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모바일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전국 어디서나 적립된다 2022-07-20 11:00:11
전국 17개 시도 159개 시·군·구가 참여하고 있다. 지난달부터는 강원 원주시가 새롭게 참여해 인구 30만명 이상 시·군·구에서 모두 시행 중이다. 박정호 국토부 대광위 광역교통경제과 과장은 "고유가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과 청년들의 대중교통비 절감을 위해 앞으로도 알뜰교통카드 이용 지역을 지속적으로...
홍준표 시장, TK신공항특별법 등 미래 50년 현안 국민의힘 지도부와 공조 2022-07-19 14:33:16
▲ 국립대구경북경제과학연구원 설립(총 2470억원) ▲ 첨단의료기술 메디밸리창업지원센터 건립(총 200억원) 등 미래 첨단산업 육성 관련 사업과 ▲ 금호강 친환경 수변개발(총 3280억원) ▲ 3차순환도로(캠프워커 서편) 건설사업(총 170억원) 등 시민 불편해소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사업 등 총 10건(총사업비 1조...
경제관료·3선 의원 출신, 김동연 지사의 2년 선배…"정파 초월한 협업 기대" 2022-07-18 17:31:00
관세국·국제금융국·이재국·재무정책국·산업경제과장 등을 거치며 거시경제정책 전반을 섭렵했다. 신제윤,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등과 동기다. 2000년 정치인으로 변신한 뒤엔 고향인 경기 성남 분당을 지역구에서 내리 3선(제16~18대)을 했다. 국회의원 시절엔 기자들이 ‘신사 국회의원’을 뽑는 백봉신사상을 네 차례...
'자립·서민·여성·청년의 경제' 이끄는 사회적 경제 2022-07-06 15:37:41
높아졌다. 황인수 경상북도 사회적경제과장은 “경북의 사회적경제는 자립, 서민, 여성, 청년의 경제를 실현하고 있다”며 “양적으로만 성장했을 뿐 아니라 숱한 성공스토리를 만들어내며 질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회적경제가 다소 손쉬운 공공의 지원에만 기대 성장하지 않고 제품과...
"경남 경제·일자리가 최우선 과제"…1일 박완수 경남지사 취임식 2022-06-30 18:14:41
일자리경제과, 중소벤처기업과, 사회적경제추진단, 투자유치지원단을 일자리정책과, 경제기업과, 사회적경제과로 기능을 강화해 ‘경제기업국’과 ‘투자유치단’으로 재편하고 ‘창업지원단’을 신설한다. 이 밖에 새 정부 국정과제인 항공우주청 설립과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서부지역본부 균형발전국에...
경상남도 민선 8기 출범 맞춰 대규모 조직개편 2022-06-23 16:01:39
먼저 기존의 일자리경제과, 중소벤처기업과, 사회적경제추진단, 투자유치지원단을 일자리정책과, 경제기업과, 사회적경제과로 기능을 강화해 경제기업국과 투자유치단으로 재편하고 창업지원단을 신설한다. 투자유치단에 투자유치 전문가를 영입해 투자유치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와 함께 서부 경남에 기업을 집중유치 해...
사회적기업 육성 사업 '10-10클럽' 성과…경북 "선한 영향력 전파해요" 2022-06-14 18:20:52
글로벌투게더 경산 등 다섯 곳을 선정했다. 향기내는사람들과 알배기협동조합(칠곡) 두 곳은 포스트 10-10클럽으로 선정해 30-30, 50-50클럽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황인수 경상북도 사회적경제과장은 “경북의 10-10클럽 육성 사업은 좋은 사회적가치만큼 기업 규모도 키워 사회적기업의 성장과 지역사회를 살기 좋은 곳으로...
메뉴판보다 비싸게 결제한 식당…'사기 아닌가요' 황당 사연 2022-06-13 16:53:45
있다. 또 명시 없이 가격을 올려받으면 사기죄까지 성립할 수 있다. 이러한 피해가 발생했음에도 업체를 통해 직접 환불받기가 어려운 경우, '한국소비자원'에 중재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위법행위를 저지른 업체에 대해서는 관할 시청의 '민생경제과'에 신고하면 된다. 김현덕 한경닷컴 기자 khd9987@hankyung.com...
지하철·버스 통합정기권 나온다…최대 38% 환승 할인 2022-05-25 17:58:51
했다. 박정호 대광위 광역교통경제과장은 “정부가 대중교통 정기권 서비스를 지원하는 첫 사례”라며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서민·청년층의 대중교통비를 절감하는 동시에 다양한 이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통합정기권 도입에 따른 비용 분담 산정 과정에서 정부·지자체·서울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