이 남긴 문화 유산의 흔적을 찾아볼 수...
[천자칼럼] 국빈 선물 2016-07-18 18:16:36
참석한 50여개국 정상과 각료들이 몽골 대통령으로부터 말 한 필씩을 받았는데, 수송할 엄두를 못 내 현지 농장에 관리를 맡겼다고 한다. 이명박·노무현 전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도널드 럼즈펠드 전 미국 국방장관도 그랬다. 몽골 정부가 따로 농장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애교로 봐 줘야 할지...
[책마을] 러시아 건국의 뿌리가 몽골민족이라고? 2016-07-14 17:33:56
훈족, 몽골족, 투르크족의 역사를 광범위하게 추적한다. 저자는 이들 민족이 역동적인 권력투쟁을 거쳐 큰 세력을 형성했을 뿐만 아니라 유럽과 러시아 등 인근 지역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연구 가치가 크다고 설명한다.이 책이 다루는 시기는 투르크 한국(汗國)이 몰락한 8세기부터 몽골제국이 형성되는...
[칼럼] 영국은 왜 여전히 입헌군주제를 유지할까(상) 2016-06-28 15:16:31
“제국”을 논할 때면 그 무게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보내기 이전 동경과 경외심이 앞선다. 그러면서 논의 되는 건 그 시대의 정치 지도자들이다. 예를 들어 고구려-광개토태왕,몽골제국-칭기즈칸, 투르크 제국-메흐메드2세, 대청제국-누르하치, 대영제국-(?) 에서 막힌다. 이유가 무얼까? 과도한 중앙권력이 모든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