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경제 2019-04-12 15:00:02
190412-0443 경제-008311:20 카드사 노조, 초대형가맹점 수수료 하한 마련 재차 촉구 190412-0448 경제-008411:24 [특징주] 아시아나 자회사 매각 가능성에 관련주 강세 190412-0458 경제-008511:32 '금리경쟁 우려' 부산경실련, 지자체 금고 평가 개선안 제시 190412-0459 경제-008611:33 [일문일답] 정부 "일본산...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사회 2019-03-19 15:00:04
왕초피나무 정유 미백 효과 뛰어나 190319-0184 사회-007709:00 [내일날씨] 전국 흐리고 오후부터 비…수도권 미세먼지 '나쁨' 190319-0183 사회-007609:00 식약처, 전투식량·뱅쇼·라면스프·짜먹는죽 위생검사 190319-0185 사회-007809:00 인천 산업단지 무료 교통편 '무빙콜' 확대에 택시업계 반발...
[ 사진 송고 LIST ] 2019-03-15 15:00:02
안정원 정유제품 반출 관련 답변하는 통일부 03/15 10:53 서울 김주성 거리로 나선 장자연 동료 윤지오 03/15 10:55 지방 김인유 광교호수공원을 한눈에…33m 나선형 전망대 21일 개관 03/15 11:00 지방 임채두 '자사고 평가 계획 규탄' 상산고 학부모 총궐기대회 03/15 11:00 지방 임채두 상산고...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경제 2019-03-14 08:00:03
(경제) 190313-0701 경제-013415:06 카드사 노조 "금융당국, 재벌가맹점 수수료 갑질 대책 마련해야" 190313-0702 경제-013515:08 대성미생물, 시설 증설에 205억원 투자 190313-0709 경제-013615:13 홍대 KB청춘마루서 토마뷔유 그래피티 퍼포먼스 190313-0712 경제-013715:14 확 꺾인 주택담보대출…2월 증가폭, 작년보다...
조선·자동차 노사 관계 '우울'…석유업계는 '무난' 2019-03-07 14:38:30
4조 3대로 돌아가는 정유업계 특성상 현재 정부와 노동계 간 갈등 중인 탄력 근로제를 놓고도 노사 마찰이 상대적으로 덜하다. 한 정유업체 노조 관계자는 "조합원 1인당 평소 근로시간이 다른 업종에 비교해 길지 않고 한 달가량인 정기보수 기간에만 늘어나는 업계 특성상 탄력 근로제를 적절히 활용하자는 노사 공감대가...
SK이노베이션 노사 상견례 30분만에 임금협상 타결 2019-03-05 14:15:17
노사가 2019년 임금협상을 타결했다. 올해 정유업계 첫 임협 타결이며 노사는 상견례를 열고 30분 만에 합의에 이르는 기록을 세웠다. SK이노베이션 노사는 5일 서울 종로구 SK빌딩에서 김준 총괄사장과 조경목 SK에너지 사장, 이정묵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임협 조인식을 열었다. 앞서 노사는 지난달 18일...
한국노총 금속·화학노련 "탄력근로제 합의는 야합…폐기해야" 2019-02-20 17:31:31
금속노조와 화섬연맹이 속한 '양대 노총 제조연대'는 20일 성명을 내고 이번 합의를 '야합'으로 규정하며 비판했다. 이들은 정유·화학업 등 대체로 탄력근로제 도입 가능성이 큰 업종에 해당한다. 제조연대는 3개월 초과 단위 기간의 탄력근로제를 도입할 경우 임금 보전 방안을 만들어 고용노동부에...
3개월 초과 탄력근로땐 노동시간 '주 단위'…사용자 재량 확대(종합) 2019-02-19 20:55:33
수 있다는 얘기다. 반대로, 노조가 없는 사업장에서는 3개월 초과 탄력근로제가 남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철수 위원장은 "노조가 없는 곳에서 (탄력근로제가) 남용되는 것을 제일 고민했다"며 고용노동부의 관리·감독으로 해결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탄력근로제를 도입한 사업장은 노동일과 노동시간을 미리...
3개월 초과 탄력근로땐 노동시간 '주 단위'…사용자 재량 확대 2019-02-19 20:31:10
수 있다는 얘기다. 반대로, 노조가 없는 사업장에서는 3개월 초과 탄력근로제가 남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철수 위원장은 "노조가 없는 곳에서 (탄력근로제가) 남용되는 것을 제일 고민했다"며 고용노동부의 관리·감독으로 해결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탄력근로제를 도입한 사업장은 노동일과 노동시간을 미리...
탄력근로 기간 늘렸지만 곳곳 독소조항…경영계 "범법자 우려 여전" 2019-02-19 19:56:06
호소 8개월 만에 합의임금 보전·노조 합의 의무화 결국 노동계 뜻대로 "선택적 근로시간제 빠져"…경영계 아쉬움 토로 [ 최종석/백승현/장창민 기자 ] 지난해 7월 전격적인 근로시간 단축으로 불거진 산업현장의 호소가 터져나온 지 8개월 만에 탄력근로제 단위기간을 현행 3개월에서 6개월로 늘리는 합의가 도출됐다.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