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19년전 국내사용 전면 중단된 최루탄의 기억…지금은 2017-06-10 06:35:00
거리로 나왔다. 이날 집회의 제목은 '호헌철폐·독재타도'가 아닌 최루탄 추방대회였다. 9일 전 연세대생이었던 이한열 열사가 최루탄에 머리를 맞아 숨진 것을 비롯해 최루탄으로 인한 피해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최루탄을 쏘지 말라고 경찰에 호소한 것이었다. 당일 전국 집회 가운데 중심은 단연 부산이었다. ...
내일 6월 항쟁 30주년…서울광장서 첫 기념식(종합) 2017-06-09 19:57:58
시민이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쳤던 역사적 현장인 서울광장에서 6.10 민주항쟁 30주년 기념식이 열린다. 행정자치부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10일 오전 10시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정·관계, 민주화운동 인사, 시민단체, 학생 등 최대 5천 명이 참석하는 '6·10 항쟁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연합시론] 6월 항쟁 되새겨 '87년 체제' 극복해야 2017-06-09 17:53:40
호헌조치를 발표했다. 그러자 전국적으로 호헌 철폐시위가 일어나 6·10항쟁으로 이어진 것이다. 앞서 같은 해 1월 14일 서울대생 박종철 군이 치안본부 남영동 분실에서 물고문을 받다 사망한 사건은 대규모 민주화 시위와 6월 항쟁의 기폭제가 됐다. 6월 10일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국본) 주도로 열린 '박종철 군...
"대전 6월항쟁 시작은 1월 27일 박종철 고문치사 규탄 가두시위" 2017-06-09 17:08:55
연구위원은 "충남운동본부는 호헌반대, 민주헌법 쟁취에 대한 요구와 함께 노동자, 농민, 도시 빈민의 피폐한 삶의 원인이 군사독재정권에 있음을 강조했다"며 "절차적 민주화뿐 아니라 사회적 경제화의 민주화를 뜻하는 실질적인 민주주의까지 담아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이명박·박근혜 정부 10년간 한국 민주주의가...
'민주주의 꽃 피다' 10일 서울광장서 6월항쟁 30주년 기념식 2017-06-09 12:00:03
개헌논의를 금지한 전두환 정권에 맞서 100만 시민이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쳤던 역사적 현장, 서울광장에서 '6.10 민주항쟁 30주년' 기념식이 열린다. 행정자치부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10일 오전 10시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정·관계, 민주화운동 인사, 시민단체, 학생 등 최대 5천 명이...
6월항쟁 '넥타이부대'주역들 "마음속 부채의식에 거리로 나갔죠" 2017-06-08 07:30:02
간부였던 김국진·정일영·이상재·송해주씨 4·13 호헌 반대성명 마련…직장인들 거리 나온 계기 만들어 (서울=연합뉴스) 현혜란 최평천 기자 = 1987년 6월. 부모를 모시고, 아들딸을 먹여 살릴 돈을 벌러 날마다 출근하던 이들이 직장이 아닌 거리로 뛰쳐나왔다. 흰색 와이셔츠에 넥타이는 그들에게 '전투복'과...
[6·10항쟁 30주년] 정부-시민사회, 기념식 처음으로 공동개최 2017-06-07 16:00:08
및 호헌철폐 국민대회' 개최를 선언, 6월항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상징적인 장소다. 6월항쟁계승사업회는 항쟁 30주년을 맞아 최근 100여개 재야 시민단체와 함께 함세웅 신부와 정성헌 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등 민주화 투사들을 상임대표로 추대하면서 '6월민주항쟁30년사업추진위원회'를 꾸렸다....
[6·10항쟁 30주년] "6월항쟁이 6·29 이끌었다는 데 이견 불가" 2017-06-07 16:00:07
선언이 6월항쟁 결과임에는 이견 있을 수 없어" '호헌철폐' 등을 구호로 내건 6월 항쟁은 노태우 당시 민주정의당 대표가 대통령 직선제를 받아들이는 '6·29 선언'을 이끌어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6·29 선언이 당시 전두환 정권의 치밀한 계산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과 미국이 상당부분 역할을...
[6·10항쟁 30주년] 넥타이부대가 이끈 시민혁명…촛불집회 모태 2017-06-07 16:00:01
종교계와 학계 등 각계에서 호헌조치를 비판하는 시국선언이 잇따랐다. 한국 내 반미운동을 통제할 필요성을 느낀 미국에서도 상원 외교위원회가 호헌조치 재고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그럼에도 정부는 움직이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사람들의 기억에서 희미해져 가던 박종철씨 고문치사사건이 다시 정국에 불을...
역사의 물줄기 바꾼 6월항쟁…KBS스페셜 '시민의 탄생' 2017-06-07 15:38:33
일체의 논의를 금하겠다는 호헌조치로 '독재타도, 호헌철폐'를 외치던 시민에 대한 억압 수위를 한층 높였다. 그리고 1987년 6월, 한 청년이 죽었다. 대학생 이한열의 죽음은 박종철 고문치사 조작 사건과 더불어 시민의 분노를 폭발시킨 기폭제가 됐다. 제작진과 인터뷰를 한 당시 '넥타이 부대' 박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