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플러스] "보리소프, 유일한 외계 혜성 아니다…태양계에 다수 존재 가능" 2021-08-24 11:35:23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온 천체물리학센터(CfA) 아비 로브 교수와 아미르 시라즈 연구원팀은 24일 영국 '왕립천문학회 월보'(MNRAS)에서 보리소프 혜성 관측 자료를 토대로 태양계 내의 혜성과 소행성 등 수를 추정하는 연구를 통해 오르트 구름에는 성간 천체가 태양계 내부 물체보다...
"中군사위성 윈하이, 러 로켓 잔해와 충돌해 37조각으로 부서져" 2021-08-19 10:54:24
미 천체물리학자 우주군 자료서 확인…2009년 이후 가장 큰 충돌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난 3월 지구 궤도를 돌다 부서진 중국 위성 '윈하이(雲海) 1호 02싱(星)이 러시아 로켓 잔해에 부딪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우주과학 전문 매체 '스페이스닷컴'과 '비즈니스 인사이더' 등에 따르면...
철학교수의 AI 이야기<3> 테슬라, 인공지능, 자율자동차 2021-08-12 06:00:02
천체물리학적 현상이지만, 노란색의 신호등은 그런 물리학적 현상이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의미 현상이다. 하지만 모든 것을 물리적으로 간주하고 또 그것을 숫자로 변환하는 전처리(pre-processing)작업이 선행돼야만 하는 인공지능에게 이런 구별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앞으로 인공지능이 진정 완전 자율자동차를 운행할...
AI가 거미줄 같은 은하계 학습…3배 정확한 '우주지도' 그렸다 2021-08-06 18:02:25
알려진 처녀자리 은하단 등 사이의 실가닥 구조도 밝혀졌다. 연구를 이끈 홍 선임은 “딥러닝을 통해 더 확장된 우주에 대한 지도를 얻는다면 현대 천문학의 난제인 암흑물질 정체를 밝힐 결정적 단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에 실렸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붉은행성' 남극 극관 밑 호수 실체는 "진흙일 수도" 2021-07-30 15:57:30
논문 3편을 미국지구물리학회가 발행하는 격주간 학술지 ' 지구물리학연구회보'(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발표했다. 극관 밑 호수 존재설은 지난 2018년 이탈리아 국립 천체물리학연구소(INAF)의 로베르토 오로세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유럽우주국(ESA)의 화성 궤도선 '마즈 익스프레스'(Mars...
하늘에 태양 두 개 뜨는 '타투인' 행성 형성 과정 규명 2021-07-28 16:36:43
독일 막스 플랑크 외계 물리학 연구소의 연구진이 지금까지 모델 중 가장 현실적인 쌍성계 행성 형성 모델을 개발해 관련된 의문을 풀 수 있을지 주목된다. 케임브리지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응용수학·이론물리학과의 로먼 라피코프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태양계와 가장 가까운 '알파 센타우리'처럼 작은 동반...
외계문명설 주창 과학자들 UFO 규명 '갈릴레오 프로젝트' 착수 2021-07-27 10:33:10
존재를 주장해온 미국 하버드대학의 저명 천체물리학자 에이브러햄 로브 교수가 중심이 된 과학자들이 26일 미확인비행물체(UFO)를 비롯한 외계문명의 기술적 증거를 찾는 새로운 구상을 발표했다. 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 구상은 태양이 아닌 지구가 돈다는 지동설로 인류의 우주관을 바꿔놓은 이탈리아 천문학자...
[사이테크 플러스] "400광년 밖 외계행성 주위서 달 형성과정 추정 원반 포착" 2021-07-23 11:07:50
행성 둘레 원반(circumplanetary disk)이 처음으로 포착됐다.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CfA)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23일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서 400광년 떨어진 별 주위를 도는 두 개의 거대한 목성형 외계행성 중 하나(PDS 70c)에서 달을 만들 수...
지구에 피해 주는 태양의 '스텔스' 코로나질량방출 포착 길 열려 2021-07-21 16:55:34
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록히드 마틴 태양·천체물리학 실험실의 수석 연구원 니리아키 니타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법을 활용해 태양 전문 위성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면 더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 "코로나그래프에 나타나지 않는 '슈퍼 스텔스 CME'도 포착할 수 있을...
태양 흑점 보러 '천체관측소' 가볼까 2021-07-12 15:17:51
물리학적 원리를 살펴보는 ‘전지적 물리 시점’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됐다. 온라인으로 물리학 연구자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방구석 과학’도 마련돼 있다. 유 관장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5세대(5G) 이동통신 등 첨단 과학기술의 기반은 수학, 물리 등 기초과학”이라며 “기초과학의 중요성이 널리 알려지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