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재료공학·기계공학과 세부 전공이 바이오"…융합 연구로 혁신 이끄는 MIT와 하버드대 2022-10-13 18:07:20
주인공은 공대였다. 김성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MIT는 전자공학과 안에 일곱 번째 세부 전공 분야로 바이오가 있다”며 “바이오가 별도 전공으로만 있는 한국과는 다르다”고 했다. 한국 대학에선 바이오는 생명공학, 화학공학에서 다루는 영역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미국 대학들은 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
UNIST, 폐목재 활용 고효율 그린수소 기술 개발 2022-10-11 18:07:22
바닐린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나온 전자를 추출, 물을 전기로 분해해 수소를 얻는 수전해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는 데 활용했다. 연구팀은 리그닌의 변환 중 얻은 전자를 활용해 산소 발생을 막는 수전해 시스템을 설계하고, 가시광선 전체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을 적용해 수소 생산량을 효율적으로...
"미쳤어? 왜 그 좋은 직장을 그만두고 창업이야" [이상한 창업자 신영씨] 2022-09-29 10:08:40
것 같다. 강신영 대표는 카이스트에서 전기전자공학과 기술경영학을 전공한 후 카카오 AI개발팀에서 인공지능 연구원으로 일했다. 스타트업 투자사인 스파크랩으로 이직 후 프로그램팀 팀장으로 재직하며 스타트업 발굴 및 투자 업무를 진행하다가 멘탈 헬스케어 기업 아몬디를 창업했다. 코로나19로 단절된 현재를 살아가...
트위니, 물품 운송용 자율주행 로봇 개발…복잡한 공간도 '척척' 2022-09-28 16:09:50
창업했다. 형인 천홍석 대표는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KAIST)에서 전기전자공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자율주행로봇 분야에만 10여년간 매진한 로봇 전문가로 연구개발을 맡고 있다. 동생 천영석 대표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출신으로 경영 전반을 총괄한다. 이들은 자율주행 로봇이 사람 일을...
[영상] "힘든 일은 로봇이 하는 세상 만들어 갑니다" 2022-09-23 07:03:01
형제가 2015년 세운 스타트업입니다. 고려대 전기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KAIST)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은 형 천홍석(41) 씨와 고려대 경영학과를 나온 동생 영석 씨가 창업자 겸 공동대표를 맡아 회사를 이끌고 있습니다. 동생은 창업 직전까지 중소기업 지원 사업을 하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 다니며 재무관...
[스타트업 발언대] 힘든 일은 로봇이 하는 세상 만든다 2022-09-23 07:01:00
로봇 기업을 표방하며 닻을 올렸다. 고려대 전기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KAIST)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은 천홍석 씨가 고려대 경영학과를 나온 동생 영석 씨와 함께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동생은 창업 직전까지 중소기업 지원 사업을 하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 다니며 재무관리 부서 등에서 경력을 쌓았다. 로...
최준일 KAIST 교수, 자율주행 기술 개발…"실생활 연구가 비결" 2022-09-22 17:57:16
서울대 전자공학과에서 학·석사를 마치고 삼성전자 연구원을 거쳐 미국 퍼듀대에서 박사학위를 딴 그는 “공부할 때도 선배 연구자와 지도교수님들로부터 ‘연구실 출퇴근 시간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성과만 좋으면 된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고 했다. 그는 지금도 자녀를 어린이집에 등·하원시키는 오전·오후 시간을...
음향공학 박사들이 만든 스타트업, 글로벌 표준 기술로 '우뚝' [Geeks' Briefing] 2022-09-22 17:56:31
유 대표는 광운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KAIST 전기전자공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인텔 수석매니저, 삼성전자 상무, 현대자동차 연구소 이사, SK텔레콤 부사장을 거친 산업 전문가로 꼽힌다. 오뚜기의 '오픈 스테이지' 오뚜기는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와 '스타트업 오픈 스테이지'...
DGIST, 공기방울 활용 의료 광학현미경 최초 개발 2022-09-19 17:25:34
장진호·황재윤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초음파에 의한 공기 방울을 활용해 생체 조직을 더 깊게 관찰할 수 있는 광학 현미경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9일 발표했다. 광 영상 및 치료 기술은 생명과학 연구와 임상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생체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광 산란 때문에...
울산과학대학교, '전문대학 공동 운영 프로그램 시상식' 개최 2022-09-19 12:11:29
참가했다. 울산과학대에서는 산업경영공학과 박정권, 전기전자공학부 하지훈·김도현·임홍균 등 4명이 참여했다. 이 프로그램은 제주도의 최신 공학 기술 적용 사례와 ESG 체험활동을 통한 팀별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로 진행됐다. 산업경영공학과 1학년 박정권 학생이 속한 팀이 ‘노후 공중전화 부스의 전기 충전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