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경제사상사 여행] "재산권은 번영의 열쇠"…美 자유주의 세계관 형성 2013-11-22 18:51:08
중요한 것이 생명과 자유, 재산에 대한 권리라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그런 권리와 자연법은 사회를 통해 형성된 게 아니라 사회 이전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데, 누구나 이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영구불멸의 규범이라고 로크는 지적했다. 그런 규범은 정치적 제도와 행위를 판단하고 억제하는 윤리적 잣대다. 인간은 그런...
이슬람 문화에 저항한 여자의 일생 2013-11-21 21:45:42
찾아오지만 호메이니의 이슬람 혁명이 이어지면서 다시 억압체제가 이어지고 공산주의자인 남편은 교수형을 당한다. 억압적인 이슬람 정권과 극단적인 이념 갈등을 겪은 이란 사회, 그 아래서 살아가는 마수메의 50년 세월이 장대하게 그려져 있다. 작가는 이란 여성들의 권리가 느리긴 하지만 꾸준히 신장되고 있다고...
목초지에 담 쌓아 사유화…'공유지 비극' 막고 토지 생산성 높여 2013-11-15 21:15:21
여긴다. 토지에 대한 농민의 권리가 강탈돼 자본주의적 발전을 위한 원시적 축적이 이뤄졌다고 본다. 하지만 농민의 이농을 초래한 것은 인클로저만이 아니라 도시에서 취업기회가 주어졌기 때문이다. 인클로저 이전의 농민은 질병과 빈곤에 시달렸다. 비록 배부르게 된다는 약속은 없었지만 그래도 농촌의 삶보다는...
[경제사상사 여행] "자본주의는 개인권리 가장 잘 보장…최소 국가가 미덕" 2013-11-08 17:13:29
편이었다. 그러나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약국은 국유화됐고, 가족은 하루아침에 거지 신세로 전락했다. 어려서부터 소설가가 되겠다는 꿈을 품고 대학에 진학해 역사와 철학을 전공했지만 공산주의 박해로 꿈을 이루기 어려워지자 그는 홀로 미국으로 망명했다. 작가적 재주를 타고난 랜드는 자유주의 사회철학을 개발,...
"10월 中·日 제외 글로벌 증시 강세, 油價 등 원자재시장 부진" 2013-10-30 14:34:20
토지 권리다. 미국은 지상권과 지하권을 동시에 인정한다. 따라서 민간인들이 개발하기 쉬운 반면 다른 나라들은 지상권은 인정한 반면 지하권은 국가 소유가 많기 때문에 여러 가지 규제가 많다. 이런 점들로 인해서 미국에서의 셰일혁명이 더 빨리, 더 발전할 수밖에 없다. 이와 별도로 천연가스 가격은 어떻게 될...
"보시라이, 무기징역 확정" 2013-10-25 17:51:58
권리 종신박탈, 재산몰수 등을 선고했었다. 보시라이는 정치범 수용소로 처우가 좋은 것으로 알려진 베이징 친청(秦城) 교도소에서 복역할 것으로 알려졌다. 보시라이가 가석방되려면 최소 13년 이상을 복역해야한다. 보시라이는 중국 8대 혁명원로인 보이보(薄一波) 전 부총리 아들로 시진핑 체제가 탄생한 지난해...
[Global Issue] 中, 외국기업 때리기…애플→ 폭스바겐→ 삼성으로 확산 2013-10-25 17:25:20
것으로 결론난다면 부정직한 기업은 소비자권리법으로 처벌받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중국 언론들도 보조를 맞추고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법에 따르면 휴대폰을 판매하거나 제조하는 업체들은 같은 문제로 두 번 이상 수리를 했지만 고장이 반복되면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해줘야 한다”...
[시론] '스마트 혁명' 중심에 SW가 있다 2013-10-16 21:45:06
기반이 됐다. 21세기 ‘스마트 혁명’에선 소프트웨어(sw)가 그 중심에 있다 할 것이다. 스마트 혁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핵심 경쟁력이 sw에서 나온다는 의미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8일 국무회의에서 창조경제 실현도구로서의 ‘sw 혁신 전략’을 보고했다. sw산업을 1960년대 철강 산업에 비견되는 ‘21세기의...
[경제사상사 여행] “정부 개입해 복지국가 실현”…의무교육·최저임금제 도입 근거 2013-10-04 15:20:00
시민은 국가를 상대로 경제적 자원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 이게 사회적 기본권이다. 복지제공이 자선이 아니라는 뜻이다. 시민이라면 그런 권리를 누리는 데 필요한 물적·비물적 부담을 감당할 의무가 있고 이를 충실히 이행하는 게 자아실현이라고 한다. 홉하우스의 이 같은 논리에 대한 비판은 적지 않다. 먼저 소득 수...
한경硏 추모 세미나, "획일적 기업지배구조 강제, 옳지 않다" 2013-09-08 17:27:20
권리를 정해주는 게 우선이라고 생각했다”며 “모든 사물을 재산권 다툼으로 본 그의 시각은 1960년대 경제학에 혁명을 일으켰다”고 평가했다. 당시 코스는 매연 배출 기업과 주민 간 대립 등을 예로 들면서 정부의 규제보다는 민간의 자율적 거래가 갈등 해결에 효율적이라고 제시했다.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그의 이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