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농진청 '농업기계 주행 안내 표지판', 경찰청 '교통안전시설' 채택 2024-10-31 18:15:31
지역에 농업기계 주행 안내표지판을 설치했다. 농진청은 전남 장흥 3개 마을을 대상으로 설치 전후 3개월 동안 일반차량 2454대의 평균속도를 비교한 결과, 주행속도는 최소 11%가 줄었고 과속차량은 25%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농진청은 한국도로교통공단과 협업해 농업기계 주행 안내 시스템의 세부 규격을 개발하고,...
[사설] 거주에서 체류로…지방 소멸 해법 달라져야 2024-10-31 17:57:16
주민등록 인구로 대표되는 정주인구만이 지역 발전을 위한 유일한 답이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주거지와 별도로 휴양을 위한 지방 세컨드 홈이 활성화하고, 일하면서 휴가를 동시에 즐기는 워케이션도 유행하는 추세다. 이처럼 국민의 이동성이 높아지고 정주 패턴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체류인구는 지방 소멸 해법의 대...
치솟던 배춧값 대폭 하락…"물량 충분해" 2024-10-31 10:36:32
2천900원대로 내려왔고, 다음 달이면 남부 지역에서도 배추가 나오면서 도매가가 2천원대에서 등락하지 않을까 한다"며 "배춧값은 염려를 안 하셔도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앞서 농식품부는 배추 가격을 낮추고자 중국산 배추 1천100t(톤)을 수입할 예정이었으나 수요가 적어 48t을 들여온 이후 수입을 사실상 중단했다....
송미령 "5대 마트서 배추 3천원대…물량도 작년보다 충분" 2024-10-31 10:00:04
2천900원대로 내려왔고, 다음 달이면 남부 지역에서도 배추가 나오면서 도매가가 2천원대에서 등락하지 않을까 한다"며 "배춧값은 염려를 안 하셔도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소비자가 어느 곳에서 얼마나 싸게 살 수 있는지 정보를 알리는 게 중요한 것 같다"며 "친절하게 알릴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달라고 했다"고...
"한국은 아프리카 역량강화 기금의 굿 파트너" 2024-10-30 11:22:26
지역에 비해 최대도시와 제2 도시 간 격차가 엄청나게 크다"면서 광대한 아프리카 농촌지역의 신재생 에너지 전환 등에서 현지 이용 주민의 편익을 좀더 고려한 인간 중심의 설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서울대 아시아-아프리카센터는 2022년 3월 한국과 아프리카 관점을 상호 동등하게 이해하는 종합적인 아프리카...
김도현x최송하 듀오의 '보헤미안 하모니' 15일 마포아트센터 2024-10-30 10:50:50
체코의 농촌 지역에서 느낄 수 있는 민족적 음악 요소가 특징이다. 이어 프랑크의 작품 중 가장 잘 알려진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A장조’를 비롯해 버르토크를 가장 혁신적인 작곡가로 자리매김해준 작품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1번으로 무대를 꾸민다. 최송하는 "스메타나의 ‘조국으로부터’는...
[순천대학교 2024년 초기창업패키지 선정기업] 정원수 생산과 판매 그리고 품종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오앤오팜하우스’ 2024-10-29 22:20:50
있게 하는 2박 3일 농활·촌캉스 프로그램 ‘농촌시그널’, 지역에서 한 달 살기 하며 농업경영에 대해 실습하는 ‘농촌세끼’ 등과 같이 지역으로 청년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활동 등을 겸하며 지역의 청년 사업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오앤오팜하우스우의 대표 아이템은 수국이다. 수국은 전...
이기원 "푸드테크는 미래 노동력 부족 해결할 열쇠" 2024-10-29 17:25:32
이 회장은 푸드테크가 농촌 혁신의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혁신적인 유통 플랫폼을 잘 활용하면 소멸 위기를 겪는 농촌에서도 냉동김밥, 춘천 감자빵처럼 지역 명물이 탄생할 수 있다”며 “청년 농부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유럽은 전통적인 식품 분야를 강화하고 있고...
경북 1세대 귀촌 청년 기업가들, 지역 명소 만들어 미래 연다 2024-10-29 15:24:43
있는 장소를 의미한다. 권인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연구팀장은 ‘프랑스 제3의 장소 지원정책과 보드르빌의 온실 사례’라는 연구에서 제3의 장소에서는 “공유작업장, 메이커스페이스, 공공서비스의 집, 문화 제작소, ‘연대하는 카페, ‘팹랩(fablab)’, 지역 내 문화 플랫폼인 ‘작은 열정’, ‘연결된 캠퍼스’ 등...
"K-산업유산 관광 콘텐츠화…유네스코 등재 추진하겠다" 2024-10-29 15:06:04
지역을 중심으로 졸페라인 탄광 산업단지와 박물관, 광산박물관을 엮어 산업유산 트레일을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경북문화관광공사 건물인 육부촌(대한민국 관광컨벤션산업의 발상지), 문경의 쌍용양회(산업화 시기 주요 시멘트 공급원), 상주의 옛 잠실(전국 최고의 양잠 생산), 포스코의 1고로기(철강산업 발전의 상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