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래가 해변에 올라와 떼죽음하는 이유는? 2018-12-03 16:44:06
찾는 전문가들도 있다. 뉴질랜드 매시대학의 해양포유류 과학자인 카렌 스토킨 박사는 "해수면의 바닷물 온도가 상승한 것이 원인인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면서 "이는 (고래) 먹이가 이동하는 것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 고래도 이를 따라 움직이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특이한 한 주를 보냈지만, 아직 바...
허리케인이 하와이 작은섬 통째로 삼켜…바다표범 서식지 사라져 2018-10-25 02:35:28
세계적인 멸종위기종 해양 포유류인 몽크바다표범의 집단 서식지이기 때문이다. 몽크바다표범은 개체 수가 1천400수에 불과할 정도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이다. 또한 하와이에 서식하는 바다거북이 알 부화용 둥지를 만드는 곳으로 이용됐는데 바다거북 둥지의 20% 이상이 이번 허리케인에 휩쓸려 나갔다고 허핑턴포스트는...
[강신종 쌤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31)] 생물 다양성(하) 2018-10-15 09:01:23
거대 파충류의 빈자리를 포유류가 채우며 생명다양성이 더욱 증가했다. 대멸종의 역사‘1차 대멸종’은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와 실루리아기의 경계인 약 4억4300만 년 전에 일어났으며, ‘2차 대멸종’은 고생대 데본기와 석탄기의 경계인 약 3억7000만 년 전에 일어났다. ‘2차 대멸종’은...
[강신종 쌤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30)] 생물 다양성(중) 2018-10-08 09:01:40
거대한 파충류가 사라졌고, 거대한 파충류의 빈자리를 포유류들이 차지하기 시작한 것이다.‘대멸종’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5차 대멸종’으로 공룡 등 거대 파충류 시대는 끝이 났지만 거대 파충류의 빈자리를 포유류가 채우며 생명다양성이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강신종 < 용화여고 교사...
'범고래 대재앙'…바다 흘러든 PCBs로 30년뒤 절반 소멸 위기 2018-09-28 10:37:49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한 포유류이지만 이미 북해와 스페인 연안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모습을 감춘 지 오래다. PCBs는 1930년대부터 전기부품이나 플라스틱, 페인트 등에 사용됐으나 인체에 해롭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사용이 금지됐다. 그러나 그때까지 생산된 100만톤에 이르는 PCBs의 80%가...
백령도 바다에 점박이물범 인공 쉼터 만든다 2018-09-12 11:00:04
= 해양수산부는 백령도 해역에 점박이물범 인공 쉼터를 조성한다고 12일 밝혔다. 해양포유류인 점박이물범은 체온조절, 호흡, 체력 회복 등을 위해 주기적으로 물 밖으로 나와 바위 등에서 쉬는 습성이 있다. 하지만 국내 최대 서식지인 백령도 바다에서 이들의 휴식공간인 물범바위는 자리가 좁아 물범끼리 자리다툼을...
'인터스텔라' 속 냉동인간, 현실에서도 가능할까 2018-09-07 19:07:26
끝에 해동하는 데 성공했다. 포유류의 뇌를 완벽하게 얼렸다가 부활시킨 첫 사례다.국내에서는 혈액 냉동보관과 관련한 연구성과가 나왔다. 6월 국내 극지연구소는 남극 해양미생물의 신규 물질을 활용해 냉동 상태에서 진행되는 혈액 장기보관 기간을 5배 이상 늘렸다.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 무료 주식 카톡방 ]...
9월의 보호해양생물에 '가시해마'…남획에 멸종위기 2018-09-02 11:00:17
= 해양수산부는 '가시해마'를 9월의 보호해양생물로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해수부는 "해마는 생김새가 말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가 아닌 어류에 속한다"며 "가시해마는 이름처럼 머리와 몸의 마디마디 사이에 가늘고 뾰족한 가시를 지니고 있다"고 소개했다. 가시해마는...
美 플로리다 '해양생물 떼죽음' 독성 적조현상에 비상사태 선포 2018-08-15 02:54:25
바닷새, 바다거북, 매너티와 같은 대형 해양 포유류 등이 포함된다. 롱보트키 지역에서는 최근 떼죽음 당한 어류 5t을 수거했다. 플로리다 연안에서 바다거북 수백 마리가 떼죽음 당했으며, 새러소타 카운티에서는 죽은 돌고래 9마리가 발견됐다. 독성 조류는 먹이사슬을 통해 사슬의 정점에 있는 개체까지 번지기 때문에...
바다로 간 포유류, 잃어버린 유전자로 '위기' 2018-08-10 14:55:36
해양 포유류들이 바다에 적응하면서 PON1 유전자 기능을 잃어 다른 대처 방법이 없다면 하천을 통해 바다로 흘러드는 살충제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해양 포유류가 바다에 적응하면서 후각과 미각 기능을 잃었다는 기존 연구에 흥미를 갖고 해양 포유류가 바다 생활을 대가로 포기한 기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