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행복·사랑·낭만 가득한 제주왕벚꽃축제 30일 개막 2018-03-26 09:49:01
= 세계 유일의 왕벚나무 자생지 제주에서 행복과 사랑, 낭만이 가득한 2018 제27회 왕벚꽃축제가 열린다. '왕벚꽃 자생지, 제주에서 펼치는 새봄의 향연'이란 주제로 열리는 이번 축제는 30일∼4월 1일 제주시 삼도1동 전농로 일대, 4월 7∼8일 애월읍 장전리에서 각각 열린다. 내달 3일 열리는 제주4·3 희생자...
전남 특산 비자나무·소귀나무 소득 자원화 시동 2018-03-20 10:17:09
베어졌다. 비자나무 숲도 상당수 사라져 최대 자생지인 전남, 제주 일부에만 남아있다. 전남에서는 장성군에서 관리하는 비자림이 최대 규모로, 5천여 그루가 백양사 주변에 자생한다. 국내 비자나무는 고가에 팔리는 중국 비자 열매보다 향기가 더 진하고 모양이나 맛이 우수하다는 평가도 있다. 소귀나무는 한국, 중국, ...
피톤치드 보고냐, 꽃가루 알레르기 주범이냐…편백 효능 논란 2018-03-20 06:00:07
생태 특성이 있는데 편백은 우리나라가 자생지가 아니라 일본이 자생지"라며 "울산의 경우 후박나무, 벚나무, 동백 등 평지에 자생하는 나무 위주로 숲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의 자연적인 변화를 인간이 앞장서서 바꾸면 문제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산림청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편백을 주로 산에만...
"일본 애물단지 편백, 우린 식목일마다 수만그루 심는다" 2018-03-18 07:30:01
우리나라가 자생지가 아니라 일본이 자생지"라며 "울산은 20년간 출입을 금지한 천연기념물 65호 '목도의 상록수림'에서 잘 자라고 있는 후박나무, 벚나무, 동백 등 평지에 자생하는 나무 위주로 숲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들의 자연적인 변화를 인간이 앞장서서 바꾸면 문제가 생긴다"라고 말했다....
제주 담팔수 다 죽어간다…원인 밝혀 방제해도 계속 고사 2018-03-18 06:00:06
제주도에 따르면 서귀포시 천지연 계곡의 담팔수 자생지가 천연기념물 제163호로 지정된 1964년 이전부터 이곳에 자생하던 담팔수 5그루가 지난해까지 모두 고사했다. 천연기념물 지정 이후 같은 장소에서 자생한 5그루와 2003년 태풍으로 유실된 담팔수를 대체하기 위해 심은 5그루도 상태가 점점 나빠지고 있다. 담팜수가...
행운 꽉 채운 꽈리의 미학… 붓끝에서 번진 주묵(朱墨)천리 2018-02-26 19:13:49
자생지를 여행하며 스케치한 것을 겨우내 작업했다. 경기 안양 작업실을 마련해 하루 14~15시간씩 복주머니를 닮은 꽈리를 그렸다. 전통 한지에 주묵(朱墨)을 칠해 주홍색이 배어 나오게 한 다음 흰색과 검은색을 덧입혀 꽈리 색깔을 우려냈다. 세필을 힘껏 잡고 꽃과 열매 하나하나에 긴장을 불어넣었다. 누에가 뽕잎을...
아니 벌써…봄의 전령사 복수초 '활짝' 2018-01-15 15:20:01
전령사 복수초 자생지인 이곳을 생태휴식 학습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한다. 샘이 있는 공원으로 주민들이 자주 찾는 공원이다. 희귀수종인 쥐엄나무, 말채나무를 포함해 수형 200년의 느티나무 등 10종 260여 본의 보호수가 있다. 그러나 사진을 찍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일부 꽃이 짓밟혀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국립생태원, 대표 전시 식물 54종 다룬 식물도감 발간 2018-01-12 06:00:08
자생지 모습을 비롯해 꽃이나 열매 등 특징적인 부분은 삽화를 활용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망그로브·바오밥나무·식충식물 등 독특한 생태를 보여주는 식물은 이야기 형식으로 설명해 식물 생태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도록 했다. 이번 안내서는 이달 중순부터 전국의 식물원·수목원·도서관 등에...
"신불산 구름병아리난초 환경부가 보호해야" 울산생명의숲 주장 2018-01-11 17:06:27
이 자생지는 최근 울주군이 신불산 삭도 건설을 위해 환경영향평가를 하던 중 발견됐다. 멸종위기Ⅱ급 야생식물 구름병아리난초는 우리나라의 높은 산 침엽수 아래 자라는 난초과 다년생 초본이라고 이 단체는 설명했다. 울주군은 구름병아리난초를 다른 곳으로 이식하거나 자생지를 그대로 두고 건설 공사를 하겠다는 뜻을...
울산 아파트 단지에 협죽도 나무, 맹독성 청산가리 6천배…`심장마비`까지 유발? 2017-12-30 20:08:25
자생지인 협죽도는 맹독성이긴 하나 공해에 강하고 공기정화 능력이 뛰어난 데다 상록관목이어서 관상수로서의 가치가 비교적 높은 수종이다. 이 아파트 관리사무소는 2개월 전 협죽도의 맹독성을 인지하고 곳곳의 나무 군락 앞에 `나무껍질이나 뿌리, 씨앗 등 식물 전체에 치명적인 독성이 있으므로 식용이나 젓가락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