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통계청, 유엔 아태경제사회위에서 AI 활용 혁신 사례 공유 2024-12-13 10:00:00
활용한 통계분류자동화시스템 구축, 분산된 통계서비스를 통합해 AI 기반 맞춤형 통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포털 구축' 등을 소개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고 통계청은 전했다. 이 청장은 아르미다 알리샤바나 ESCAP 사무총장, 베트남·몽골 통계청장 등을 만나 업무 협의를 해 상호협력방안도 논의했다. 이...
온라인몰 수수료율 소폭 내렸지만…납품업체 실제 부담은 올라 2024-12-11 12:08:03
비중이 낮고 상품을 직접 보관·배송하는 서비스가 포함돼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온라인몰 전체적으로 보면 실질수수료율은 전년(12.3%)보다 0.5% 내리긴 했지만, 이는 가장 규모가 큰 쿠팡의 집계대상 거래 규모가 축소된 효과다. 쿠팡은 지난해 6월부터 특약매입거래를 중단해 이후부터는 실질수수료율 집계 대상...
취업자 증가 10만명대 회복…제조업 19개월만에 최대 감소 2024-12-11 10:29:07
서운주 사회통계국장은 "제조업 일자리에 대해 "5개월 연속 감소하는 추세"라며 "전자부품, 의복, 종이 펄프류 등의 감소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 일자리도 8만6천명 줄었다. 2018년 12월(-8만9천명) 이후로 5년 11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사업시설은 환경 미화나 아파트 경비...
돈 되는 K시위…이승환 1213만원 기부한 곳 알고보니 [이슈+] 2024-12-10 19:24:03
수 있다. 전날 가수 이승환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돌아오는 토요일에는 꼭 탄핵이 되길 바란다"면서 이 단체에 1213만원을 기부한 사진을 공개했다. 엑스(X·구 트위터)에서는 야권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이 단체에게 "돈쭐내주자"는 반응도 적지 않게 보인다. 촛불행동의 상임대표인 김민웅 전 경희대 교수는...
문과·경단녀도…OK 9주 무료 교육으로, SW 전문가 키운다 2024-12-10 18:16:09
여성 중장년층의 노동시장 진입도 증가하고 있다.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9월 여성 임금근로자 수가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63년 이후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돌파했다. 전체 임금근로자 중 여성 비중도 역대 최고치인 46.1%다. 5060세대뿐만 아니라 40대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이 늘면서 교육 분야도 기존...
콘텐츠·ICT 분야 서비스 무역 통계 내년 3월 발표 2024-12-10 14:08:06
"서비스 수출 활성화를 위해 관련 통계·데이터 구축과 분석이 중요하나 기존 국제수지 통계로는 콘텐츠·ICT 등 유망 서비스업종의 수출입 규모와 흐름을 파악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한국은행을 중심으로 기재부, 문화체육관광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계청 등 관계기관이 협업 중이며 내년 3월 중...
베트남항공 이용객 국내선·스포츠 수하물·경유지 투어 ‘무료’ 2024-12-10 12:42:58
베트남 통계총국에 의하면 2024년 상반기(1월~6월) 베트남을 가장 많이 방문한 외국인이 한국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총 228만명의 한국인이 베트남을 찾았다. 한국에서 베트남까지 비행 시간은 길지 않지만 저가 항공사를 이용했다가 여행의 시작을 망친 기억이 있는 이들이라면 항공사 선택부터 신중해진다....
'핫팩·커피 불티' vs '식당 예약 취소'…희비 엇갈린 여의도 [현장+] 2024-12-09 20:32:01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지난 주말에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집회에 참여하지 못하는 일부 시민들이 카페나 햄버거, 도시락 가게 등에 먼저 대금을 결제해두고 집회 참가자들에게 음료나 음식을 무료로 음료나 배부하기도 했던 터. 국회의사당 인근의 한 카페 직원 C씨는 "지난 주말 정신없이 바빴다"며 "원래 ...
1인가구 '역대 최대'…절반 이상 연소득 3천만원 미만 2024-12-09 12:38:41
돌봄 서비스 지원(13.9%), 심리 정서적 지원(10.3%)이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는 60대까지는 주택 안정 지원이 가장 많았고, 70세 이상은 돌봄 서비스 지원을 가장 필요로 했다. 올해 기준 1인가구의 26.1%는 우리 사회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하다는 응답 비중은 28.6%로 집계됐다. 안전하지...
1인가구 35.5%, 또 역대 최대…절반 이상은 연소득 3천만원 미만 2024-12-09 12:00:00
하는 정책은 주택 안정 지원이 37.9%로 가장 높았다. 돌봄 서비스 지원(13.9%), 심리 정서적 지원(10.3%)이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는 60대까지는 주택 안정 지원이 가장 많았고, 70세 이상은 돌봄 서비스 지원을 가장 필요로 했다. 올해 기준 1인가구의 26.1%는 우리 사회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