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건의 지평선' 국제 연구팀…블랙홀 비밀, 하나둘씩 푼다 2023-09-08 17:53:18
우주전파관측망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7개 전파망원경으로 ‘한·일 공동 전파관측망’을 구성해 M87 블랙홀을 연구했다. 한·일 공동 전파관측망은 직경 약 2000㎞의 전파망원경 1개에 상응한 해상도로 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 서울 연세대와 울산대, 제주 탐라대, 일본 미즈사와·오가사와라 등에 있는 전파 망원경 7대를...
"드넓은 우주 속 인간, 항아리처럼 비좁은 지구에 사는 것" 2023-09-04 15:15:42
구성하는 원소들이 우주의 별들이 탄생과 죽음을 반복하며 흩뿌린 먼지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바하마 출신 작가 타바레스 스트라찬(44)은 이를 작품 ‘폭발하는 은하로서의 자화상’(2023)으로 표현했다. 고성능 천체망원경으로 내다본 우주를 연상시키는 이 작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원 안에 십자말풀이 조각이나 글씨,...
인도 태양관측 위성, 궤도 안착하면 하루 1천440장 사진 전송 2023-09-02 18:08:51
우주연구기구(ISRO)가 밝혔다. 탑재 기기별 임무를 살펴보면 '아디티아 태양풍 분자 실험'(ASPEX)은 분광계를 갖고 있어 태양풍 입자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고에너지 L1 궤도 엑스레이 분광계'(HEL1OS)는 태양 표면에서 일어나는 폭발 때의 에너지 방출, 전자 가속·운송을 연구한다. 자기 탐지기(MAG)는...
日 '달 저격수' 로켓 발사…세계 5번째 착륙 도전 2023-08-27 17:36:47
표면에 추락했다. 크리즘은 JAXA가 미국 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기구(ESA)와 공동으로 개발한 대형 전파 망원경이다. 높이 9.14m, 무게 2.3t으로 지구 상공 궤도 550㎞에서 3년간 활동할 예정이다. 크리즘은 우주에서 X선을 잡아낸다. NASA 관계자는 “은하 중심부 등 우주에서 가장 뜨거운 곳을 주로 관측하며 항성 폭...
한국, 국제천문·천체물리올림피아드서 금1·은1·동3…종합10위 2023-08-21 11:40:12
이번 대회에서 영국이 금메달 5개로 1위를 기록했다. 대회는 이론 50%, 망원경 관측 10%, 천체투영관 관측 15%, 자료 분석 25%씩 나눠 진행됐다. 올해 이론 분야는 소행성 궤도를 바꿔 지구를 방어하는 '소행성 방향 전환 실험'과 중력파 검출용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 등 13문제가 출제됐다. 이외에...
[사이테크+] '안드로메다 관측으로 암흑에너지 연구 가능'…새 측정법 제시 2023-08-16 11:20:51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산출한 우주상수는 우주의 다른 부분에서 측정되는 값보다 5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측정 기술은 자체로 높은 가치를 증명할 수 있지만 아직은 암흑에너지를 직접 검출한 것은 아니라며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안드로메다은하의 질량과 운동에 대해 훨씬 더 정확한...
한화 '우주의 조약돌' 2기 활동 진행 2023-08-14 18:18:57
진행했다. 중학교 1~2학년 45명을 대상으로 우주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지난달 22일과 이달 12일 서울에서 두 차례 열린 우주 인문학 콘퍼런스에는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강연자로 나섰다. 유현준 홍익대 건축도시대 교수,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손상모 미국 항공우주국(NASA) 우주망원경과학...
제임스웹 망원경에 '별의 화려한 죽음' 포착 2023-08-04 15:15:40
= 우주를 향한 '인류의 눈'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이번에는 별의 죽음을 어느 때보다 선명하게 포착했다.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천문학자들은 지구에서 2천600 광년 떨어진 거문고자리에 있는 고리성운을 제임스웹 망원경으로 찍어 3일(현지시간) 공개했다. 고리성운은 천문학계에 이미 잘 알려진 천체의 한...
"장주기 쌍성 궤도운동서 뉴턴역학 붕괴 발견…새 중력론 검증" 2023-07-25 12:16:15
교수는 유럽항공우주국(ESA) 가이아 우주망원경이 관측한 650광년 이내 2만6천500여 개 장주기 쌍성 데이터를 분석했다. 쌍성이 겪는 중력에 의해 만들어지는 가속도를 두 별 사이 거리에 따라 계산하고 이를 뉴턴역학에서 예측되는 가속도와 비교했다. 그 결과 거리가 1천 AU 이내일 때는 쌍성 궤도 운동의 중력 가속도가...
"지구방어 소행성 충돌실험 때 수m 암석 수십개 튕겨 나와" 2023-07-24 07:14:12
연구팀 "허블망원경, 소행성 주변서 1~6.7m 바위 37개 포착"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지난해 인류 최초의 지구방어 전략 모색을 위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실시한 '쌍(雙)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에서 충돌 충격으로 수 미터 크기 암석 37개가 튕겨 나와 주변에 떠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NA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