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필수의약품에 '비만약' 추가될까…WHO, 내달 검토 2023-03-29 22:02:53
삭센다는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인 GLP-1의 유사체로 하루에 한 번씩 주사하면 체중의 5∼10%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 같은 더 새롭고 강력한 비만치료제가 중·저소득 국가들에 권장될 가능성도 있다. 2021년 6월 선보인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역시 GLP-1...
세계보건기구, 필수의약품 목록에 비만치료제 추가 검토 2023-03-29 21:34:45
느끼게 하는 호르몬인 GLP-1의 유사체로 하루에 한 번씩 주사하면 체중의 5∼10%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비용이 만만치 않아 한달분이 미국에서는 450달러, 유럽에서는 150달러 정도가 드는 것으로 전해졌다. 2021년 6월 선보인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역시 GLP-1 기전으로 작동하는데, 1주일에...
올릭스, 'NASH 치료제' 비만치료 효력 추가 확인 2023-03-15 10:09:00
GLP-1 유사체 기반 비만 치료제와 구별되는, 에너지 대사 조절을 통한 비만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GLP-1 유사체 기반 비만 치료제는 뇌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부위에 작용해 식욕을 억제한다. 메스꺼움, 설사 및 저혈당 등의 부작용이 흔하게 보고되고 있다고 했다. 또 제품에 췌장염, 담낭 문제,...
올릭스, NASH 신약물질서 전임상 비만치료 추가 확인 2023-03-15 09:18:35
같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유사체 기반 비만 치료제와 구별되는 ‘에너지 대사 조절을 통한 신개념 비만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GLP-1 유사체 기반 비만치료제는 GLP-1 수용체를 촉진해 뇌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부위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함으로써 체중이 감소되는 기전으로...
제주서 천연기념물 `점박이물범` 사체로 발견 2023-02-12 19:51:15
제주에서 이례적으로 활기차게 유영하는 모습이 주민들에게 목격된 점박이물범이 사체로 발견돼 안타까움을 사고 있다. 12일 제주 가파도어촌계와 김병엽 제주대학교 교수에 따르면 11일 오전 11시 20분께 서귀포시 가파도 상동항 인근에서 점박이물범 1마리가 죽은 채로 발견됐다. 죽은 점박이물범은 몸길이 124㎝가량,...
[한경에세이] 인공지능은 악마의 소환일까? 2023-01-24 17:13:53
유사체는 악마의 편에 선다는 관념 말이다. 그리고 ‘터미네이터’ 시리즈가 등장했다. 터미네이터? ‘끝내주는 자’라는 의미다. 뭐 그 영화, 재미 하나는 끝내줬다. 하지만 이젠 식상해져서 시리즈도 끝이 난 것 같지만 인간 유사체는 적대적일 거라는 두려움만은 더 확고하게 했다. 그리고 ‘매트릭스’라는 영화까지....
넥스트앤바이오 "췌장암·담도암 오가노이드 모델 美학회 발표" 2023-01-19 12:32:43
기자 =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 기반 신약개발 기업 넥스트앤바이오는 19일부터 21일까지 열리는 미국임상종양학회 소화기암 심포지엄에서 환자 검체로 췌장암·담도암 오가노이드 모델을 만든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넥스트앤바이오가 김재환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와 진행한 공동연구에 따르면...
오가노이드, '미니장기' 넘어 '인공장기' 시대 연다 2023-01-18 16:01:49
장기유사체 혹은 미니 장기로 불리게 됐다. 이후 10여 년 동안 오가노이드 배양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해 오늘날 대부분의 인간 장기를 오가노이드로 제작할 수 있게 됐다. 기초연구에서 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오가노이드를 연구모델로 사용한다. ○신약개발·세포치료제 등 응용오가노이드가 단기간에 세계...
정부 "디지털과 바이오 융합기술 육성해 2030년 바이오선도국" 2022-12-07 15:56:53
이상 높이고, 조직별·세포 기원별 정보를 체계화한 줄기세포 유전체 지도 제작에 나선다. 또 기존 '화합물은행'을 고도화한 'DNA 바코드 화합물은행'(DEL)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공공은행을 구축해 유효물질 발굴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화합물은행은 신약 개발과 바이오 연구에 사용되는 신약 소재 화합...
이재철·이인균 '임성기 희귀질환연구 지원대상' 2022-11-28 18:12:52
이 교수는 유도만능줄기세포와 인간 오르가노이드(장기 유사체)를 접목해 소아 염색체 이상의 정밀한 질환 모델을 제작하고, 유전자 편집기술을 이용해 치료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이 연구원은 하지부 척수성 근육위축증(SMA-LED)의 주요 원인 유전자 ‘DYNC1H1’과 ‘BICD2’ 간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