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우리나라 최초의 '공예 디자이너' 이순석 [더 라이프이스트-성문 밖 첫 동네, 충정로 이야기] 2023-11-02 17:50:19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도안과 및 응용미술과 교수를 지냈다. 우리나라 도안(디자인)의 선구자로서 그의 미술사적 업적은 대단하다. 한 예로 우리나라 최고의 훈장인 ‘무궁화 대훈장’도 그가 도안한 것이요, 입법 행정 사법부의 온갖 심벌마크와 휘장을 디자인한 것도 이순석이다. 1977년 여의도에 신축한 국회의사당 정문...
일제시대 나주 소고기 통조림 공장…지구촌 작가 예술 공간으로 재탄생 2023-10-31 18:40:40
설치미술과 함께 지역 문화·역사 유산도 즐길 수 있도록 꾸몄다. 백종옥 전시감독은 “전국 각지에서 미술제가 열리고 있지만 일부러 찾아가서 볼 만한 미술제는 많지 않다”며 “영산강미술제는 이런 지역축제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많은 걸 고민했다”고 말했다. 그렇게 해서 찾은 장소가 나주 동점문 근처에 있는...
16살 여배우와 결혼한 46세 男…1년 만에 이혼한 이유가 [성수영의 그때 그 사람들] 2023-10-28 11:03:50
작성했습니다. .은 미술과 고고학, 역사 등 과거 사람들이 남긴 흥미로운 것들에 대해 다루는 코너입니다. 토요일마다 연재합니다. 쉽고 재미있게 쓰겠습니다. 기자 페이지를 구독하시면 4만여명 독자가 선택한 연재 기사를 비롯해 재미있는 전시 소식과 미술시장 이야기를 놓치지 않고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성수영 기자...
"단 한 대 뿐인 조합"…'韓사랑' 벤틀리, '코리아 한정판' 내놔 2023-10-26 11:13:04
현대미술과 벤틀리의 만남을 통해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새로운 차원의 럭셔리를 소개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의 추상화가 하태임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제작됐다. 하 작가의 미술 작품 속 색상인 △리치 △아틱블루 △하이퍼액티브 △리넨 △탄자나이트 퍼플 등 다섯 가지 색상을 차량 바디킷의 컬러...
이진준 KAIST 교수 "AI창작 늘어날수록 예술 본질 드러난다" 2023-10-24 18:20:14
생각합니다.” 예술에서도 인간과 AI, 미술과 기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이진준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사진)는 24일 이 같은 경계 붕괴 현상에 대해 “AI라는 유용한 도구의 등장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면서도 “다만 데이터의 조합이라는 사실을 망각하지 않고 거리감은 잘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스무살된 증평군, 문화감성지수 끌어올린다 2023-10-23 19:06:38
화백 전시회 관람객을 대상으로 미술과 관련한 인문학 강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다음달 22일엔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가 증평문화회관에서 물체놀이극 ‘평강공주와 온달바보’를 공연한다. 문화예술단체 ‘오케스트라 상상’은 문화회관에서 장뜰두레농요를 테마로 국악관현악과 국악극 등 연주회를 선보인다. 다음달 1...
키 152cm 금수저, '클럽 죽돌이'로 살았던 이유가 [성수영의 그때 그 사람들] 2023-10-21 09:39:11
작성했습니다. .은 미술과 고고학, 역사 등 과거 사람들이 남긴 흥미로운 것들에 대해 다루는 코너입니다. 토요일마다 연재합니다. 쉽고 재미있게 쓰겠습니다. 기자 페이지를 구독하시면 4만여명 독자가 선택한 연재 기사를 비롯해 재미있는 전시 소식과 미술시장 이야기를 놓치지 않고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성수영 기자...
생의 마지막까지 線 긋다 떠난 '단색화 거장' 박서보 2023-10-15 18:07:23
추상미술과 단색화를 대표하는 최고 인기 작가로, 후학과 사회를 위한 기부를 아끼지 않는 ‘미술계 큰 어른’으로 평가받아 왔다. 1950년대 국내 주요 추상미술 운동에 참여했고, 1960년대부터 연필로 도를 닦듯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선을 긋는 ‘묘법’ 시리즈를 제작하며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개척했다. 그가 개척한...
'단색화 거장' 박서보 별세…끝까지 한줄 더 긋다 떠났다 2023-10-14 11:01:43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 고인은 한국 추상미술과 단색화를 대표하는 작가이자 최고 인기 작가로, 후학과 사회를 위한 기부를 아끼지 않는 ‘미술계 큰 어른’으로 평가받아왔다. 1950년대 국내 주요 추상미술 운동에 참여했고, 1960년대부터 연필로 도를 닦듯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선을 긋는 ‘묘법’ 시리즈를 제작하며...
"뚱뚱해서 혐오스럽다" 비난에도…앞다퉈 모셔간 이 남자 [성수영의 그때 그 사람들] 2023-10-14 07:00:01
작성했습니다. . 은 미술과 고고학, 역사 등 과거 사람들이 남긴 흥미로운 것들에 대해 다루는 코너입니다. 토요일마다 연재합니다. 쉽고 재미있게 쓰겠습니다. 기자 페이지를 구독하시면 4만여명 독자가 선택한 연재 기사를 비롯해 재미있는 전시 소식과 미술시장 이야기를 놓치지 않고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성수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