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습윤드레싱에 해양생물 추출물 더하면 새 살이 '솔솔' 2018-01-04 11:36:41
피부섬유아세포 활성도와 증식속도를 2배가량 높였다고 4일 밝혔다. 습윤드레싱은 하이드로겔 등 수분을 함유한 얇고 부드러운 소재로 제작돼 밴드나 거즈 형태의 건조드레싱에 비해 찰과상이나 타박상 등 피부 상처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치료할 수 있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박 씨는 감태 추출물을 물에 녹인 뒤...
테고사이언스, 주름개선 세포치료제 '로스미르' 허가 받아 2017-12-28 10:30:17
미국 피브로셀의 '라비브'(안면 주름 대상 섬유아세포치료제)는 3회 투여가 필요하며 주름 개선율도 20~40%에 불과하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테고사이언스는 지난 22일 본사 및 연구개발 시설을 마곡산업단지로 이전해 사업 확대를 위한 준비도 마쳤다. 마곡에 완공된 신사옥은 지하 2층, 지상 6층으로 생산 시설 규...
외국산의 반값 차세대 필러 개발… "내년 유럽·국내 판매 허가날 듯" 2017-12-24 17:12:20
주입하면 면역반응이 일어나면서 콜라겐을 형성하는 섬유아세포가 증가하는 원리를 이용했다. 새로 생긴 콜라겐이 피부 속을 채우면서 피부가 탱탱해지는 효과를 낸다. 병·의원에서 흔히 쓰는 히알루론산(ha) 성분 필러보다 오래 지속되는 게 장점이다. 다만 시술이 어렵고 값이 비싸다.국내 plla 성분 필러 시장은...
“미용 한류 전도사 될 것”…콜라겐 생성되는 필러 개발한 김창식 지씨에스 대표 2017-12-24 16:47:00
일어나면서 콜라겐을 만들어내는 섬유아세포가 증가하는 원리를 이용했다. 새로 생긴 콜라겐이 피부 속을 채우면서 피부가 탱탱해지는 효과가 나타난다.plla에 기반한 필러는 병의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히알루론산(ha) 성분의 필러보다 지속성이 오래간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시술이 어렵고 값이 비싸다.국내...
피부재생 탁월 '한천올리고당' 제조기술 개발 2017-12-20 12:00:30
섬유아세포(사람의 피부세포와 유사한 세포)에 한천올리고당을 처리한 결과, 농도가 높아질수록 피부 노화 개선에 도움을 주는 미토콘드리아가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비브리오 패혈증 억제 관련 면역력 증진 효능 연구와 세포재생 능력을 이용한 상처 치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soho@yna.co.kr (끝)...
강스템바이오텍, 주름개선용 조성물·용도 특허 2017-12-13 10:25:12
기자 = 코스닥 상장사 강스템바이오텍[217730]은 'GDF11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특허를 취득했다고 13일 공시했다. 회사 측은 "GDF11은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이동성을 향상하며 기질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며 "주름개선용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id@yna.co.kr (끝)...
프로스테믹스, 줄기세포 엑소좀 피부재생효과 첫 규명 2017-10-11 10:10:11
섬유아세포 증식과 세포이동 촉진'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엑소좀은 세포가 분비하는 세포 간 신호전달물질로서 최근 세포 재생 및 대사, 진단 연구의 핵심과제로 떠오르는 나노물질이다. 지방줄기세포의 엑소좀은 면역 거부 반응이 낮고 높은 재생 및 치료 효과가 기대돼 최근 여러 영역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이...
초음파로 일주일 안에 역분화줄기세포 대량 생산 2017-09-14 12:00:03
섬유아세포 등에 초음파를 처리한 뒤 줄기세포 배지에 일주일 동안 배양한 결과, 줄기세포 배지가 초음파에 의해 일시적으로 손상된 세포막을 통해 세포 내로 유입되는 것이 확인됐다. 초음파 처리 후 하루 만에 역분화 메커니즘이 나타나기 시작해 일주일 내 90% 이상의 피부세포가 역분화 줄기세포로 분화하는 것으로...
'뱃살' 많으면 암에 걸릴 위험 커지는 이유 규명 2017-09-03 07:00:05
결과 내장지방이 피하지방보다 섬유아세포성장촉진인자-2(FGF2)를 훨씬 많이 생성한 것을 발견했다. FGF는 조직의 재생과 성장에 관여하는 단백질이지만 FGF2는 암 발생과도 관련될 수 있다. 연구팀이 추가 분석한 결과 내장지방에 의해 많이 분비된 FGF2는 자외선B광선 때문에 이미 FGF2에 취약해진 피부와 유방 세포 등을...
KIST, 코오롱생명과학에 노화개선 물질 기술이전 2017-08-22 13:00:00
피부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성을 높이고 주름유발효소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이다. 또 추출물 속에 들어있는 화합물 8종도 규명했는데, 이들은 모두 비타민K와 같은 '쿠마린' 계열에 속하는 유기화합물이었다. 피뿌리풀은 몽골, 중국, 러시아 등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칭기즈칸 시대에 상처 치유에 썼다고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