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수능, 학력 측정 도구로 변질돼 이럴 바엔 학력고사 돌아가야" 2023-08-13 17:49:59
국어 시험이나 미적분을 풀어야 하는 수학 시험과는 다른 것”이라며 “대학 강의를 알아듣기 위한 논리력과 사고력만 갖추면 풀 수 있는 문제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언어, 수리를 기본으로 하는 시험 안이 발표되자 과학계, 사회과학계 등에서 연이어 과학과 사회도 시험에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결국 정부의...
많은 학생 수강하고, 수능 연계된 과목 유리…고등학생 선택과목 가이드 2023-07-28 17:31:50
‘미적분’, ‘확률과 통계’가 권장과목이다. 생명과학부는 ‘생명과학Ⅱ’, ‘미적분’을 핵심 권장과목으로 정했다. 성적을 잘 받을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많은 학생들이 수강하는 과목을 고려해볼만 하다. 많은 학생들이 선택한다는 것은 그만큼 일반적인 과목이라고 볼 수...
사교육 눌러도…특목·자사고 학원은 '무풍지대' 2023-07-10 18:09:11
수2, 미적분, 기하, 대수 등을 집중적으로 가르친다. 특목고, 자사고를 지원하기 위해 적어도 중학교 3학년 여름방학 전까지 고등학교 교과 선행을 끝내야 한다는 게 학원가의 정설이다. 이에 수학, 과학탐구 등 선행을 위해 대입 학원에 다니는 중학생도 늘고 있다. 소위 ‘부엉이 독서실’로 불리는 대형 입시학원의 자체...
[2024학년도 대입 전략] 국수탐 백분위 합, SKY 인문 280~293점·자연 275~291점…'취업연계' 반도체·컴퓨터공학과, 의약학 다음으로 인기 2023-07-10 10:00:14
점수(수학은 미적분 또는 기하, 탐구는 과학 응시)는 최고 291점(서울대 수리과학부, 컴퓨터공학부)에서 최저 275점 사이로 분석된다. 주요 10개 대학은 최고 279점(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에서 최저 268점 사이에서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15개 대학은 최고 273점(서울시립대 컴퓨터과학부 등)에서 최저...
올해 수능 11월16일 실시…킬러문항 빼고 EBS 연계율 50% 유지 2023-07-02 10:09:23
공통과목인 수학Ⅰ·수학Ⅱ 외에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시험을 본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에서 수험생들은 사회와 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가운데 최대 2개를 골라 시험을 치른다. 직업탐구 영역은 6개 과목 가운데 최대 2개를 선택해 시험을 볼 수 있다. 2...
올해 수능 11월16일…9월 모평 '관건' 2023-07-02 09:40:58
수학Ⅰ·수학Ⅱ 외에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시험을 본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에서도 수험생들은 사회와 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가운데 최대 2개를 골라 시험을 치른다. 직업탐구 영역은 6개 과목 가운데 최대 2개를 선택해 시험을 볼 수 있다. 2개...
반복되는 출제 오류…학생들 뿔났다 2023-07-01 15:04:41
1학년 수학, 2학년 생명과학Ⅰ, 3학년 미적분 과목에서 1개 문항씩 잘못 출제돼 재시험을 치렀다. 한 학생은 "2019년을 제외하고 시험을 치를 때마다 출제 오류가 반복되고 있다"며 "시험 중간 잘못된 문제를 고쳐서 칠판에 다시 내는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 . 다른 한 학생은 "재시험 방침에 학생들이 항의하자 다른...
11월 수능, 6월 모평보다 쉬울듯 2023-06-27 18:08:38
‘미적분’ 응시율(48.5%)이 인문계열이 많이 보는 ‘확률과 통계’(47.8%)를 추월했다. 통합 수능 체제를 도입한 2022학년도 이후 처음이다. 탐구 영역에서도 과학탐구만 선택한 수험생 비율이 48.5%로 사회탐구만 선택한 수험생(47.7%)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본수능은 6월 모의평가보다 쉬울 것으로 전망했다....
출제 단계부터 '킬러문항' 배제…내년부턴 현직 교사가 문제 낸다 2023-06-26 18:33:30
킬러문항은 2022학년도 수능의 수학 미적분 29번 문제가 꼽혔다. 이 문제는 삼각함수, 사인법칙, 함수의 극한이 결합됐다. 공교육에서 다루는 수준보다 복잡한 형태의 함수라 수험생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미적분 문항으로 출제됐지만 대학에서 배우는 ‘테일러 정리’를 활용하면 더 빠르고 쉽게 해결할 수...
"이걸 고등학생이 푼다고?"…킬러문항 22개 콕 찍은 교육부 2023-06-26 17:23:36
킬러 문항으로 지목됐다. 22번의 경우 공통과목인데도 선택과목으로 '미적분'을 응시한 수험생은 '변곡점'의 개념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다른 학생보다 유리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가 됐다. 2022학년도 수능에서는 '미적분' 29번이 대학에서 배우는 '테일러 정리' 개념을 활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