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8월 3일 ETF 및 원자재 시황 [글로벌 시황&이슈] 2023-08-03 08:14:21
시장에 투자하게 만들었다는 파이낸셜 타임즈의 보도가 나왔는데요, 실제로 튀르키예의 보르사 이스탄불 100 지수는 지난 5월 말 이후, 무려 46%나 폭등했습니다. 또, 튀르키예 증시에 외국인 투자자들의 유입이 끊이질 않고 있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JP모간이 집계하는 튀르키예의 국가 부채 추적 지수는 지난 5월 이후...
'흑해곡물협정 파기' 푸틴 "아프리카에 곡물 5만t 무상제공" 2023-07-27 19:58:43
(이스탄불=연합뉴스) 조성흠 특파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아프리카 6개국에 수개월 내로 최대 5만t에 달하는 곡물을 무상 제공하기로 약속했다고 AFP, 리아노보스티 통신 등이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 연설에서 "수개월...
러 "흑해 곡물운송선서 폭발물 흔적 또 발견" 주장 2023-07-27 17:54:14
(이스탄불=연합뉴스) 조성흠 특파원 = 러시아는 27일(현지시간) 흑해를 오가는 곡물운송선에서 또다시 폭발물의 흔적을 발견했다면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수송 의혹을 거듭 제기했다. 러시아 연방보안국(FSB)은 이날 성명을 내고 "테러 및 사보타주(비밀 파괴공작) 행위를 막고 해상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작전 중...
푸틴, 디지털루블 도입법 서명…서방 금융제재 우회 추진 2023-07-25 17:09:16
(이스탄불=연합뉴스) 조성흠 특파원 =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의 제재로 국제 금융 거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러시아가 제재 우회를 위해 디지털화폐(CBDC)인 디지털 루블화를 도입하기로 했다. 25일(현지시간) 타스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전날 디지털 루블화와 관련 전자 플랫폼 도입을 위한 법에 서명했다....
우크라 오데사에 1주일째 공습…러 모스크바·크림에도 드론공격(종합) 2023-07-24 18:54:35
(서울·이스탄불=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조성흠 특파원 = 러시아가 점령 중인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를 잇는 크림대교가 공격당한 후 1주일째 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오데사에 대한 공습이 이어졌다. 러시아도 수도 모스크바와 크림반도가 드론 공격을 받는 등 양국의 공방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24일(현지시간)...
에르도안 "푸틴과 흑해곡물협정 복원 가능…러 요구 고려돼야" 2023-07-21 21:03:12
(이스탄불=연합뉴스) 조성흠 특파원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자신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해 흑해곡물협정을 복원할 수 있다면서 서방이 러시아의 요구를 고려할 것을 촉구했다고 2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이날 중동 및 북키프로스 순방을 마치고...
우크라 흑해수출 막히자 곡물가 상승…빈국 기아 악화 우려 2023-07-21 11:10:30
흑해 수출로가 막히면서 장기적으로 곡물 시장의 취약성이 커질 수 있다는 게 문제다. 상품 분석 업체 케이플러(Kpler)의 분석가 알렉시스 엘런더는 브라질이 2021년처럼 심각한 가뭄을 또 겪거나, 호주가 엘니뇨 등 기상 이변으로 보리·밀 수확에 차질을 겪을 경우 곡물가가 치솟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러시아가...
흑해곡물협정 종료로 밀 가격 3%↑…유럽 주식 시장도 '흔들' 2023-07-18 00:58:03
협정을 타결하고 나서 안정을 되찾았다. 튀르키예 이스탄불에 있는 공동조정센터(JCC)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8월부터 1년 동안 3천620만t의 곡물을 수출할 수 있었고, 그중 절반 이상은 개발도상국으로 향했다. 이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흑해협정 왜 중요한가…우크라 곡물수출 90% 걸린 '희망의 등대" 2023-07-17 22:50:57
흑해 항로의 안전 보장과 협정 이행을 맡은 이스탄불 공동조정센터(JCC)에 따르면 이중 절반 이상이 개발도상국에 공급됐다. 우크라이나 항구에 5개월째 쌓였던 곡물이 다시 수출길에 오르면서 식량 부족과 곡물 가격 급등세를 진정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밀 가격은 올해 들어 약 17% 하락했고, 옥수수 시세도 약 26%...
1년 만에 종말 맞은 흑해곡물협정…세계경제 다시 혼돈 속으로 2023-07-17 21:21:40
가진 튀르키예가 참여하면서 지난해 7월 이스탄불에 협상장이 마련됐다. 그리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7월 24일 흑해 항로의 안전 보장과 협정 이행을 맡을 이스탄불 공동조정센터(JCC) 설치를 골자로 한 흑해곡물협정에 합의했다. 이후 8월부터 우크라이나 3개 항만의 봉쇄가 풀리고 선박을 통한 곡물 수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