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트럼프, 30년전 레이건이 서울올림픽 활용했듯 평창 활용해야"(종합) 2018-01-10 15:12:11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선임연구원은 8일(현지시간) 시사지 애틀랜틱에 기고한 '올림픽이 어떻게 북한 위기를 완화할 수 있나'라는 글을 통해 30년 시차를 둔 두 올림픽 상황의 유사성을 비교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들은 두 올림픽을 둘러싼 상황의 "두드러진 유사성"으로 한·미 정부가 올림픽대회에 앞서...
'88올림픽 교훈 잊지마라'…美전문가 "레이건모델 벤치마킹" 2018-01-10 01:34:45
위트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선임연구원은 8일(현지시간) 미 시사지 애틀랜틱에 기고한 '올림픽이 북한 위기를 얼마나 완화할 것인가'라는 글을 통해 1988년의 서울 올림픽과 2018년의 평창동계올림픽 전후의 상황을 비교하며 이 같은 안을 내놨다. 이들은 두 올림픽 사이에 20년의 시간 간극이 있으나 "워싱턴과...
미국 "남북관계, 북핵 해결과 별도로 진전될 수 없다" 2018-01-04 19:10:03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선임연구원이 대표적이다.이들은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 기고문에서 “(북한의) 발표문을 자세히 살펴보면 ‘최상의 수준’이라는 걸 알 수 있다. 한마디로 매우 진지하다”고 밝혔다.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이선권 위원장이 조선중앙tv에 출연해...
WP "북 평창올림픽 참가로 한반도 긴장완화 길 틀 것" 2018-01-04 11:22:14
매든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객원교수는 "김정은과 문재인 대통령에 있어서, 또 한반도 연구가들에게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는 훌륭한 홍보기회가 된다"며 "또한 인근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 일시적으로 압박을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평창올림픽 참가를 한국으로부터 양보를 끌어내는 시도로 활용할...
미 38노스 "북, 남북대화 제의가 진지한 9가지 이유" 2018-01-04 05:36:54
객원 연구원과 조엘 위트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이날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에 기고한 '김정은의 대남 계획이 단순한 전술 이상인 9가지 이유'라는 제목의 글에서 북측의 판문점 연락 채널 개통 발표문을 근거로 "발표문을 자세히 살펴보면 '최상의 수준'이라는 걸 알 수 있다....
갈루치 "틸러슨의 '조건 없는 대북 대화' 발언 신뢰하고 싶다" 2017-12-18 20:08:44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미국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uski) 소장을 맡고 있는 갈루치 전 특사는 ‘엇박자’ 대북 메시지에 대해 “‘착한 경찰’과 ‘나쁜 경찰’ 역할을 (나눠서) 하듯이 백악관이 문제를 만들고 국무부가 좋은 말을 해서 일부러 혼동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이지는...
갈루치 "틸러슨의 '전제조건 없는 대북 대화' 발언 신뢰"(종합) 2017-12-18 13:43:01
미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USKI) 소장을 맡고 있는 갈루치 전 특사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미국의 한반도 전략' 세미나 기조연설 후 '미 국무부와 백악관의 대북 메시지가 엇갈리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의도된 것은 아니다"며 이같이 말했다. 틸러슨 장관은 앞서 지난 13일 "우리는...
갈루치 "틸러슨의 '전제조건 없는 대북 대화' 발언 신뢰" 2017-12-18 11:01:27
최근 발언을 신뢰한다고 밝혔다. 미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는 갈루치 전 특사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미국의 한반도 전략' 세미나 기조연설 후 '미 국무부와 백악관의 대북 메시지가 엇갈리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의도된 것은 아니다"며 이같이 말했다. 틸러슨...
무역협회, '미국의 한반도 전략' 세미나 개최 2017-12-18 06:00:04
국회의원회관에서 국회,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교류재단과 공동으로 '미국의 한반도 전략' 세미나를 개최한다. 세미나는 북핵 문제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상 등 한국 대외정책의 핵심 변수인 미국의 한반도 전략을 이해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1994년 북핵...
북한 스마트폰 보급 증가했지만…"오히려 김정은 체제 강화" 2017-12-07 11:49:16
존스홉킨스대학 한미연구소의 김연호 선임연구원이 북한과 이동통신 합작사업을 벌이는 이집트 오라스콤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재 북한의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전체 인구의 6분의 1에 해당하는 400만 명으로 집계됐다. 2012년에 비하면 5년 새 4배가량 늘어난 규모다. 특히 신분 과시용으로 스마트폰이 빠르게 확산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