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삼성 세계 첫 '3D 메모리'…'아파트형' 낸드 양산 2013-08-06 17:13:30
미세공정의 한계를 극복한 ‘3차원 구조 수직형 낸드플래시(3d v-낸드·사진)’를 개발해 본격 생산에 나선다.삼성은 이 기술을 토대로 ‘기가바이트(gb)’를 넘어 ‘테라바이트(tb·1tb=1024gb)’ 시대를 앞서 열 수 있게 됐다. 향후 반도체와 모바일기기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는...
<'단독주택'→'고층아파트' 칩 설계로 기술한계 극복> 2013-08-06 14:14:33
더 작게 만들고 배선을 더 얇게 할 수밖에 없다. 낸드플래시는 현재 회로 선폭이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5천분의 1 크기인 20나노미터(nm·1nm = 10억분의 1m)급 제품이 주력이고, 집적도를 2배로 높인 10나노급제품이 막 개발된 상태다. 하지만 배선 간격이 너무 좁아지자 셀 사이에 간섭 현상이 생기면서...
삼성전자, 세계최초 3차원 메모리 반도체 양산 2013-08-06 11:00:01
세계 최초로 3차원 메모리 반도체 양산을 시작합니다. 이번 3차원 수직구조 낸드플래시 메모리는 업계 최대 용량인 128기가비트(Gigabit) 제품입니다. 삼성전자의 독자 기술 `3차원 원통형 CTF(3D Charge Trap Flash) 셀구조`와 `3차원 수직적층 공정` 기술이 동시 적용된 이 제품은 기존 20나노급 대비 집적도가 2배 이상...
삼성전자, 세계 최초 '3D 수직구조 낸드플래시' 양산 2013-08-06 10:31:01
3D Charge Trap Flash) 셀구조'와 Ɖ차원 수직적층 공정' 기술이 적용돼 기존 20나노미터(nm·1nm = 10억분의1m /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5천분의 1)급 제품 대비 집적도가 2배 이상 높아졌다. 제품 용량은 업계 최대인 128Gb(기가비트)다. 128기가비트 용량은 1천280억개 메모리 저장장소를 손톱만한 크기의...
[29일 증권사 추천종목]유진테크·제일기획 등 2013-07-29 07:51:32
확대로 증착장비 수요 증가. 삼성전자 중국 공장을 시작으로 3d 낸드 투자 확대 수혜) <추천제외종목> - cj(수익실현) ◆대신증권 <신규추천종목> - 롯데케미칼(2분기 영업이익 889억원으로 컨센서스(시장 예상치 평균) 725억원 대비 23% 웃돈 실적 시현. 투자센티멘트 개선될 전망. 부타디엔(bd) 및 모노에틸렌글리콜(meg)...
원익IPS, 업황 호조에 따른 수혜 전망-이트레이드 2013-06-07 07:58:45
및 3d 디자인 적용에 따른 수혜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그는 "특히 낸드 및 시스템 반도체용 플라스마 화학증착장비(pe cvd) 장비 및 라인 증설에 따른 가스 배관 설비 수주가 가시화될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 ▶[속보]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SK하이닉스, 반도체 R&D에 1조 투자 2013-05-22 17:21:13
중요해졌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낸드 플래시에서는 미세공정 한계를 넘기 위해 3d 낸드를 개발 중이다. 3d 적층 기술은 회로 선폭을 줄여 집적도를 높이는 미세공정 기술과 달리 셀을 위로 쌓아 집적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또 일본 도시바, 미국 휴렛팩커드 등과 손잡고 pc램, re램, stt-m램 등 다양한...
[월드 IT쇼·서울 국제3D페어] 삼성 85인치 UHD TV, 크기도 화질도 최상급 2013-05-20 15:30:15
시리즈는 3비트 멀티레벨셀(mlc) 낸드플래시를 탑재해 세계 최초로 상품화한 제품이다. 삼성은 ssd 제품화에 필요한 부품인 낸드플래시, d램, 컨트롤러 및 소프트웨어까지 핵심 기술을 독자 개발해 기술적 한계를 극복했다. 리얼디스퀘어의 미라지 에디터는 2차원(2d) 영상을 3차원(3d) 영상으로 변환하는 전용 솔루션이다....
SK하이닉스, 4분기 영업익 550억…흑자전환(종합) 2013-01-30 08:56:31
20나노급 모바일 D램 제품을 상반기에 양산하고, 낸드플래시는 상반기에 10나노급, 연내 3D 제품 개발을 완료해 기술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CMOS이미지센서(CIS)와 파운드리를 중심으로 시스템반도체 제조 역량을단계적으로 확보함으로써 메모리 사업을 넘어 종합반도체회사로 도약하기 위한 사업역량...
SK하이닉스, 4Q 영업익 549억 흑전…기대치 하회(상보) 2013-01-30 08:21:03
제품을 상반기에 양산하고, 낸드플래시의 경우 상반기에 10나노급 제품개발을 완료하고 연내 3d 낸드플래시 개발도완료해 기술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모바일 d램 제품이 금액 기준뿐만 아니라 수량 기준으로도 d램의 주력제품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낸드플래시의 경우 모바일 제품의 수요 확대에 따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