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朴측 촛불집회 비판하며 ‘다수결의 함정’ 주장...촛불민심은 국민 민심 아냐 2017-01-05 20:25:32
측 서석구 변호사는 이날 심판정에서 "소크라테스가 사형선고를 받고 유언적인 말을 했다"며 `나는 사형장으로 가고 여러분은 살기 위해 가겠지만, 어느 쪽에 더 좋은 것이 기다리는지는 신 외에는 모른다`는 고사를 언급했다. 이는 여론의 모함으로 사형장에 선 소크라테스에 박 대통령을 비유한 것이다. 서 변호사는...
서석구 변호사 “촛불민심은 국민 민심 아냐”...김현 “5% 박심이 민심?” 2017-01-05 20:06:11
대통령 대리인단이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는 촛불시위의 민심이 국민 민심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특히 촛불시위 주최 측에 대해 `색깔론`까지 거론하며 탄핵소추의부당성을 강조했다. 대통령 대리인단 소속 서석구 변호사는 이날 헌법재판소 1층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2차 변론에서 "국회가 탄핵소추 사유로 누누이...
[탄핵 변론 '첫 격돌'] 대통령 측 "특검 중립성 문제 있다" vs 국회 측 "박 대통령 파면 마땅하다" 2017-01-05 17:57:52
정치적 중립성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서석구 변호사는 “박 대통령을 수사한 검찰 특별수사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이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사정비서관이었다”며 “이는 정치적 중립성을 의심받을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박 특검에 대해서도 “헌정 사상 초유로 야당만이 특검 후보...
박 대통령 측, 검찰·특검 '정치색' 지적…"수사 기록 증거로 못 써" 2017-01-05 11:29:24
대통령 측 대리인인 서석구 변호사는 5일 헌법재판소 전원심리로 열린 탄핵심판 2차 변론기일에서 "검찰 공소장과, 그에 기초한 (특검) 수사는 탄핵사유로 삼는 데 부적절하다"며 이같이 말했다.서 변호사는 박 대통령을 수사한 검찰 특별수사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이 노무현 전 대통령 정권 시절 청와대...
헌재, 1월 10일 최순실·안종범·정호성 불러 증인신문 2016-12-30 16:15:26
요청하기도 했다. 대통령 대리인단의 서석구 변호사는 탄핵심판은 형사소송 절차를 준용한다는 점을 들어 "피청구인의 절차적 권리가 보장돼야 한다"며 "3만 2천 페이지의 수사자료를 한 번 읽는 것만으로도 일주일 이상 걸려 방대한 국회 측 논리나 주장, 증거를 방어하기 위해서는 방어권 보장을 위한 최소한의 시간을...
"박 대통령 탄핵심리에 출석해야" 2016-12-21 20:11:51
서석구(72·사법연수원 3기), 전병관(52·22기), 이상용(54·37기), 황성욱(41·42기), 박진현(32·변호사시험 2회) 변호사 등이다. 전 변호사는 대구 대륜고와 서울대를 나와 부장판사를 지낸 tk(대구·경북)계 법조인이다. 2006~2008년에는 헌법연구관으로, 2010~2012년에는...
벗어나지 못하는 특별한 날의 기억, 연극 ‘당신은 모르실거야’ 2015-02-02 16:31:46
왜 ‘서석구’의 기억이 멈춰있는지 알지 못한 채 그를 지켜본다. 그러던 어느 날, 손녀인 ‘소영’이 지병으로 같은 병원에 입원한다. ‘소영’은 할아버지인 ‘석구’의 상태가 안타깝기만 하다. 작품은 같은 병원에서 지내게 된 ‘소영’이 ‘서석구’가 현실을 인지하도록 도우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는다. 이번...
[천자칼럼] 교수형과 뺨 한 대 2014-04-18 20:32:57
판사 출신의 서석구 변호사가 ‘나는 왜 사형 존치론자가 되었나’라는 책을 통해 흉악범죄 예방을 위한 사형제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현재 사형제도가 있는 나라는 64개국이고 폐지국은 120여개국이다. 집행 방법으로는 교수형이 많지만 북한과 중국 등 공산주의 국가는 공개총살형을 채택하고 있다. 엊그제 이란의...
5·18 왜곡 종편 출연자 등 10명 고소…"대응 시작" 2013-06-07 14:00:04
김명국·이주성·서석구, tv 조선 '장성님의 시사탱크'에 출연한 임천용, 인터넷 사이트 일간 베스트 저장소(일베)에 악성 댓글을 올린 네티즌 6명이다. 고소인은 유족 등 5·18 관련자 31명과 기념재단·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 등 4개 5·18 관련단체를 포함해 35명(단체)이다. 이들은 역사적 평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