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 통해 2만5000명에게 새 생명 선물 2024-04-18 09:40:09
심장이식 대기가 길어 오랜 기간 약물로 연명해야하거나 심장이식이 불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인공심장 역할을 하는 좌심실보조장치(펌프를 통해 심장 기능 보조)를 이식하고 있다. 좌심실보조장치 이식은 100건 넘게 진행했다. 신장이식도 활발하다. 서울아산병원은 신장 기능이 망가져 평생 투석 치료를 받아야 하는...
기술도 중독이 된다[칼럼] 2024-04-16 09:02:35
있을까. 애나 램키 교수에 따르면 특정 약물에 중독된 사람들은 미래의 기간이 9일이라고 대답했다. 반면에 약물에 중독되지 않은 건강한 대조 실험 집단은 미래가 평균 4.7년이라고 응답했다고 한다. 따라서 중독적인 상황에 오랫동안 노출된 젊은 세대들은 짧은 미래에 공감하는 세대이므로, 장기간에 걸친 보상이 따...
브릿지바이오 "폐섬유증 치료 물질, 항암 효능 확인" 2024-04-11 11:12:43
표준 화학 항암요법 치료제인 '파크리탁셀'을 함께 투여한 동물 실험 결과가 국제 학술지 '항암 연구'(Anticancer Research)에 게재됐다고 전했다. 상피성 난소암은 전체 난소암의 약 90%를 차지하며, 약 70% 이상의 말기 환자가 약물 내성 등으로 재발을 경험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해당 연구는 난...
[사이테크+] "알츠하이머병 위험 70% 낮추는 유전자 변이 발견" 2024-04-11 08:41:20
막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알츠하이머병 실험동물 모델인 제브라피시와 생쥐 연구를 통해 피브로넥틴을 줄이면 혈관 내 베타 아밀로이드양이 감소하고,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다른 손상들이 개선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유럽 출신 ApoE-e4 보유자 1만1천 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유전자 변이가 알츠하이머...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AACR서 면역항암 효능 개선 연구결과 발표 2024-04-09 09:55:42
경쟁약물 대비 CD39에 대한 높은 결합능력과 저해효과를 보이며, 강력한 결합력을 바탕으로 ATP의 전환을 억제함을 확인했다. 또 주 2회 투약한 동물실험에서도 종양의 성장 억제 효과와 우수한 내약성 또한 확인했다. AR062는 와이바이오로직스의 완전인간항체 라이브러리인 Ymax-ABL에서 발굴됐다. Ymax-ABL은 1200억 종...
"노년 고독감은 술·담배보다 위험…건강한 인간관계가 장수 비결" 2024-04-08 18:35:21
1990년대 동물실험에선 기가 막힌 성과를 내고도 현재까지 30여년간 인체 대상 임상에선 줄줄이 실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간 세포와 동물 세포가 매우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실험용 쥐의 수명이 2년, 꼬마선충은 3주인데, 동물실험 결과로 수명이 100년에 가까운 인간에 적용하기엔 풀어야 할 기술적...
피노바이오, AACR서 신규 약물 및 링커 전임상 결과 공개 2024-04-08 09:54:46
대비 뛰어난 종양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새로운 약물 3종의 인비트로(in vitro) 실험에서 엔허투 대비 동등 수준 이상의 ‘인접 종양세포 사멸효과(bystander effect)’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접 종양세포 사멸효과는 약물이 타깃 주변으로 퍼지며 인접한 암세포까지 연이어 제거하는 기전으로 엔허투의 차별화된...
[사이테크+] "운동 중추 소뇌, 보상 기반 학습에서도 중요한 역할" 2024-04-05 10:30:03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원숭이 실험에서 밝혀졌다. 미국 피츠버그대 안드레아 보스탄 박사팀은 5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원숭이에게 보상 기반 학습을 훈련하는 실험을 통해 소뇌가 시각운동 연상 학습에서 중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대뇌와...
비만 정복되나…희귀 유전자 '대발견' 2024-04-05 06:18:51
실험 결과 BSN과 APBA1이 뇌세포 간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노화와 관련된 신경 퇴행이 식욕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페리 교수는 "BSN 변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유전적 변이 중 비만, 제2형 당뇨병 및 지방간 질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며 "이 경로가 식욕...
[사이테크+] "성인 비만 위험 6배 높이는 희귀 유전자 변이 2개 발견" 2024-04-05 05:00:02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또 실험 결과 BSN과 APBA1이 뇌세포 간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노화와 관련된 신경 퇴행이 식욕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페리 교수는 "BSN 변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유전적 변이 중 비만, 제2형 당뇨병 및 지방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