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Cover Story] '이기심의 원리' 설파한 스미스…'창조적 파괴' 주창한 슘페터 2014-07-11 19:06:38
열쇠’라고 믿었다. 스미스의 ‘국부론’에 크게 영향을 받은 리카도는 국부(國富)를 어떻게 성장시키느냐보다 국부의 분배원리에 더 관심이 많았다. 하지만 그는 자본주의 체제의 부정이나 정부간섭을 통해 분배구조를 시정하라고 요구하지는 않았다.대신 ‘비교우위론’에 바탕한 무역이론을...
[다산 칼럼] 국가개조론에 대하여 2014-05-20 20:38:56
스미스의 ‘도덕감정론’과 ‘국부론’에 큰 의미가 담겨 있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타인의 감정과 행위에 관심을 가지고 그에 동감하려고 하며, 이런 동감 의식이 정의로운 사회질서를 형성한다. 그런 질서 속에서 자유로운 교환을 통해 사회적 협동이 이뤄지고, 협동의 확대로 시장이 커지고 ...
[OX? 경제상식 퀴즈] 5월 12일자 2014-05-09 19:34:00
먼 것은?(1)국부론 (2)자유방임주의 (3)혼합경제 (4)보이지 않는 손8. 신용카드 회원이 일시불과 현금서비스 등 이용금액 가운데 일부만 결제하면 나머지 결제금액 상환을 계속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는?(1)할부결제 (2)카드론 (3)리볼빙 (4)선포인트sgsg.hankyung.com에서 응모하세요.▶ 426호 퀴즈 정답: 1(2) 2(3)...
[책마을] 정치? 종교? 과학?…인류 역사 바꾼 건 '기업'이었다 2014-04-24 21:23:23
‘국부론’이 출간된 이후 사람들은 수많은 기업과 상인들이 시장에 뛰어들면 사회 전체의 소득 수준이 높아질 것이라 믿었다. 중상주의 시대에 국가가 장악했던 기업이 시장으로 돌아가면 공급과 수요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고 가격이 생산을 촉진한다는 주장이 바로 ‘보이지 않는 손’의 논리요, 그게 시장경제다....
[영화로 쓰는 경제학원론] 노예고용은 비싼 대가를 치른다…동기부여와 혁신이 없기 때문에… 2014-03-08 13:10:00
‘국부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모든 시대와 모든 민족의 경험은 노예에 의한 작업이 외관상 그들의 생활비만 드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가장 비싸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나는 믿는다.” (→노예 고용은 손해다!) 노예들은 사유 재산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최대한 많이 먹고 최대한 적게 노동하는 것 외에는...
[주니어 테샛 입문여행] (6) 정부의 1년 살림살이 계획, '예산' 2014-02-28 18:24:42
국부론》이라는 책에서 분업이 작업 속도를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임을 주장했습니다. 스미스는 10명의 직공이 10개의 핀을 생산하다가 18가지의 제작과정으로 나눠서 했더니 4만8000개의 핀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즉 일의 과정에 따라 4800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분업이라고 하는데 한 가지...
[Cover Story] 마차시대에 자동차 생각…기업가는 '미래 창조자' 2013-11-22 16:59:01
국부론’보다 2년 늦게 지구 반대편에서 출간된 ‘북학의(北學議)’에서 그는 상공업과 상인(오늘날의 기업가)의 가치를 꿰뚫어 봤다. 그는 “민생은 갈수록 궁핍해지는데 사대부는 팔짱만 낀 채 편안하게 지낸다”며 당시의 지배논리였던 성리학의 공리공론을 질타했다. 그는 상인이 몇 곱절의 이익을 남기더라도 비난할...
[경제사상사 여행] '보이지 않는 손'은 인간 사회에 자생적 질서 만들어 2013-11-01 17:09:36
꽃 피워…'국부론'은 자유주의 경제학 교과서 스미스 사상의 힘 스미스가 연구대상으로 삼은 건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희소성의 세계라는 숙명과 물질적인 부족을 개선하면서 타인과의 동감을 통해 인정받고자 하는 인간의 끊임없는 노력이었다. 그리고 그의 가장 큰 공로로는 ‘스코틀랜드 계몽주의’를 형성,...
[Focus] 농가 '보조금의 역설'…되레 생산성 하락 '부메랑' 2013-08-30 14:04:23
<국부론>을 통해 자율경쟁의 시장경제가 국부 증진의 원동력이라고 주장했다. 정부 정책이 시장실패를 바로잡고 적정한 자원배분을 원활하게 하기도 하지만 시장에 대한 불필요한 개입과 간섭일 수 있다는 얘기다. 230여년이 지난 현재, 경제학의 아버지가 그토록 경계하고자 했던 ‘정부 정책으로 인해 시장경제가...
[한경데스크] 규제 심한 나라, 잘살 수 없다 2013-08-28 18:13:19
국부론’을 통해 밝혀내고 싶었던 것 중 하나는 당시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영국, 프랑스보다 더 많은 식민지를 갖고 있으면서도 두 나라보다 잘살지 못했던 이유였다. 그는 정부의 개입과 간섭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금과 은의 유통 허용량과 가격, 특정 산업에 대한 보조금, 수입 통제, 수출 장려 등 여러 영역의 국가...