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100세 시대 건강테크] 일교차 큰 환절기…고혈압 '주의보' 2017-11-14 14:01:12
칼슘길항제, CCB와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ARB입니다. 여기에 최근 들어선 CCB와 ARB 조합에 이뇨제를 더한 3제 복합제 등 다양한 복합제도 개발돼 출시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고혈압치료제 시장은 1조7천억원 규모로, 이 가운데 CCB 단일제가 전체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제약회사들이...
"새 항응고제 'NOAC', 와파린보다 뇌출혈 예방에 도움" 2017-11-08 10:49:17
사용됐는데 지난 2013년 '비(非)-비타민K 길항제 경구용 항응고제' 3종류를 일컫는 'NOAC'(다비가트란·아픽사반·리바록사반)가 국내에 정식 약제로 도입되면서 처방법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아시아 최대 규모의 연구를 통해 기존 와파린을 이용한 치료보다 NOAC의 복용 효과가 더...
김영호 메디프론디비티 대표 "신약후보물질 100억 투자… 독자 임상으로 성과낼 것" 2017-10-17 19:30:55
치료제(rage 길항제)를 기술수출하기도 했다.업계에서는 신약후보물질 도출 또는 전 임상 단계에서 올린 성과여서 기대가 컸다. 하지만 이후 임상 속도가 더뎌지면서 관심에서 멀어졌다. 김 대표는 “메디프론은 신약 개발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기 단계에서 기술 이전과 공동 연구개발을 지향해 왔다”며...
과식 잦은 추석, 위장약도 증상따라 선택해야 2017-10-08 10:13:00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길항제로 위궤양과 같이 보다 심각한 증상 완화에 사용된다. ‘시메티딘’, ‘자니티딘’ 등도 비슷한 작용을 한다., 부작용으로 발진, 알레르기, 어지러움 등이 있어 의사의 처방을 필요로 하는 전문의약품에 많이 사용된다.약국에서 제산제를 복용한 후에도 증상이 지속될...
'나'를 잊어가는 치매… 어제 나눈 대화 기억 못하고, 했던 말 또 하면 의심 2017-09-22 16:57:40
막는 nmda수용체 길항제로 치료한다.혈관성 치매 환자는 이와 함께 뇌혈관 질환 재발을 막아야 한다.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아스피린, 항응고제인 와파린, 혈류순환개선제 등을 함께 활용해 치료한다. 한호성 유성선병원 뇌졸중센터장은 “혈관성 치매는 치료를 잘 받으면 증상이 호전될 가능성이 크다”며...
천식약으로 파킨슨병 치료(?) 2017-09-01 10:00:06
같은 기도 확장제에 들어있는 베타-2 아드레날린 길항제(beta-2 adrenergic agonist)가 파킨슨병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의 활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31일 보도했다. 파킨슨병은 운동(motor)을 조절하는 뇌 부위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 도파민 생산 신경세포가 소실돼...
"카페인 섭취하면 수술마취서 빨리 깬다" 2017-08-22 18:46:14
물질인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라고 풍 박사는 설명했다. cAMP의 증가는 전신마취로부터의 회복 속도를 촉진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카페인은 또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로서도 작용한다. 아데노신이 수용체와 결합하면 신경계의 활동이 느려지면서 졸리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수술 마취에서 빨리 깨려면 카페인이 효과" 2017-08-22 10:49:30
연구결과도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카페인은 또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adenocine receptor antagonist)로서도 작용한다. 아데노신이 수용체와 결합하면 신경계의 활동이 느려지면서 졸리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카페인은 이 결합을 차단한다고 풍 박사는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신경생리학 저널'(Journal of...
심혈관 부작용 줄인 식욕억제제 복용 초기, 두통 호소하는 사람들 많아 2017-07-28 17:32:23
막는 오피오이드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합니다. 단점은 구역질이나 구토, 멀미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는 겁니다. 복용법도 까다롭습니다. 첫 주 1일 1회 1정에서 시작해 4주에 걸쳐 복용량을 천천히 늘려야 합니다. 이 약은 벨빅과 달리 심혈관계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아 고혈압 환자는 주의해야 합니다.고혈압, 당뇨가 있는...
[김학주의 Honor club] 비마약성 진통제 개발 세계 선두권 `메디프론 김영호 대표` 2017-07-13 22:13:15
리간드개발에 주력했습니다. 효현제와 길항제 두 가지 기전이 모두 TRPV1 을 통한 통증 전달을 막을 수 있는 기전입니다. 그 중 길항제가 위에 언급한 부작용을 나타냈는데 초기의 우리약물도 동일한 부작용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약물의 구조를 미세하게 변형시키며 TRPV1 과 약물의 상호작용을 전기 생리학 적인 방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